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의미,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원인,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발병 사례,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쟁점, 근골격계질환(직업병) 예방프로그램 내용, 근골격계질환(직업병) 예방프로그램 평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의미,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원인,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발병 사례,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쟁점, 근골격계질환(직업병) 예방프로그램 내용, 근골격계질환(직업병) 예방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의미

Ⅲ.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원인
1. 작업 특성 요인(자세, 반복, 힘, 휴식)
2. 사업장 노동통제의 요인
3. 사회 구조적 요인
4. 사회심리적 요인

Ⅳ.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발병 사례
1. 사례1
1) 당사자
2) 근무시간과 휴일
3) 작업내용
2. 사례2
1) 당사자
2) 근무형태와 작업내용
3) 현재 상태

Ⅴ.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쟁점

Ⅵ.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예방프로그램 내용
1. 예방 프로그램에서 평가도구가 차지하는 위치
2. OWAS의 개념
1) RULA의 개발
2) RULA의 개발 목적
3) RULA의 개요

Ⅶ.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예방프로그램 평가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는가에 따라 해당 점수를 부여한다.
① 간헐적으로 2kg이하의 짐을 드는 경우 : 0점
② 간헐적으로 2kg에서 10kg사이의 짐을 드는 경우 : +1점
③ 정적작업이거나 반복적으로 2kg에서 10kg사이의 짐을 드는 경우 : +2점
④ 정적, 반복적으로 10kg이상의 짐을 들거나, 또는
갑작스럽게 물건을 들거나 충격을 받는 경우 : +3점
제 8단계 - 팔과 손목 부위에 대한 평가 점수의 환산
▶ 제 5단계에서 환산된 점수A에 제6단계와 7단계의 점수를 합하여 평가그룹 A에서의 팔과 손목 부위에 대한 평가 점수C를 계산한다.
평가그룹 B. 목, 몸통, 다리의 분석
제 9단계 - 목의 위치에 대한 평가
▶ 작업 중 목의 자세가 아래의 4가지 자세 중 어디에 주로 속하는 가에 따라 해당 점수를 부여함
◇ 추가 점수 부여 - 자세가 아래의 사항에 해당 될 경우 위의 해당점수에 추가 점수를 합산
① 작업 중 목이 회전(비틀림)되는 경우 : +1점
② 작업 중 목이 옆으로 구부러지는 경우 : +1점
제 10단계 - 몸통의 위치에 대한 평가
▶ 작업 중 몸통의 자세가 아래의 4가지 자세 중 어디에 주로 속하는 가에 따라 해당 점수를 부여함
※ 뒤로 젖혀진 경우
1. 선자세는 10°, 앉은 자세는 20°
2. 앉은 겨우 등의 잘 지지되면 1 아니면 2점부과
◇ 추가 점수 부여 - 자세가 아래의 사항에 해당 될 경우 위의 해당점수에 추가 점수를 합산
① 작업 중 몸통이 회전(비틀림)하는 경우 : +1점
② 작업 중 몸통이 옆으로 구부러지는 경우 : +1점
제 11단계 - 다리와 발의 상태에 대한 평가
▶ 작업 중 다리와 발의 상태가 아래의 2가지 자세 중 어디에 주로 속하는 가에 따라 해당 점수를 부여함
① 다리와 발이 지탱되어지고 균형이 잡혀 있을 경우 : +1점
② 그렇지 않을 경우 : +2점
제 12단계 - 평가 점수의 환산
▶ 위에서 평가한 3단계의 점수를 table B에서 찾아서 평가점수C를 계산한다.
제 13단계 - 근육 사용 정도에 대한 평가
▶ 작업 중 근육의 사용정도를 평가하는 부분으로 작업 시 몸의 경직성 여부와 작업의 반복빈도를 평가하는 부분.
▶ 작업 시 작업자세가 경직(예를 들어 10분 이상 한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되어 있거나 분당 4회 이상의 반복작업을 하는 경우 : +1점
제 14단계 - 무게나 힘이 부가 될 경우에 대한 평가
▶ 작업 중 공구나 작업물을 들어 나르는 경우 다음의 4가지 사항 중 어디에 속하는가에 따라 해당 점수를 부여함
① 간헐적으로 2kg이하의 짐을 드는 경우 : 0점
② 간헐적으로 2kg에서 10kg사이의 짐을 드는 경우 : +1점
③ 정적이거나 반복적으로 2kg에서 10kg사이의 짐을 드는 경우 : +2점
④ 정적, 반복적으로 10kg이상의 짐을 들거나, 또는 갑작스럽게 물건을 들거나 충격을 받는 경우 : +3점
제 15단계 - 목과 몸통, 다리 부위에 대한 평가 점수의 환산
▶ 제 12단계에서 환산된 점수B에 제13단계와 14단계의 점수를 합하여 목과 몸통, 다리 부위에 대한 평가 점수D를 계산한다.
최종단계 - 총점(Final Score)의 계산과 조치수준(Action level)의 결정
▶ 8단계와 15단계에서 계산된 점수 C와 점 B를 각각 TableC에서의 세로축과 가로축의 값으로 하여 최종 점수를 계산한다.
▶ 최종점수의 값은 1에서 7점사이의 값으로 계산되면 그 값의 범위에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게 된다.
조치단계의 결정
1. 최종점수가 1-2점 이면: 수용가능한 작업(Acceptable job)
2. 최종점수가 3-4점 이면: 계속적 추적관찰요함( Investigate further)
3. 최종점수가 5-6점 이면: 계속적 관찰과 빠른 작업개선요함( Investigate further and change soon)
4. 최종점수가 7점 이상이면: 정밀조사와 즉각적인 개선이 요구됨
Ⅶ.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예방프로그램 평가
노동조합은 자사의 인간공학 프로그램, 근골격계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되는 지에 대해 주기적으로 평가하여야 하며, 실질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노동조합은 다음과 같이 노력한다.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평가하고 프로그램에 존재할 수 있는 상당한 결함을 찾아내기 위해 문제 직종의 노동자들과 상담한다. 사업주의 프로그램 요소들이 제대로 기능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프로그램 요소들을 평가한다. 프로그램이 근골격계질환 위험을 제거하거나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평가한다. 평가 결과 사업주의 프로그램에 결함이 발견되면 이 결함에 대한 시정 조치를 신속하게 취해야 한다.
Ⅷ. 결론
근골격계 직업병은 자본의 입장에서 끊임없이 노동강도를 강화시키면서 문제가 발생되기 시작되었고, 세계적인 신자유주의의 흐름과 본격화된 구조조정 등으로 인한 현장의 노동강도 강화의 결과이다.
이에 대한 노동조합에서의 본격적인 대응 투쟁이 조직되면서 직업병으로 인정되고, 법적으로도 최소한의 사용자 의무가 규정되었다.
병원노동자들은 그동안 스스로 건강문제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개인적으로 해결해 오다가 본격적인 실태조사와 노동부의 산업안전보건법 점검 등을 통해 병원노동자의 안전과 보건문제의 심각성이 드러나게 되었다.
특히 근골격계직업병의 경우 금속이나 화학·섬유 등 제조업노동자보다 심각한 결과가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제조업과는 다르게 정형적인 노동형태가 아닌 점과 노조에서 산재신청과 투쟁을 본격적으로 진행해 본 경험이 없는 점, 입원환자 대상으로 노동하면서 우리 스스로 건강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은 점 등으로 본격적인 대응을 진행하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1. 고령자고용촉진법, 2008
2. 김관호, 근골격계질병
3. 노동부 산업재해현황분석, 1998~2006
4. 성인간호학 근골격계 건강문제와 간호
5. 이관형·김성진, 작업관련성 질환자 특성 및 발생분포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안전공단, 2001
6. 포항공대 산업공학과, 기아자동차 근골격계질환유해요인 조사 보고서, 2004
7. 핵심인체구조와 기능 - 골격계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3.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5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