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측량원점,TM좌표UTM좌표, 측지기준점에 대해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우리나라측량원점에 대해 조사
1)경위도 원점
2)평면 직교좌표원점
3)구소삼각원점
4)특별소삼각원점
5)수준원점

2.TM좌표UTM좌표에 대한 설명
1)TM좌표
2)UTM좌표

3.측지기준점에 대해 조사

본문내용

해서 보신다고해도 TM좌표가 다르다.
참고로, 남북방향은 위도에 따른 왜곡이 거의 없어 별문제가 없지만 동서방향은 위도가 올라갈수록 동경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왜곡현상(예를 들면 북극 가까이에서의 경도 1도차이의 거리 보다 적도에서의 경도 1도 차이의 거리는 많은 차이가 있음)을 보정해 줄 필요가 있어 우리나라는 크게 3구역으로 나눠 좌표를 부여했다.(즉, 중부원점, 서부원점, 동부원점이 있습니다) 또한 대기배출원조사에서는 가로 값이 중부원점을 기준으로 200씩을 더한 값을 이용하고 있다.
2) U T M 좌표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좌표체계는 지리좌표체계가 각 지점의 위치를 경위도로 나타내는데 비해서, 구역(zone)의 고유번호 숫자와 가상적인 준거점으로부터 북과 동으로 각 각 떨어진 거리를 m로 나타내는 좌표체계이다.
다시 말하면 지구는 구형이므로 지리좌표체계는 방향과 위치를 기준으로 하였고, UTM 좌표체계는 거리와 면적을 기준으로 하였다. 결론부터 말하면, 유티엠 좌표는 찾고자 하는 어떤 지점이나 구역이 기준점으로부터 몇 미터 거리에 있느냐를 나타내는 좌표체계 이다.
앞으로 언급될 UPS 좌표체계도와는 허구의 기준점을 정하는 방법에서 구별되고, 군사좌표체계도와는 번호부여 방법에서 구별된다. 그러므로 지리좌표를 제외한 이 세 좌표체계도는 그 제작방법에서 같은 원리라는 것이며 그 대표되는 UTM 좌표체계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려고 한다.
UTM 좌표는 1948년 군사적인 목적으로 지도를 제작하면서 고안된 좌표이나 오늘날에는 지형도 제작, 토지 측량, 지하자원 탐사, 댐 건설, 도로 건설 등 다양한 용도에서 이 좌표를 이용하고 있다.
UTM 좌표는 전세계적인 수준에서 지도상에 나타나는 각 구역들이 상당히 정확하여 세계 각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지리좌표체계가 극지방으로 갈수록 사변형이 감소되는데 비해 UTM 좌표는 직사각형의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므로 면적, 거리, 방향 등을 나타내는데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UTM 좌표체계는 횡축 Mercator 도법을 이용한 것으로 가장 정확하게 투영되도록 원통에 지구의가 접하는 부분을 6°씩으로 하여 이를 60개의 구역(zones)으로 나누어 전세계가 다 포함되도록 투영한 것이다. UTM 좌표는 만국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세계 지구표면의 전부를 각각 고유번호를 부여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18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6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