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e d'Habitation Marseilles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Unite d'Habitation Marseille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근대건축의 대표적 산물로서의 집합주택 위니테
2- ‘Unite d'Habitation'의 구조적 측면
1) 필로티
2) 자유로운 평면
3- ‘Unite d'Habitation'의 의장적 측면
4- ‘Unite d'Habitation'의 환경적 측면
5- 느낀 점

본문내용

은 날씨가 계속되는 건기가 오게 된다.
이런 기후적 영향으로 건물의 배치는 남북방향을 향해 배치되었으므로 단위주택은 동서방향으로 해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아침저녁으로 햇빛을 받을 수 있고 태양의 고도를 계산해서, 여름에는 태양 빛을 차단하고 겨울에는 빛을 받아들이는 차양이 필요하였다.
그래서 동서로 나있는 창에 발코니와 브리즈 솔레이(brise-soleil)가 설치되었다.
2) 자연적 환기와 통풍
- 발코니에는 구멍이 뚫린 난간벽이 있어 통풍을 촉진시키며 구조적 측면에서도 말한 필로티는 굴뚝과 함께 모든 환기가 이루어 졌고, 필로티는 여름에 시원한 바람이 불어 통풍이 가능하게 하였다.
3) 옥상 정원
- 르 꼬르뷔제의 근대건축 5원칙 중의 하나로 옥상 정원은 실용적인 이유를 들었다.
위니테의 옥상정원은 트랙 등 운동시설과 수영장, 유아원, 그리고 노천극장 등이 위치하여, 주민들은 지중해가 바라보이는 맑은 공기 속에서 운동하고 뛰놀 수 있게 되었다. 쓰이지 않고 닫혀 있던 옥상의 활용과 주민간의 공동공간의 이용이라는 점은 혁신적이었던 거 같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자연적 요소가 부족한 점이다. 옥상에서는 하늘과 맞닿여 있고 좋은 조망을 가지고 있지만 도시속의 아파트에 나무나 흙의 요소를 사용했다면 어린이들에게 더 나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을 것 같고, 옥상정원의 개념을 더 살릴 수 있지 않을까 아쉬움이 남고 너무 인공적인 요소가 주가 된 것 같다.
5- 느낀 점
- 유니테 다비타시옹은 7~8층의 상업시설기능의 이용과 필로티 하부 공간이 쓸모가 없고, 단위주택의 폭이 지나치게 좁고, 복도는 길고 어두운 문제점도 있었다.
위니테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주택 공급 문제를 해결하려는 목적으로 건설되었지만 르 꼬르뷔제라는 건축가가 있음으로 해서 한 세기가 지난 지금에도 하루에 수 백명의 관광객들이 다녀가는 후세에 길이 남을 작품을 지었다.
단일 거대주거동의 실현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 큰 규모의 그룹화를 추구하였고, 대규모 도시 재개발에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시적 스케일의 이상적인 주거 단위를 설계하는 것에 관심을 두었다.
이렇듯 한사람의 건축가로 인해서 그 도시 뿐 아니라 나라까지도 바뀔 수 있다는 것이 건축학도로서 존경스럽고 한편으론 우리나라에 그런 건축가가 없었다는 것이 너무 안타깝다. 르 꼬르뷔제의 다른 작품을 더 공부해보면서 건축의 세상에 더욱 빠져들고 싶다는 욕구가 마구 솟아오른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19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8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