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 서론
A . 용어 정리
B . 주제 선정의 이유
C .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과 매체
(2) 조사 방법
Ⅱ . 본론
(1) 리틀맘의 실태와 현황
(2) 조사한 설문지
(3) 설문 조사 결과
(4) 리틀맘과의 인터뷰내용 & 카페 익명게시판 속에 나타난 고민들
(5) 리틀맘 정책의 해외사례
Ⅲ . 결론
(1) 윤호중 , 신학용 의원의 견해
(2) 나의 결론
Ⅳ. 참고문헌
Ⅰ . 서론
A . 용어 정리
B . 주제 선정의 이유
C .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과 매체
(2) 조사 방법
Ⅱ . 본론
(1) 리틀맘의 실태와 현황
(2) 조사한 설문지
(3) 설문 조사 결과
(4) 리틀맘과의 인터뷰내용 & 카페 익명게시판 속에 나타난 고민들
(5) 리틀맘 정책의 해외사례
Ⅲ . 결론
(1) 윤호중 , 신학용 의원의 견해
(2) 나의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한다는 점 또한 우리사회에 시사적임.
○ 그러나 최근 금욕을 강조하는 미국 내 성교육의 관점은 한계를 지님. 유럽은 십대의 성행위가 아니라 임신을 사회문제로 보기 때문에 성행위 결과에 대한 책임과 피임법을 구체적으로 가르치는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음. 이에 반해 미국은 십대의 성행위 자체를 문제로 보고 이것을 감소시키는 것을 주된 성교육의 내용으로 하고 있음. 따라서 유럽에서는 성교육의 구체적이고 실천적이라서 성교육을 받은 청소년들은 임신율과 낙태율이 현저히 낮은 반면, 미국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한 것으로 보고됨.
Ⅲ . 결론
(1) 윤호중 , 신학용 의원의 견해
㉠ 윤호중의원
리틀맘, 리틀파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부모로서의 역할과 학생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라고 지적하였다.
이를 위해 직업과 학업의 양립이 가능한 학교를 다니게 하거나, 검정고시 준비를 지원하는 등의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 신학용 의원
“국가청소년위원회는 외국사례 중 미국과 캐나다 사례를 참고해 청소년 임신예방을 위한 좀 더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성교육 대책이 필요하다” 라고 전하고, “10대의 호기심으로 갑자기 부모가 된 이들을 마치 죄를 지은 사람으로 손가락질 하기보다는 당당한 부모가 될 수 있도록 바로 세울 수 있는 대책 마련을 강구해야 한다.” 라고 주장하였다.
(2) 나의 결론
여러 관련 문헌과 자료와 신문기사를 접하면서, 또 직접 리틀맘들을 만나 봄으로써 지금 그들이 겪고 있는 문제와 고민을 가까이에서 느낄 수 있었다. 그들의 현 실태와 육아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우리 모두와 정부가 앞으로 노력해야 할 점들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첫째, 점차 개방적인 사회 분위기로 인해 이성을 사귀는 연령이 낮아지고 있는 시점에 좀 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성교육이 필요하다.
한국청소년개발원의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의 70~80%가 전혀 피임을 하지 않고 있으며 2005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낙태 미혼 여성 중 8.3%가 10대 청소년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지금까지의 너무나 기본적인 성교육에서 벗어나서 임신을 막을 수 있는, 또한 청소년기에 임신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들 학교 차원에서 다루어 학생들이 학업을 중지하고 부모로써 생활 전선에 뛰어들지 않게 해야 한다.
둘째, 국가 차원에서의 지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조사 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이들이 겪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경제적인 문제로 학업 중인 청소년들이 부모가 됨에 따라 학업을 중단하고 돈을 벌어야 하지만 이들에게 주어지는 일자리가 시간제 급료를 받는 아르바이트가 고작이어서 자녀 양육이 어렵고 또한 최소한의 의식주 해결도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에서 임신한 사실을 알았을 때 부모님에게 바로 알린 응답자는 고작 몇 명에 불과했고, 상담소 등 시설을 찾은 이는 한 명도 없었다. 대부분은 남자 친구와 친구에게 먼저 알리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이러는 사이 이들은 교육과 사회복지의 사각지대에 갇히게 된다.
국가는 이들에게 외국의 사례를 참고하여 학업을 계속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고 직업을 소개해 주며 근본적인 육아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아이의 양육비를 지원해 주는 등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그들을 따뜻한 마음으로 감싸주고 돌보아 주어야 한다.
어린 나이에 부모가 되어버린 그들을 사회에서는 싸늘한 시선으로 바라보기만 했을 뿐 관심을 가져주지 않았다. 그들은 낙태라는 유혹에서 벗어나 당당히 엄마가 되는 길을 선택한 용기 있는 사람이다. 이들을 손가락질 하고 무시하는 사회 풍토가 조성된다면 이들은 아이를 포기하거나 사회의 저 뒤편에서 외롭게 살아가게 될 것이다. 이들을 당당한 부모가 되도록 사회적인 차원에서의 문제 해결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이들이 겪고 있는 고통을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따뜻하게 감싸줄 수 있는 관용의 미덕이 필요하다.
넷째, 올바른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아직 이들은 부모의 보호 아래에서 사랑을 받고 자라야할 청소년이다. 이런 그들이 부모가 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들은 육아에 대하여 상당한 고민과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부모로서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녀를 양육함으로써 올바른 자녀교육이 곤란하고 계속 자녀를 양육해야 할지에 관한 갈등도 하고 있었다. 그들이 바로 설 수 있도록, 정서적으로 성숙하고 아이를 올바르게 키울 수 있도록 부모교육을 해 주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말하여 리틀맘들을 위한 정부의 일시적인 대책이 아닌 학업문제, 육아교육, 경제적 대책 등의 구체적 대책마련이 시급하고 그들에게 사회적으로 따뜻한 시선과 관심을 보냄으로써 그들이 훌륭한 부모가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Ⅳ. 참고문헌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2005),「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및 종합대책 마련」, 보건복지부.
* 김재득(2000), “미혼모의 원인과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지역개발연구 제7집』, 경희대학교부설 사회과학정책연구원 지역문제연구부
* 박은하(2003), 「미혼모와 미혼모 정책에 관한 여성주의적 연구」, 숙명여대 석사논문
* 양선영(2005), 「청소년의 낙태실태와 성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성신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시백외(2002),「미혼모의 복지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한국성문화연구소보건복지부
* 한국청소년개발원(2002),「한국청소년의 성, 임신에 대한 현황 분석 및 대책에 대한 연구」.
* 통계청: http://www.nso.go.kr/
*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 여성가족부: http://www.mogef.go.kr/
*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19살 리틀맘의 육아 전쟁 ( 2006 . 6 . 10 )
‘클릭 세상사’ -대한민국에서 리틀맘으로 산다는 것은 ( 2006 . 11 .3 )
* 인터넷 카페와 클럽
- ‘굳세어라 리틀맘’, ‘리틀맘에 관한 정보마을’, ‘초보 리틀맘의 아기키우기’
‘Little Mom', '일등 리틀맘이 되기 위하여’ 외 4곳
○ 그러나 최근 금욕을 강조하는 미국 내 성교육의 관점은 한계를 지님. 유럽은 십대의 성행위가 아니라 임신을 사회문제로 보기 때문에 성행위 결과에 대한 책임과 피임법을 구체적으로 가르치는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음. 이에 반해 미국은 십대의 성행위 자체를 문제로 보고 이것을 감소시키는 것을 주된 성교육의 내용으로 하고 있음. 따라서 유럽에서는 성교육의 구체적이고 실천적이라서 성교육을 받은 청소년들은 임신율과 낙태율이 현저히 낮은 반면, 미국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한 것으로 보고됨.
Ⅲ . 결론
(1) 윤호중 , 신학용 의원의 견해
㉠ 윤호중의원
리틀맘, 리틀파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부모로서의 역할과 학생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라고 지적하였다.
이를 위해 직업과 학업의 양립이 가능한 학교를 다니게 하거나, 검정고시 준비를 지원하는 등의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 신학용 의원
“국가청소년위원회는 외국사례 중 미국과 캐나다 사례를 참고해 청소년 임신예방을 위한 좀 더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성교육 대책이 필요하다” 라고 전하고, “10대의 호기심으로 갑자기 부모가 된 이들을 마치 죄를 지은 사람으로 손가락질 하기보다는 당당한 부모가 될 수 있도록 바로 세울 수 있는 대책 마련을 강구해야 한다.” 라고 주장하였다.
(2) 나의 결론
여러 관련 문헌과 자료와 신문기사를 접하면서, 또 직접 리틀맘들을 만나 봄으로써 지금 그들이 겪고 있는 문제와 고민을 가까이에서 느낄 수 있었다. 그들의 현 실태와 육아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우리 모두와 정부가 앞으로 노력해야 할 점들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첫째, 점차 개방적인 사회 분위기로 인해 이성을 사귀는 연령이 낮아지고 있는 시점에 좀 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성교육이 필요하다.
한국청소년개발원의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의 70~80%가 전혀 피임을 하지 않고 있으며 2005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낙태 미혼 여성 중 8.3%가 10대 청소년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지금까지의 너무나 기본적인 성교육에서 벗어나서 임신을 막을 수 있는, 또한 청소년기에 임신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들 학교 차원에서 다루어 학생들이 학업을 중지하고 부모로써 생활 전선에 뛰어들지 않게 해야 한다.
둘째, 국가 차원에서의 지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조사 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이들이 겪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경제적인 문제로 학업 중인 청소년들이 부모가 됨에 따라 학업을 중단하고 돈을 벌어야 하지만 이들에게 주어지는 일자리가 시간제 급료를 받는 아르바이트가 고작이어서 자녀 양육이 어렵고 또한 최소한의 의식주 해결도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에서 임신한 사실을 알았을 때 부모님에게 바로 알린 응답자는 고작 몇 명에 불과했고, 상담소 등 시설을 찾은 이는 한 명도 없었다. 대부분은 남자 친구와 친구에게 먼저 알리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이러는 사이 이들은 교육과 사회복지의 사각지대에 갇히게 된다.
국가는 이들에게 외국의 사례를 참고하여 학업을 계속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고 직업을 소개해 주며 근본적인 육아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아이의 양육비를 지원해 주는 등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그들을 따뜻한 마음으로 감싸주고 돌보아 주어야 한다.
어린 나이에 부모가 되어버린 그들을 사회에서는 싸늘한 시선으로 바라보기만 했을 뿐 관심을 가져주지 않았다. 그들은 낙태라는 유혹에서 벗어나 당당히 엄마가 되는 길을 선택한 용기 있는 사람이다. 이들을 손가락질 하고 무시하는 사회 풍토가 조성된다면 이들은 아이를 포기하거나 사회의 저 뒤편에서 외롭게 살아가게 될 것이다. 이들을 당당한 부모가 되도록 사회적인 차원에서의 문제 해결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이들이 겪고 있는 고통을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따뜻하게 감싸줄 수 있는 관용의 미덕이 필요하다.
넷째, 올바른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아직 이들은 부모의 보호 아래에서 사랑을 받고 자라야할 청소년이다. 이런 그들이 부모가 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들은 육아에 대하여 상당한 고민과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부모로서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녀를 양육함으로써 올바른 자녀교육이 곤란하고 계속 자녀를 양육해야 할지에 관한 갈등도 하고 있었다. 그들이 바로 설 수 있도록, 정서적으로 성숙하고 아이를 올바르게 키울 수 있도록 부모교육을 해 주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말하여 리틀맘들을 위한 정부의 일시적인 대책이 아닌 학업문제, 육아교육, 경제적 대책 등의 구체적 대책마련이 시급하고 그들에게 사회적으로 따뜻한 시선과 관심을 보냄으로써 그들이 훌륭한 부모가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Ⅳ. 참고문헌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2005),「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및 종합대책 마련」, 보건복지부.
* 김재득(2000), “미혼모의 원인과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지역개발연구 제7집』, 경희대학교부설 사회과학정책연구원 지역문제연구부
* 박은하(2003), 「미혼모와 미혼모 정책에 관한 여성주의적 연구」, 숙명여대 석사논문
* 양선영(2005), 「청소년의 낙태실태와 성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성신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시백외(2002),「미혼모의 복지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한국성문화연구소보건복지부
* 한국청소년개발원(2002),「한국청소년의 성, 임신에 대한 현황 분석 및 대책에 대한 연구」.
* 통계청: http://www.nso.go.kr/
*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 여성가족부: http://www.mogef.go.kr/
*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19살 리틀맘의 육아 전쟁 ( 2006 . 6 . 10 )
‘클릭 세상사’ -대한민국에서 리틀맘으로 산다는 것은 ( 2006 . 11 .3 )
* 인터넷 카페와 클럽
- ‘굳세어라 리틀맘’, ‘리틀맘에 관한 정보마을’, ‘초보 리틀맘의 아기키우기’
‘Little Mom', '일등 리틀맘이 되기 위하여’ 외 4곳
추천자료
한국 노인들의 여가 문화 그 실태와 문제점
제주도 펜션 및 휴양주택단지 시장현황 및 운영실태 분석
(장애인복지) 우리나라 장애인의 통계적 실태와 복지정책의 방향
(가족복지) 빈곤가족의 개념과 문제점 및 실태 그리고 빈곤가족을 위한 서비스 및 대책 - 자...
[사회문제]우리나라 노인학대의 실태 및 정책적 대응방안
노인여가의 개념, 현황, 실태 및 노인여가에 대한 우리나라의 정책을 알아보고 그 문제점과 ...
성교육의 개념 및 역사, 실태와 문제점, 방향
[노동자조직]비정규 노동자의 실태와 조직화 사례 및 시사점
(레포트+ppt)코리안 드림 - 외국인노동자의 실태와 개선 방안
여성노인의 빈곤과 가정폭력의 문제점에 대한 실태와 원인 및 대책방안
[노인건강 방안] 노인건강의 실태, 노인 복지제도, 노인 건강관련 제도 분석 및 문제점과 개...
결혼 이민자 여성의 결혼 생활 실태와 부부 갈등에 관한 연구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을 단위로 하여 독거노인의 실태와 이들을 위한 지방자치단체가 실...
뉴거버넌스 사례 - 한국의 전자정부 운영 실태(뉴거버넌스와 전자정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