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Title
2. Date
3. Object
4. Apparatus & Reagents
5. Theory
6. Procedure
7. Data & Result
8. Discussion
9. Reference

본문내용

부피와 대기압을 알아야 한다. CO2의 부피가 필요한 까닭은 M2CO3 + 2HCl → 2M+ + Cl- + H2O + CO2 식을 보면 탄산염과 발생하는 CO2의 몰수비가 1:1이기 때문이다. 대기압을 이상기체방정식에 대입하기 전에 대기압에 물의 증기압을 빼야 한다.
이것은 물의 증기압으로 보정하는 것으로, 용기 내부와 외부가 단절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같고 측정해서 알 수 있는 값은 용기 내부의 부피와 대기압, 용기 내부에 있는 산소의 질량, 기체의 온도를 알 수 있는데 이 중 대기압이 용기 내부 압력과 같지만 용기 내부에도 수증기가 존재 하게 되므로 만약 대기압을 실험에 사용하여 발생한 기체의 압력과 같다고 한다면 실제보다 발생한 기체의 양이 많아져서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수증기의 압을 제거하는 것이다,
두 번의 실험으로 구한 CO2의 부피와 물의 증기압에 보정된 압력, 물의 온도, 기체상수를 이용해서 몰수를 구하고 물에 녹은 CO2의 몰수까지 보정하면 각각 0.0010 mol과 0.00103 mol이 나왔다. 이 몰수와 알칼리금속의 탄산염의 무게로 몰질량을 구해 분자량을 알 수 있었다.
최종 목적은 알칼리 금속이 종류를 알아내는 것이기 때문에 탄산염의 분자량에서 탄산(CO3)의 분자량을 제거하고 알칼리금속의 탄산염은 알칼리금속원자가 2개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2를 나눠주면 알칼리금속의 원자량이 나온다.
원자량의 평균은 19.3 g/mol이 나왔다. 알칼리 금속들의 원자량과 비교해보면 가장 가까운 값을 가진 것은 나트륨(23 g/mol)이었다.
실험값으로 구한 원자량과 나트륨의 원자량은 차이를 보인다. 실험값이 나트륨의 원자량보다 적게 나왔는데 세 가지의 오차를 생각해볼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수위조절기의 높이와 피펫의 높이를 제대로 맞추지 못했기 때문에 CO2의 압력이 물의 증기압에 더해지게 되어 대기압과 다른 상태가 된 것 같다.
두 번째로 처음 염산 속에 탄산염을 넣을 때 미량의 CO2가 발생하여 손실되어 버렸을 수 도 있다.
마지막으로 물이 이산화탄소로 포화가 덜 되어 그로 인해 바랭한 이산화탄소가 물속으로 녹아들어갔을 경우도 있다.
9. Reference
일반화학 / MASTERTONHURLEY / 자유아카데미 / 2002 / P14, p 16
일반화학 / Oxtoby Freeman Block / 청문각 / 1998 / P12~15, P40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26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32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