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강독)이인직의 혈의루(혈의누)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미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문학강독)이인직의 혈의루(혈의누)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미에 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인직의 「혈(血)의 루(淚)」 줄거리
2. 이인직의 「혈(血)의 루(淚)」 문학사적 의미
1) 긍정적인 측면
(1) 신소설의 효시로서의 의미
(2) 개화·계몽적 근대화 소설로서의 의미
2) 부정적인 측면
(1) 식민주의적 담론을 형성한 소설
(2) 창작동기와 주제 설정에 있어 친일적 경향 비판

Ⅲ. 결론 및 개인적 고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측면으로 나누어 정리하여 보았다.
이인직 소설 「혈의 누」의 문학사적 의미 중 긍정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우리나라 신소설의 시작의 의미 이외에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역사적 모순에 대한 변증법적 미학의 창조에 있다. 이 독특한 소설의 미학은 서로 대립하는 다양한 시대정신과 이데올로기의 집단들을 사회구성원으로 하는 시공간 속에서 주로 창출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이인직 소설의 미학은 우리나라 개화기의 복잡한 시대정신과 사회맥락을 대변해 주는 것이며, 그러한 역사적 조건 속에서 고민하고 갈등하는 한 지식인의 정신적 삶의 궤적을 정직하게 드러냈다고 본다.
둘째. 이인직의 소설은 이데올로기는 객관적인 시각에서 역사를 인식하고 실용주의적으로 역사에 대처한 것으로, 진보에 의한 준비론의 지향이었다. 이러한 사실주의적 정신은 작중 인물들의 단성적 담론을 통하여 우리 민족의 역사 현실을 객관적으로 드러내는 데서 나타나며, 이것은 예술적으로 표현된 문학적 진실이다. 작가는 민족주의적인 이데올로기를 일제의 간섭(검열)으로부터 은혜하기 위하여 작중 서술자로 하여금 다성적인 언어로써 서술을 진행하도록 전략을 세움으로써 우리나라의 신소설 양식 속에 내적 대화의 일면을 창출하였다고 본다.
하지만 우리 국문학사 속의 많은 평가에서 이인직은 친일사상 작가로 평가되고 있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사실이다. 즉 이인직의 「혈의 누」가 신소설로서의 가치가 인정되고, 내용에 개화사상 및 계몽사상, 그리고 애국자적인 요소를 주인공으로 하여금 발산하고는 있지만 작가 이인직의 근본 사상이 친일사상이므로, 창작동기와 주제, 등장인물의 사상과 각 인물들에 나타난 형상화가 친일적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비판하고 있다.
Ⅳ. 참고문헌
1. 손미영 외 공저, 「한국문학의 흐름과 이해」, 아세아문화사, 2002.
2. 정호웅, 「한국현대소설사론」, 새미, 1996.
3. 최변해, 마운용, 「현대소설 자료집」, 2004.
4. 오윤희, '이인직 문학과 친일사상 연구 : 「혈의 누」를 중심으로', 원광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5. 이혜진, 『혈의 누』의 서사담론과 식민주의적 성격 연구',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6. 최종순, 이인직 소설 연구, 인하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7. 강현주, 이인직 소설의 인물 유형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우논문, 2001.
  • 가격2,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24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35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