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신라교육(신라시대교육)의 개요
1. 등장발달
2. 교육목적
3. 교육제도
4. 교육철학
5. 교육내용
6. 교육기능
7. 교육정신
8. 구성관계
Ⅱ. 신라교육(신라시대교육)의 기관 국학(태학감)
Ⅲ. 신라교육(신라시대교육)의 사상가 원효
1. 원효의 유식사상
2. 원효의 ꡔ기신론ꡕ 사상
3. 원효의 화엄사상
Ⅳ. 신라교육(신라시대교육)의 사상가 설총
Ⅴ. 신라교육(신라시대교육)의 사상가 고운 최치원
참고문헌
1. 등장발달
2. 교육목적
3. 교육제도
4. 교육철학
5. 교육내용
6. 교육기능
7. 교육정신
8. 구성관계
Ⅱ. 신라교육(신라시대교육)의 기관 국학(태학감)
Ⅲ. 신라교육(신라시대교육)의 사상가 원효
1. 원효의 유식사상
2. 원효의 ꡔ기신론ꡕ 사상
3. 원효의 화엄사상
Ⅳ. 신라교육(신라시대교육)의 사상가 설총
Ⅴ. 신라교육(신라시대교육)의 사상가 고운 최치원
참고문헌
본문내용
달리 당나라에 가서 선진 문물을 공부하였다고 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말할 것도 없고, 다녀왔다고 하여도 태종 때로부터 신문왕 때까지 활약한 강수(强首)에게 수학하였다고 생각된다. 『사기』의 기록대로 강수는 당대의 큰 유학자이면서 문장가이기 때문이다. 그의 관직에 대하여도 사서에 명기된 바가 없다. 『사기』에는 설총이 「풍왕서」를 짓자 신문왕이 크게 칭찬하고 높은 벼슬을 주었다고만 적고 있다. 신분으로 보아서 그 벼슬은 국학(國學)의 고위직일 것으로 추측된다. 다음에 설명될 것이지만, 후세에 유학을 공부하는 사람이 그가 읽고 해석한 경전을 따라 배웠다고 한 사서의 기사도 경전에 대한 그의 이해와 해석이 탁월한 사실에서 온 것으로 생각되나 그가 국학의 높은 벼슬을 가지고 유생(儒生)을 훈도한 관직에 있었다고 할 때 더욱 쉽게 수긍될 수 있는 것이다.
Ⅴ. 신라교육(신라시대교육)의 사상가 고운 최치원
역사를 바라보는 입장이 단순히 옛것을 숭상하고 맹종하기만한다면 그것은 가치가 없는 것이다. 12세의 어린나이에 중국에 들어가 문장으로 이름을 세계에 떨쳤다는 점은 신분적인 한계를 뛰어 넘어 자기 개발에 그가 얼마나 투철했으며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얼마나 신고했는지를 말해 주는 좋은 예가 된다고 하겠다. 자기 개발을 위해서 성실했던 자세, 우리 민족의 문예적인 우수성을 몸소 보여준 최치원의 역량을 우리는 현대적으로 계승해야 하겠다.
오랫동안 유학을 했으면서도 외국 문화에 매몰되지 않고 우리 사상의 우수성과 특징적인 체계를 찾아냈다는 점을 중시해야 한다. 아무리 아름답고 현란한 문화와 사상도 그 자체가 우리 민족의 구체적인 삶에 도움이 될 수 없다는 점을 깨닫고 풍류도라는 우리의 사상에 대해 이론적인 체계를 갖추어 그 우수성은 설명했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그 위대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최치원은 우리 사상이 갖는 원융성(圓融性), 그리고 보편성과 특수성을 일찍이 증명하여 우리가 세계문화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예견하였다. 현대 우리 민족이 종교의 시장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세계의 각종 종교사상을 수용하고 있으며 이념적으로도 자본주의, 사회주의라는 대립적인 두 사상을 동시에 수용하고 있는 실정인데 장차 이를 변증법적으로 통합하여 새로운 종교와 사상을 창조함으로써 인류가 당면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근거도 제 사상을 아우를 수 있는 우리 사상의 원융성에서 찾을 수 있다. 최치원이 보여준 주체적인 사상은 민족의 정기를 바로 세움은 물론 세계적, 인류적인 과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커다란 시사점을 던져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국내에서나 국외에서, 정치에 나아가거나 물러나거나 어떤 상황에 처하든지 최치원은 거기에 맞게 대응하였다. 외국에 나가서는 이국의 문물을 배우는 것은 물론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혼신의 힘을 다했고, 귀국해서는 나라의 정치를 바로 잡기 위하여 선정을 펴고 정무를 처리했다. 정치 현실에 나아가서는 현실의 개혁을 위하여 애썼고 물러 나와서도 자기 스스로의 독선적 세계를 흔들리지 않고 견지해 나갔다. 결국 최치원은 자기가 처한 시간적 상황, 공간적 상황에 합당한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상현, 원효, 고려원
박태원, 원효와 의상의 통합 사상, 울산대출판사, 2004
성낙희, 최치원의 시정신연구, 관동출판사, 1986
이능우, 최치원, 신라의 지성, 한국의 인간상 제5권, 신구문화사, 1965
이복규, 최치원의 문학 사상,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청람어문학회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한국인물 대사전, 중앙일보 출판법인 중앙 M&B, 1999
황영선 편저, 원효의 생애와 사상, 서울 : 국학자료원, 1996
Ⅴ. 신라교육(신라시대교육)의 사상가 고운 최치원
역사를 바라보는 입장이 단순히 옛것을 숭상하고 맹종하기만한다면 그것은 가치가 없는 것이다. 12세의 어린나이에 중국에 들어가 문장으로 이름을 세계에 떨쳤다는 점은 신분적인 한계를 뛰어 넘어 자기 개발에 그가 얼마나 투철했으며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얼마나 신고했는지를 말해 주는 좋은 예가 된다고 하겠다. 자기 개발을 위해서 성실했던 자세, 우리 민족의 문예적인 우수성을 몸소 보여준 최치원의 역량을 우리는 현대적으로 계승해야 하겠다.
오랫동안 유학을 했으면서도 외국 문화에 매몰되지 않고 우리 사상의 우수성과 특징적인 체계를 찾아냈다는 점을 중시해야 한다. 아무리 아름답고 현란한 문화와 사상도 그 자체가 우리 민족의 구체적인 삶에 도움이 될 수 없다는 점을 깨닫고 풍류도라는 우리의 사상에 대해 이론적인 체계를 갖추어 그 우수성은 설명했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그 위대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최치원은 우리 사상이 갖는 원융성(圓融性), 그리고 보편성과 특수성을 일찍이 증명하여 우리가 세계문화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예견하였다. 현대 우리 민족이 종교의 시장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세계의 각종 종교사상을 수용하고 있으며 이념적으로도 자본주의, 사회주의라는 대립적인 두 사상을 동시에 수용하고 있는 실정인데 장차 이를 변증법적으로 통합하여 새로운 종교와 사상을 창조함으로써 인류가 당면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근거도 제 사상을 아우를 수 있는 우리 사상의 원융성에서 찾을 수 있다. 최치원이 보여준 주체적인 사상은 민족의 정기를 바로 세움은 물론 세계적, 인류적인 과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커다란 시사점을 던져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국내에서나 국외에서, 정치에 나아가거나 물러나거나 어떤 상황에 처하든지 최치원은 거기에 맞게 대응하였다. 외국에 나가서는 이국의 문물을 배우는 것은 물론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혼신의 힘을 다했고, 귀국해서는 나라의 정치를 바로 잡기 위하여 선정을 펴고 정무를 처리했다. 정치 현실에 나아가서는 현실의 개혁을 위하여 애썼고 물러 나와서도 자기 스스로의 독선적 세계를 흔들리지 않고 견지해 나갔다. 결국 최치원은 자기가 처한 시간적 상황, 공간적 상황에 합당한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상현, 원효, 고려원
박태원, 원효와 의상의 통합 사상, 울산대출판사, 2004
성낙희, 최치원의 시정신연구, 관동출판사, 1986
이능우, 최치원, 신라의 지성, 한국의 인간상 제5권, 신구문화사, 1965
이복규, 최치원의 문학 사상,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청람어문학회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한국인물 대사전, 중앙일보 출판법인 중앙 M&B, 1999
황영선 편저, 원효의 생애와 사상, 서울 : 국학자료원, 199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