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
Ⅱ. 生命의 개념의 多義性과 그 定義의 難點
Ⅱ. 生命의 개념의 多義性과 그 定義의 難點
본문내용
도교와 유교의 생명관에 관한 자세한 논의는 진교훈, 환경윤리 : 동서양의 자연보전과 생명존중, 서울 : 민음사, 1998 : 131-179
앞에서 여러 관점에서 살펴본 것처럼 생명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대해서 우리는 한마디로 일의적으로 대답할 수 없다. 왜냐하면 생명은 일회적인 것, 내면적인 것, 영혼이 깃들어 있는 것, 역동적인 것(das Dynamische), 체험에 의해서만 이해될 수 있는 것, 따라서 초합리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Will T. Blackstone, "The Search for an Environmental Ethic," Tom Regan (ed), Matters of Life and Death, Philadelphia : Temple University Press, 1980 : 301
그러므로 생명은 기계론적인 사고, 도식화하는 사고, 수학적합리주의적인 사고로 파악될 수 없고 정서적인 느낌을 통해 간접적으로 겨우 이해될 수 있을 뿐이다.
생명의 사전적 정의는 엄밀히 말하면 同語反覆(Tautologie)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엔텔레키아’설을 비롯하여 많은 철학자들이 생명에 관해서 정의를 내렸지만, 그러한 논의는 이미 전제 속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을 분석하는 데 불과할 뿐 새로운 것으로 종합하지 못했으며, 생명의 어떤 필요조건을 제시할 수 있었을 뿐이고, 충분조건을 제시해 주지는 못했다. G. Marian Kinget, On being Human, New York : Harcourt Brace Janovich, 1975 : 240이하.
생명의 의미는 셀러(M. Scheler) Max Scheler, Der Formalismus in der Ethik und die materiale Wertethik, Gesammelte Werke, Bd.2. Bern : Francke, 1980 : 68, 280f., 340-344
나 베르그송(H. Bergson) Henri Bergson, L'evolution creatrice, 1907 : 서문
이 말한 것처럼 우리의 인식의 대상이 아니다. 생명의 의미는 明證的(evident)이며 本質直觀(Wesensanschaung)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뿐이다. 왜냐하면 생명은 그 무엇으로 환원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생명의 본질은 신비로 가득차 있다. 그 누구도 생명의 신비를 다 파헤쳐 보여 줄 수 없다. 인격이나 사랑과 같은 정신활동이 개념정의가 될 수 없듯이 생명은 개념정의를 할 수 없는 말이다. 사람들은 육체적 생명(식물적 생명과 동물적 생명을 포함), 영혼적 생명, 정신적 생명, 우주적 생명, Thome H. Fang, Chinese Philosophy, Taipei : Linking Pub., 1981 : 106-108
영원한 생명에 관해서 언급한다. 관점에 따라 생명의 범위는 크고 넓다. 그러므로 우리는 생명의 논의가 ‘논점이탈의 오류’ 또는 ‘일반화의 오류’에 빠질 가능성에 유념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단지 생명은 ‘의미있고’(sinnerfullt), ‘가치가 충분한’(werterfullt)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Max Scheler, 앞의 책 : 341
우리는 殺生과 생명에 손상을 입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며, 생명을 존중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정상적인 사람은 생명의 가치를 부인하거나 의심하지 않는다. 우리는 근본적으로 생명을 존귀한 것이라고 믿을 수 있을 뿐이다. 우리는 이제 생명이 무엇인가라고 물을 것이 아니라 우리는 어떻게 생명의 존귀함을 이해하고 어떻게 생명을 고양시킬 수 있는가를 물어야 할 것이다.
색인어 : 생명의 의미, 생명의 본질, 생명존중
앞에서 여러 관점에서 살펴본 것처럼 생명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대해서 우리는 한마디로 일의적으로 대답할 수 없다. 왜냐하면 생명은 일회적인 것, 내면적인 것, 영혼이 깃들어 있는 것, 역동적인 것(das Dynamische), 체험에 의해서만 이해될 수 있는 것, 따라서 초합리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Will T. Blackstone, "The Search for an Environmental Ethic," Tom Regan (ed), Matters of Life and Death, Philadelphia : Temple University Press, 1980 : 301
그러므로 생명은 기계론적인 사고, 도식화하는 사고, 수학적합리주의적인 사고로 파악될 수 없고 정서적인 느낌을 통해 간접적으로 겨우 이해될 수 있을 뿐이다.
생명의 사전적 정의는 엄밀히 말하면 同語反覆(Tautologie)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엔텔레키아’설을 비롯하여 많은 철학자들이 생명에 관해서 정의를 내렸지만, 그러한 논의는 이미 전제 속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을 분석하는 데 불과할 뿐 새로운 것으로 종합하지 못했으며, 생명의 어떤 필요조건을 제시할 수 있었을 뿐이고, 충분조건을 제시해 주지는 못했다. G. Marian Kinget, On being Human, New York : Harcourt Brace Janovich, 1975 : 240이하.
생명의 의미는 셀러(M. Scheler) Max Scheler, Der Formalismus in der Ethik und die materiale Wertethik, Gesammelte Werke, Bd.2. Bern : Francke, 1980 : 68, 280f., 340-344
나 베르그송(H. Bergson) Henri Bergson, L'evolution creatrice, 1907 : 서문
이 말한 것처럼 우리의 인식의 대상이 아니다. 생명의 의미는 明證的(evident)이며 本質直觀(Wesensanschaung)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뿐이다. 왜냐하면 생명은 그 무엇으로 환원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생명의 본질은 신비로 가득차 있다. 그 누구도 생명의 신비를 다 파헤쳐 보여 줄 수 없다. 인격이나 사랑과 같은 정신활동이 개념정의가 될 수 없듯이 생명은 개념정의를 할 수 없는 말이다. 사람들은 육체적 생명(식물적 생명과 동물적 생명을 포함), 영혼적 생명, 정신적 생명, 우주적 생명, Thome H. Fang, Chinese Philosophy, Taipei : Linking Pub., 1981 : 106-108
영원한 생명에 관해서 언급한다. 관점에 따라 생명의 범위는 크고 넓다. 그러므로 우리는 생명의 논의가 ‘논점이탈의 오류’ 또는 ‘일반화의 오류’에 빠질 가능성에 유념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단지 생명은 ‘의미있고’(sinnerfullt), ‘가치가 충분한’(werterfullt)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Max Scheler, 앞의 책 : 341
우리는 殺生과 생명에 손상을 입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며, 생명을 존중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정상적인 사람은 생명의 가치를 부인하거나 의심하지 않는다. 우리는 근본적으로 생명을 존귀한 것이라고 믿을 수 있을 뿐이다. 우리는 이제 생명이 무엇인가라고 물을 것이 아니라 우리는 어떻게 생명의 존귀함을 이해하고 어떻게 생명을 고양시킬 수 있는가를 물어야 할 것이다.
색인어 : 생명의 의미, 생명의 본질, 생명존중
키워드
추천자료
[생명윤리][생명윤리학][생명공학]생명윤리학의 성립 배경, 생명공학의 연구와 윤리학, 유전...
[생명윤리][생명][윤리][생명공학]생명윤리 논의를 통한 향후 생명윤리의 방향 설정(현대윤리...
[생명윤리]생명윤리가 현대사회에 등장하게 된 원인, 생명윤리학의 발전, 생명윤리와 인간배...
생명윤리(의학윤리, 의료윤리)의 중요성과 배경, 생명윤리(의학윤리, 의료윤리)의 교육과 관...
생명의 의미, 생명과 가치, 생명윤리(생명의료윤리)의 배경, 생명윤리(생명의료윤리)의 이론,...
생명윤리(의료윤리, 의학윤리) 개념과 역사, 생명윤리(의료윤리, 의학윤리) 필요성과 이론, ...
[생명윤리법]생명윤리법(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의 제정과정, 인간배아연구, 생명윤리법(...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생명윤리법의 제정 배경 및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