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머리말
2.본론
․이규보의 생애
․이규보의 사상적 입장과 시론
․이규보의 시세계에 대하여
․이규보의 新義論과 詩의 特質
․詩論
․이규보의 文學觀
3.결론
2.본론
․이규보의 생애
․이규보의 사상적 입장과 시론
․이규보의 시세계에 대하여
․이규보의 新義論과 詩의 特質
․詩論
․이규보의 文學觀
3.결론
본문내용
사람들은 올해에도 30명의 東坡가 나왔다」고 하는 시대였다. 이규보는 이러한 풍조에 대해서 반론을 제기하는 것을 자기의 사명으로 삼았다.
무릇 古人의 體를 본받으려면, 반드시 먼저 그 시를 익히도록 읽은 후에 본받아야 목적을 이룰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표절해 빼앗는 것이 오히려 어렵다. 이것은 도적에다 비할 수 있다. 먼저 부자집을 잘 살피고, 그 대문이 나 안문, 담장이나 울타리를 익힌 후에 집안으로 들어가야만, 그 집 사람의 것을 빼앗아 자기의 것을 만들어도 그 집 사람이 모르게 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주머니나 뒤지고 상자나 열어보는 데도 이르지 못하고 반드시 잡히 고 만다. 나는 어려서부터 放浪無檢해서 독서를 아주 정교하게 하지는 않았다. 비록 六經이나 諸子나 史記의 글이 라도 섭렵하는데 그치고, 그 근원을 캐는 데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하물며 諸家章句의 글이야 말할 것도 없다. 그 글에 익지 않았으니, 그 체를 본받고, 그 말을 훔칠 수 있겠는가? 이것이 新語를 지어내지 않을 수 없는 이유이 다. - 新語論
이규보는 스스로 詩書六經, 諸子百家, 史筆의 글을 비롯해서 궁벽한 경전, 梵書, 道家의 설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것을 모아서 거울삼아 보고 외어 읽어서 적절할 때 응용하려고 마련해 두었다고 했다. 신어를 창작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공부가 부족한데 있지 않고, 표절해서 가지는 것이 도적의 짓이기 때문이다. 이규보가 새롭고 독창적인 문학을 주장한 것은 당시의 지배적인 풍조에 대해 반발하기 위한 단순한 몸짓도 아니고, 자기의 독특한 개성을 실현하기 위한 시도도 아니었다. 이규보는 새 시대의 문학을 객관적으로 인식했고, 문학작품의 평가 기준도 객관화하려고 했다. 자기의 시라도 남의 시와 같이 보아 결함을 찾아야 한다는 비판적인 태도를 주장했고, 시의 아홉가지 좋지 못한 체를 들어서 시를 논하기도 했다.
이처럼 斯文의 타락을 근심하고, 風雅의 전통을 되찾으려고 하는 것은 장차 전개될 理氣哲學적 문학사상에서 더욱 강조된 바이고, 이규보는 그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6) 이규보의 文學觀
李奎報의 文學은 현실을 철저하게 체험하여 독특한 세계관을 나타내 보였고 前代의 고려문학을 수렴하여 특이하고 개성있는 문학을 창출한 결과 고려문학에 있어서 발전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어 고려후기의 문학세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다.
李奎報 이전까지의 문인들의 문학에 대한 경향은 표현대상물을 直觀的으로 觀照하여 실물과 흡사하게 詩文을 형성하기보다는 古代 文學을 直觀的 觀照의 대상으로 구체화시키는데 傾倒 된 것이 지배적이었다.
모방과 도습으로 나타난 기교주의의 한계성은 문학을 발전시켰다기 보다는 오히려 침체 시켰고 여기에 대한 반성이 일어난 것은 자연적인 현상인 것이다.
이에 고려 중엽에 일어난 새로은 문학 운동은 작품 내용의 가치를 <新意>에서 파악하자는 것으로 문학 작품의 내용을 평가하는 가치 기준의 차이에서 나온 것이다. 기교주의의 문학관의 대표적인 문인은 이인로, 임춘이라고 할 수 있고 新意論의 대표적인 문인으로는 이규보와 최자를 들 수 있다.
李奎報의 문학관을 살펴보는데 있어 또 하난 중요한 점은 그가 가지고 있던 우리 문학에 대한 自主的 文學觀이라 하겠다. 그의 自主的 文學觀은 <新意論>과 <東明王篇>에서 명료하게 드러난다.
李奎報가 지니고 있던 우리 문학의 정통성에 대한 생각은 대체로 우리 문학과 중국 문학과의 對此를 통해서 추구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중국 문학의 우수성을 인정하면서도 우리 문학의 정통성 확립과 문학사 정립을 도모하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것은 우리 문학이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을 인정하면서도 아울러 우리 문학의 정통성을 추구하자는 것으로 그의 자주적인 문학관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李奎報의 우리 문학사 확립에 대한 생각이 後代 문인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사실이 지금 우리 문학사의 정립에 있어 바탕이 되었다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그의 自主的인 文學觀은 대체로 우리 문학에 대한 정통성 확립과 우리 문학사의 새로운 인식으로 대표 될 수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李奎報의 自主的인 생각은 우리 문학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는 가운데 거기에서 우리 문학이 가지는 自主性을 발견하고 있다는 데 주목해야할 것이다.
「결론」
마지막으로 이규보를 더욱 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글을 소개하고 싶다. 이규보가 자호를 백운거사라 고치자 어떤 이가 그 연유를 물었는데 다음의 글은 그의 답이다.
“대저 구름이란 물체는 한가히 떠서 산에도 머물지 않고, 하늘에도 매이지 않으며, 나부껴 동서로 떠다녀 그 형적이 구애받는 바 없네. 경각에 변화하면 그 끝나는 데가 어딘지 알 수 없네. 유연히 펴지는 것은 곧 군자가 세상에 나가는 기상이요, 의연히 걷히는 것은 곧 고인이 세상을 은둔하는 기상이며, 비를 만들어 가뭄을 구제하는 것은 인(仁)이요, 오면 한군데 정착하지 않고 가면 미련을 남기지 않은 것은 통(通)이네. 그리고 빛깔이 푸르거나 붉거나 검은 것은 구름의 정색이 아니요, 오직 화채(華彩)없이 흰 것만이 구름의 정상인 것이네. 덕과 빛깔이 저와 같으니, 만일 저를 사모해 배워서 세상에 나가면 만물에 은덕을 입히고, 집에 들어앉으면 허심탄회하여 그 흰 것을 지키고, 그 정상에 처하여 무성(無聲)무색(無色)하여 무한한 경지에 들어가게 된다면, 구름이 나인지 내가 구름인지 알 수 없을 것이네.” 이런 그를 후대에서는 “이권에 개입하지 않은 문관이었고, 양심적이나 소심하였다. 학식은 풍부하였으나 그의 작품은 즉흥적으로 의식에 떠오르는 대로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가문을 세우고, 본인의 문명을 떨치려는 명예심에서 입신출세주의자, 보신주의자가 되었다. 최씨정권하의 일반 문관리의 전형이다.”라고 평하고 있는데, 글(文)로써 자신이 가지고 있는생각과 사상을 담아내어, 타인을로 하여금 감정의 변화를 시킨다는 것은 말처럼 쉽지만은 않다. 그러나 이규보의 문장(文學)속에 담겨진 사상은 후대인 지금에 이르러서도, 연구의 대상이 되고, 영향을 끼치고 있다. 자호가 “백운거사”인 그가 구름이되어 한가롭게 떠다니면서 그의 문학사상을 전하는 것 같다.
무릇 古人의 體를 본받으려면, 반드시 먼저 그 시를 익히도록 읽은 후에 본받아야 목적을 이룰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표절해 빼앗는 것이 오히려 어렵다. 이것은 도적에다 비할 수 있다. 먼저 부자집을 잘 살피고, 그 대문이 나 안문, 담장이나 울타리를 익힌 후에 집안으로 들어가야만, 그 집 사람의 것을 빼앗아 자기의 것을 만들어도 그 집 사람이 모르게 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주머니나 뒤지고 상자나 열어보는 데도 이르지 못하고 반드시 잡히 고 만다. 나는 어려서부터 放浪無檢해서 독서를 아주 정교하게 하지는 않았다. 비록 六經이나 諸子나 史記의 글이 라도 섭렵하는데 그치고, 그 근원을 캐는 데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하물며 諸家章句의 글이야 말할 것도 없다. 그 글에 익지 않았으니, 그 체를 본받고, 그 말을 훔칠 수 있겠는가? 이것이 新語를 지어내지 않을 수 없는 이유이 다. - 新語論
이규보는 스스로 詩書六經, 諸子百家, 史筆의 글을 비롯해서 궁벽한 경전, 梵書, 道家의 설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것을 모아서 거울삼아 보고 외어 읽어서 적절할 때 응용하려고 마련해 두었다고 했다. 신어를 창작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공부가 부족한데 있지 않고, 표절해서 가지는 것이 도적의 짓이기 때문이다. 이규보가 새롭고 독창적인 문학을 주장한 것은 당시의 지배적인 풍조에 대해 반발하기 위한 단순한 몸짓도 아니고, 자기의 독특한 개성을 실현하기 위한 시도도 아니었다. 이규보는 새 시대의 문학을 객관적으로 인식했고, 문학작품의 평가 기준도 객관화하려고 했다. 자기의 시라도 남의 시와 같이 보아 결함을 찾아야 한다는 비판적인 태도를 주장했고, 시의 아홉가지 좋지 못한 체를 들어서 시를 논하기도 했다.
이처럼 斯文의 타락을 근심하고, 風雅의 전통을 되찾으려고 하는 것은 장차 전개될 理氣哲學적 문학사상에서 더욱 강조된 바이고, 이규보는 그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6) 이규보의 文學觀
李奎報의 文學은 현실을 철저하게 체험하여 독특한 세계관을 나타내 보였고 前代의 고려문학을 수렴하여 특이하고 개성있는 문학을 창출한 결과 고려문학에 있어서 발전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어 고려후기의 문학세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다.
李奎報 이전까지의 문인들의 문학에 대한 경향은 표현대상물을 直觀的으로 觀照하여 실물과 흡사하게 詩文을 형성하기보다는 古代 文學을 直觀的 觀照의 대상으로 구체화시키는데 傾倒 된 것이 지배적이었다.
모방과 도습으로 나타난 기교주의의 한계성은 문학을 발전시켰다기 보다는 오히려 침체 시켰고 여기에 대한 반성이 일어난 것은 자연적인 현상인 것이다.
이에 고려 중엽에 일어난 새로은 문학 운동은 작품 내용의 가치를 <新意>에서 파악하자는 것으로 문학 작품의 내용을 평가하는 가치 기준의 차이에서 나온 것이다. 기교주의의 문학관의 대표적인 문인은 이인로, 임춘이라고 할 수 있고 新意論의 대표적인 문인으로는 이규보와 최자를 들 수 있다.
李奎報의 문학관을 살펴보는데 있어 또 하난 중요한 점은 그가 가지고 있던 우리 문학에 대한 自主的 文學觀이라 하겠다. 그의 自主的 文學觀은 <新意論>과 <東明王篇>에서 명료하게 드러난다.
李奎報가 지니고 있던 우리 문학의 정통성에 대한 생각은 대체로 우리 문학과 중국 문학과의 對此를 통해서 추구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중국 문학의 우수성을 인정하면서도 우리 문학의 정통성 확립과 문학사 정립을 도모하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것은 우리 문학이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을 인정하면서도 아울러 우리 문학의 정통성을 추구하자는 것으로 그의 자주적인 문학관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李奎報의 우리 문학사 확립에 대한 생각이 後代 문인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사실이 지금 우리 문학사의 정립에 있어 바탕이 되었다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그의 自主的인 文學觀은 대체로 우리 문학에 대한 정통성 확립과 우리 문학사의 새로운 인식으로 대표 될 수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李奎報의 自主的인 생각은 우리 문학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는 가운데 거기에서 우리 문학이 가지는 自主性을 발견하고 있다는 데 주목해야할 것이다.
「결론」
마지막으로 이규보를 더욱 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글을 소개하고 싶다. 이규보가 자호를 백운거사라 고치자 어떤 이가 그 연유를 물었는데 다음의 글은 그의 답이다.
“대저 구름이란 물체는 한가히 떠서 산에도 머물지 않고, 하늘에도 매이지 않으며, 나부껴 동서로 떠다녀 그 형적이 구애받는 바 없네. 경각에 변화하면 그 끝나는 데가 어딘지 알 수 없네. 유연히 펴지는 것은 곧 군자가 세상에 나가는 기상이요, 의연히 걷히는 것은 곧 고인이 세상을 은둔하는 기상이며, 비를 만들어 가뭄을 구제하는 것은 인(仁)이요, 오면 한군데 정착하지 않고 가면 미련을 남기지 않은 것은 통(通)이네. 그리고 빛깔이 푸르거나 붉거나 검은 것은 구름의 정색이 아니요, 오직 화채(華彩)없이 흰 것만이 구름의 정상인 것이네. 덕과 빛깔이 저와 같으니, 만일 저를 사모해 배워서 세상에 나가면 만물에 은덕을 입히고, 집에 들어앉으면 허심탄회하여 그 흰 것을 지키고, 그 정상에 처하여 무성(無聲)무색(無色)하여 무한한 경지에 들어가게 된다면, 구름이 나인지 내가 구름인지 알 수 없을 것이네.” 이런 그를 후대에서는 “이권에 개입하지 않은 문관이었고, 양심적이나 소심하였다. 학식은 풍부하였으나 그의 작품은 즉흥적으로 의식에 떠오르는 대로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가문을 세우고, 본인의 문명을 떨치려는 명예심에서 입신출세주의자, 보신주의자가 되었다. 최씨정권하의 일반 문관리의 전형이다.”라고 평하고 있는데, 글(文)로써 자신이 가지고 있는생각과 사상을 담아내어, 타인을로 하여금 감정의 변화를 시킨다는 것은 말처럼 쉽지만은 않다. 그러나 이규보의 문장(文學)속에 담겨진 사상은 후대인 지금에 이르러서도, 연구의 대상이 되고, 영향을 끼치고 있다. 자호가 “백운거사”인 그가 구름이되어 한가롭게 떠다니면서 그의 문학사상을 전하는 것 같다.
추천자료
백석 시 연구
백석 시 연구분석
조선의 여성작가 <허난설헌>
[모더니즘]모더니즘의 정의, 모더니즘의 이론, 모더니즘의 등장, 모더니즘의 전성, 모더니즘...
[자연주의]자연주의(자연주의사상) 작가와 작품, 자연주의(자연주의사상)와 사실주의(사실주...
한용운의 시와 한용운 시 세계의 특징
[상징주의작가][상징파작가]상징주의(상징파) 작가 폴 베를렌느, 상징주의(상징파) 작가 아르...
허난설헌의 시세계와 유선사에 나타난 세계관
[인문과학] 박두진
★ 성인간호학 - 아동학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아동학대의 개념, 아동학대의 유형, 아동학...
김유정론 - 슬픈 해학과 서정적 언어로 풀어 낸 1930년대 농촌 현실
조선후기 가사의 소설화 경향 분석 정리 (노처녀가, 덴동어미화전가 등)
(한국산업의 이해 B형) 한국의 건설산업에 관해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