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과표준어]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본 론

1. 훈민정음 제자의 원리
1) 문자와 소리의 조화
2) 분류와 분석 그리고 종합의 조화
3) 관찰과 상형
2. 한글 맞춤법이란
3. 한글맞춤법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
4. 한글 맞춤법의 원리
1) 띄어쓰기의 원리
2) 맞춤법과 띄어쓰기의 실제
3) 현대 정서법의 표기와 발음의 상관성

Ⅲ. 결론 및 개인적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까운 ‘부비다’가 역사적 표의어(歷史的 表意語)가 되며 ‘비비다’는 ‘부비다’에서 역행동화를 받아 표음적으로 나타난 신형이므로 역사적 표음어(歷史的 表音語)가 된다. 반면 ‘으스대다-으시대다*’는 공시적으로 표의, 표음형의 판단이 불가능한 공시적 중립어인데 역사적으로도 ‘으스대다’에서 ‘으시대다’가 되었는지, 아니면 그 반대인지가 불확실하여 역사적 중립어가 된다. 중립어(中立語)는 표음, 표의 대립이 어려운 단순한 혼동어(混同語)들이라 일명 단순혼동어(單純混同語)로도 부른다.
한편 발음과 표기의 상관성에서 어종(語種)이 다른 것끼리 나타나는 동음어나 유음어의 동철 및 이철 현상은 본고의 관심에서 제외한다. 가령, ‘사기(‘사다’의 명사형)-사기(士氣)’와 같은 이종동음동철어(異種同音同綴語)나 ‘어른-얼은’과 같은 이종동음이철어(異種同音異綴語)의 현상은 여기서 다루지 않는다. 이들은 정서법상의 오류를 거의 초래하지 않으며 동종어들에서 나타나는 발음과 표기의 상관성 문제와 달리 발음과 표기의 상관성 문제에서 어려움이 없기 때문이다. 이제 이에 따라 각 유형을 용례 중심으로 제시하여 본다(이하 필요시에는 ‘맞=한글맞춤법’, ‘표=표준어규정’으로 약호를 써서 관련 항을 덧붙였으며, 사전 표시에서 <한글>은 ‘한글학회 편, 우리말큰사전’(1991)이며 <금성>은 ‘금성판 국어대사전’(1991, 개정 1996)이다.
Ⅲ. 결론 및 개인적 의견
현행 한글 맞춤법의 잘못된 점은 극히 일부의 예에 지나지 않는다. 자세히 찾아보면 잘못되었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이러한 잘못된 한글 맞춤법 때문에 우리나라 사람들은 우리 글자로 글을 쓰면서 글을 띄어 써야 할지 붙여 써야 할지 쉽게 구별하지 못하고 음식 이름도 제대로 적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 있게 되었다. 이 지구위에서 사는 60억의 사람중에서 자기 나라 글자로 글을 쓰면서 글을 띄어 써야 할지 붙여 써야 할지 쉽게 구별하지 못하고 음식 이름도 제대로 못 적는 사람이 우리나라 사람말고 있을까? 잘못 만들려진 한글 맞춤법이 수천 만 명의 우리나라 사람과 우리의 후손을 문화적으로 저급하게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한글이 세계에서 제일 과학적인 글자라고 자랑하기 전에 잘못된 한글 맞춤법을 고쳐서 한글을 쓰는 사람들과 한글을 읽는 사람들이 제대로 쓰고 제대로 읽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국민들이 한글의 본연의 의미를 진정으로 깨닫지 못하고 그저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되, 국민들의 통념에서 벗어나게 사용하거나 국제적인 망신을 가져오게 하는 것은 작년 숭례문 방화사건처럼 우리 스스로가 우리의 문화유산으로서의 한글을 욕되게 하는 것이 아닐까? ‘행복을 자신의 두 손안에 꽉 잡고 있을 때는 그 행복이 항상 작아 보이지만, 그것을 풀어준 후에야 비로소 그 행복이 얼마나 크고 귀중했던지 알 수 있다.’는 막심 고리끼의 말처럼 일제강점기에는 사용하고 싶어도 사용하지 못했던 한글을 이제는 자유롭게 자신의 의사 표현에 사용할 수 있는 만큼 한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고, 잘못된 한글 사용에 대해 반성하는 것도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미승우(1993), 새맞춤법과 교정의 실제, 어문각
민현식(1999), 국어정서법 연구, 태학사
안병희, 이희승 공저(1991), 한글 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안병희, 한글 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2003
나찬연, 한글 맞춤법의 이해, 월인, 2002
한용운, 한글 맞춤법의 이해와 실제, 한국문화사, 2004
김재욱, 새로운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북피아, 2005
고창운, 한글 맞춤법 해설과 이해, 경진문화사, 2006
  • 가격3,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3.26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41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