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영은 경기도 이천에서도 장호원과 접한 한적한 지역인 군량리에서 가마를 때며 작업에 몰두하며 자신을 소진하고 있다. 작업이 에너지 창조의 과정이듯 좋은 음악이나 그림처럼 감동을 줄 수 있는 그릇을 만들고 싶다는 작가는 우리 옛 도자기들을 보면 종종 그런 감동을 받곤 하는데 요즘 만들어진 도자기에서는 좀처럼 그런 감흥을 찾아보기 어렵다고 말한다. 그래서 정영은 전통을 근간으로 도자기에 감흥을 불어넣어 감동을 주는 도자기를 만들고자 십수년의 세월을 열정적인 작업 속에서 살고 있다.
이번 전시는 늘 전통과 현대의 조화에 대해 고찰하는 정영의 신작으로 자연스러운 기형에 장작 가마의 산화번조로 편안한 도자기부터 전통적인 사발과 항아리 등 다양한 작품 100여점이 선보일 예정이다. 작가 정영의 그릇들은 분청기법을 사용하면서 장작가마 번조 중에 굴뚝을 막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 산화번조 기법으로 완성한다. 발그스레한 불의 느낌이 그대로 남아있는 항아리와 다기 등이 편안하게 느껴진다. 작품들을 살펴보면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따로 성형해 붙여 만든 항아리와 다기는 정형화 되지 않은 자연스러운 곡선을 만들어 내어 새로운 조형성을 선보이는 작품들을 중심으로 무심한 듯 그려 넣은 철화가 기형과 조화를 이루기도 하고 때때로 다분히 의도적인 해학을 느끼게 하는 항아리가 눈길을 잡아끈다. 재가 날라 붙거나, 부분적으로 환원이 일어나거나, 가마천장에 붙어있던 티끌들이 내려앉아 기물에 불규칙적인 변화를 준 주전자 등 장작 가마의 맛을 한껏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작품들로 마련된다.
가마에서 활활 타오른 불꽃처럼 끊임없이 도전하는 작가. 가장 한국적이면서도 현대적인 작품이길 바라는 정영만의 새로운 작품세계는 도심 속 일상에서 쳇바퀴 돌 듯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안식처를 제공하는 새로운 전시가 될 것이다.
도자기 그릇을 좋아하는 이유는 푸근하고 정겹기 때문이다.
차 한잔을 마셔도 기계로 만든 컵보다는 사람 손으로 만들어진 그릇이 더욱 맛있고 따뜻하다. 우연히 도자기를 만들 기회가 있었는데 도자기를 만들 때 참 심적으로 평온함을 느꼈다.
작가의 도자기를 보고 있자니, 그런 평온함과 따뜻함이 가슴속까지 다가오는 느낌이었다.
티끌하나 없는 매끈한 그릇 보다는 울퉁불퉁하고 해학적인 맛이 있는 도자기들, 투박스럽지만 그 투박스러움이 더 아름다워 보이는 다기들... 이런 것들이 진정 한국인의 미(美)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 전시는 늘 전통과 현대의 조화에 대해 고찰하는 정영의 신작으로 자연스러운 기형에 장작 가마의 산화번조로 편안한 도자기부터 전통적인 사발과 항아리 등 다양한 작품 100여점이 선보일 예정이다. 작가 정영의 그릇들은 분청기법을 사용하면서 장작가마 번조 중에 굴뚝을 막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 산화번조 기법으로 완성한다. 발그스레한 불의 느낌이 그대로 남아있는 항아리와 다기 등이 편안하게 느껴진다. 작품들을 살펴보면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따로 성형해 붙여 만든 항아리와 다기는 정형화 되지 않은 자연스러운 곡선을 만들어 내어 새로운 조형성을 선보이는 작품들을 중심으로 무심한 듯 그려 넣은 철화가 기형과 조화를 이루기도 하고 때때로 다분히 의도적인 해학을 느끼게 하는 항아리가 눈길을 잡아끈다. 재가 날라 붙거나, 부분적으로 환원이 일어나거나, 가마천장에 붙어있던 티끌들이 내려앉아 기물에 불규칙적인 변화를 준 주전자 등 장작 가마의 맛을 한껏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작품들로 마련된다.
가마에서 활활 타오른 불꽃처럼 끊임없이 도전하는 작가. 가장 한국적이면서도 현대적인 작품이길 바라는 정영만의 새로운 작품세계는 도심 속 일상에서 쳇바퀴 돌 듯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안식처를 제공하는 새로운 전시가 될 것이다.
도자기 그릇을 좋아하는 이유는 푸근하고 정겹기 때문이다.
차 한잔을 마셔도 기계로 만든 컵보다는 사람 손으로 만들어진 그릇이 더욱 맛있고 따뜻하다. 우연히 도자기를 만들 기회가 있었는데 도자기를 만들 때 참 심적으로 평온함을 느꼈다.
작가의 도자기를 보고 있자니, 그런 평온함과 따뜻함이 가슴속까지 다가오는 느낌이었다.
티끌하나 없는 매끈한 그릇 보다는 울퉁불퉁하고 해학적인 맛이 있는 도자기들, 투박스럽지만 그 투박스러움이 더 아름다워 보이는 다기들... 이런 것들이 진정 한국인의 미(美)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