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현대미술 속에 나타난 abject
<목 차>
Ⅰ. 서론
Ⅱ. 현대 미술에 있어서의 신체의 의미
Ⅲ. 신체, Abject 미술
1. Abject란 무엇인가?
2. Abject 미술의 전개
3. 신디 셔먼의 후기작
Ⅳ. 현대미술의 예술성
Ⅴ. 결론
<참고문헌>
<목 차>
Ⅰ. 서론
Ⅱ. 현대 미술에 있어서의 신체의 의미
Ⅲ. 신체, Abject 미술
1. Abject란 무엇인가?
2. Abject 미술의 전개
3. 신디 셔먼의 후기작
Ⅳ. 현대미술의 예술성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도 충격적인 내용은 많은 생각을 불러일으킨다. 무관심성은 매우 유쾌하지 않은 어떤 사물을 보고 이해하는 데 아주 작은 역할만을 감당한다. 그러나 작품의 내용 또한 매우 중요하다. 허스트가 사용하는 제목들이 이것을 암시하고 있는지 모른다. 그는 <살아있는 누군가의 정신 속에 있는 죽음의 물리적인 불가능성> 이라는 제목이 붙은 작품에서처럼, 과감한 문제들을 던지며 관람객과 직접 대면한다. 또한 세라노의 작품처럼 추하고 충격적인 현대미술 역시 과거의 중요한 예술에서처럼 서구 유럽의 규범에서 분명한 선조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주장되어진다. 예술은 취미를 가진 사람들에 의해 향유되는 형식미 위주의 작품들과 아름답고 고상한 도덕적인 메세지의 작품들만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비윤리적인 내용의 추하고 불쾌한 작품들도 포함한다. 그러나 그 내용이 어떻게 해석되는가는 계속해서 더 논의해야 할 문제로 남아있다.
Ⅳ. 결론
고전미술이 우리의 삶에 무언가를 가미해 포장하여 덧칠하려 했다면 현대미술은 우리의 삶보다 훨씬 더 심플해 보인다. 현대미술은 삶에서 무언가를 빼고, 벗기고, 삶의 색깔 뒤에 숨어있는 시커먼 자국들을 그렸다 지웠다 반복하는 행위이다. 너무나 솔직한 미술이다. 그것은 우리의 삶에서 위선과 겉치레를 조금이나마 걷어낸 결과일 것이다.
이처럼 현대미술은 빼기, 벗기기의 작업이며 창조라기보다는 오히려 파괴에 가까워 보인다. 인간은 파괴를 원한다. 파괴는 인간의 본성이며 인간의 척도 가운데 하나이다. 그렇다면 파괴를 표현하는 것은 또한 인간의 본성을 표현함에 다름없지 않겠는가. 파괴를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나 파괴 행위를 변화시키며 그 변화에서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대미술은 순수한 개념의 장난이 아니라 좀더 솔직하고 쉬운 미술이 되고자 했기 때문에 위선이나 포장을 벗어버리려 발 벗고 나선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파괴의 미학을 설명한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인 동시에 굉장한 모험이기도 할 것이다. 이것은 아름다움이 예술의 결과라는 아주 근본적인 생각에 정면으로 맞서기 때문이다. 어떻게 아름다움을 부정하고 아름다움을 해체하는 작업에서 아름다움을 느낀다고 얘기 할 수 있겠는가? 이것이 바로 현대미술 비평의 딜레마이자 숙제일 것이다.
<참고문헌>
신시아 프리랜드 <과연 그것이 미술일까?> 아트북스 2002
로스리 골드버그 <행위예술> 동문선 1989
A. 헨리 <토탈아트-전위예술이란 무엇인가> 정음문화사 2004
브렌든 테일러 <오늘의 미술> 도서출판 예경 2002
카트린 밀레 <현대미술> 영림카디널 2008
박선규 <예술이냐 외설이냐> 도서출판 신원 2007
박정욱 <거꾸로 서있는 미술관> 예담 2002
문정규 <행위예술 문정규의 표현어법> 행위예술 연구소
강태희 <현대미술의 또다른 지평> 시공사 2000
윤진섭 <현대 미술의 쟁점과 현장> 미진사 1997
신현림 <너무 매혹적인 현대미술> 바다출판사 2002
김원방 <잔혹극 속의 현대미술> 도서출판 예경 1998
심상용 <현대미술의 욕망과 상실> 현대미학사
Ⅳ. 결론
고전미술이 우리의 삶에 무언가를 가미해 포장하여 덧칠하려 했다면 현대미술은 우리의 삶보다 훨씬 더 심플해 보인다. 현대미술은 삶에서 무언가를 빼고, 벗기고, 삶의 색깔 뒤에 숨어있는 시커먼 자국들을 그렸다 지웠다 반복하는 행위이다. 너무나 솔직한 미술이다. 그것은 우리의 삶에서 위선과 겉치레를 조금이나마 걷어낸 결과일 것이다.
이처럼 현대미술은 빼기, 벗기기의 작업이며 창조라기보다는 오히려 파괴에 가까워 보인다. 인간은 파괴를 원한다. 파괴는 인간의 본성이며 인간의 척도 가운데 하나이다. 그렇다면 파괴를 표현하는 것은 또한 인간의 본성을 표현함에 다름없지 않겠는가. 파괴를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나 파괴 행위를 변화시키며 그 변화에서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대미술은 순수한 개념의 장난이 아니라 좀더 솔직하고 쉬운 미술이 되고자 했기 때문에 위선이나 포장을 벗어버리려 발 벗고 나선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파괴의 미학을 설명한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인 동시에 굉장한 모험이기도 할 것이다. 이것은 아름다움이 예술의 결과라는 아주 근본적인 생각에 정면으로 맞서기 때문이다. 어떻게 아름다움을 부정하고 아름다움을 해체하는 작업에서 아름다움을 느낀다고 얘기 할 수 있겠는가? 이것이 바로 현대미술 비평의 딜레마이자 숙제일 것이다.
<참고문헌>
신시아 프리랜드 <과연 그것이 미술일까?> 아트북스 2002
로스리 골드버그 <행위예술> 동문선 1989
A. 헨리 <토탈아트-전위예술이란 무엇인가> 정음문화사 2004
브렌든 테일러 <오늘의 미술> 도서출판 예경 2002
카트린 밀레 <현대미술> 영림카디널 2008
박선규 <예술이냐 외설이냐> 도서출판 신원 2007
박정욱 <거꾸로 서있는 미술관> 예담 2002
문정규 <행위예술 문정규의 표현어법> 행위예술 연구소
강태희 <현대미술의 또다른 지평> 시공사 2000
윤진섭 <현대 미술의 쟁점과 현장> 미진사 1997
신현림 <너무 매혹적인 현대미술> 바다출판사 2002
김원방 <잔혹극 속의 현대미술> 도서출판 예경 1998
심상용 <현대미술의 욕망과 상실> 현대미학사
추천자료
미술교과 교육과 미술비평
집단미술치료의 이론과 미술치료기법
건축물미술장식제도_공공미술
미술치료의 정의, 개념, 역사, 이론, 기법, 미술치료 사례 및 미술치료 프로그램
[고전주의][고전주의 문학][고전주의 미술][고전주의 발레][고전주의 음악][문학][미술][발레...
[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미술]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미술적 특...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미술치료의 유용성과 과정,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미술치료의 ...
[미니멀아트, 개념, 전개, 기본구조미술, 미니멀아트와 과정미술] 미니멀아트의 개념, 미니멀...
초현실주의(초현실파) 미술의 의미와 특성, 초현실주의(초현실파) 미술의 탄생과 시초, 초현...
미술품 거래시장의 이해 및 기업의 미술품 마케팅 전략
[1960년대, 연극, 문학, 미술, 한국화, 팝음악, 패션]1960년대의 연극, 1960년대의 문학, 196...
[★★평가우수자료★★][서양미술사] 서양미술사에서 아테나(Athena) 도상의 변화 양상 - 고대에...
미술심리상담의 이해와 심리발달의 이해 - 미술심리 상담의 이해 & 미술심리상담의 심리...
미술치료 기법,사례분석- 미술치료 정의,필요성,이론분석및 미술치료 기법과 사례분석및 효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