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뮤지컬의 발생과 시기
2. 오페레타
3. 1920년대 말의 뮤지컬
4. <사운드 오브 뮤직>
5.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6. <마이 페어 레이디>
7. 컨셉 뮤지컬
8. <캣츠>
9. 뮤지컬의 구성
10. 음악의 비중
2. 오페레타
3. 1920년대 말의 뮤지컬
4. <사운드 오브 뮤직>
5.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6. <마이 페어 레이디>
7. 컨셉 뮤지컬
8. <캣츠>
9. 뮤지컬의 구성
10. 음악의 비중
본문내용
를 넘어선 뮤지컬 이벤트를 리차드 에덴보로 감독과 <플래시댄스>에서 안무를 맡은 제프리 호나디(Jeffrey Hornaday: 오리지널 뮤지컬 무대에서는 마이켈 베네트(Michael Bennett)가 안무를 맡음), 마빈 햄리쉬의 음악, 2700만달러의 제작비로 영화화하였다. 88년 아카데미와 45회 골든글로브 남우주연상 수상.
8.<캣츠>
-T.S. 엘리엇의 고양이를 다룬 동시집에 기초
-20년간 세계 180여개 도시에서 5천만명의 관객동원 / 5200억 이상의 수입
-잘 꾸며진 홍보전략, 현대적인 하이테크 무대
-고양이를 빗대어 인간사를 조명하는 가사와 감성적인 음악 (음악판매에서도 큰 성과)
-고양이를 통하여 인간의 속성을 우화적으로 그린, 브로드웨이 4대 뮤지컬 중의 하나.
-주제: 인간구원
-대본작가: 토마스 엘리엇, 국적: 영국, 초연연출가: 트래버 넌, 초연연월: 1981년
초연장소: 영국 런던, 수상: 1983년 미국 토니상 7개 부문
9. 뮤지컬의 구성
- 대본, 음악, 가사 로 구성
① 대본: 성공을 좌우하는 초석
(대본의 문제점): ★ 음악과 연관을 짓기 어려운 소재를 다루고 있을 때
★ 작가의 사명감
☆최초의 대본작가 = 오스카 해머스틴 2세
☆뮤지컬 대본작가 = 『마이 페어 레이디』를 각색한 알란 제이 러너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아서 로렌츠
『코러스라인』의 작가 제임스 커크우드와 니콜라스 단테
② 음악
- 뮤지컬에는 처음부터 끝까지 음악이 흐른다.
- 여러분야의 음악인들이 참여
- 대본이 완성된 직후에 음악을 만듬
③ 가사
- 대부분 음악을 만들고 가사를 짓는다 / BUT~! 해머스틴은 가사부터 만들고 곡을 지음
- 작사가의 역할은 매우 크다.
- 가사는 대사와 음악을 연결 / 각운과 리듬과 더불어 음악과 같은 경지에 이르면서 작품내용전달
- 뮤지컬 전체와 스토리, 그리고 인물에 충실해야한다.
10. 음악의 비중
- 음악은 그 자체로 즐거움 / 이야기의 진행에도 여러 가지 역할하며 관객인도
- 노래가사는 독백과 방백처럼 인물들의 이야기를 담아냄
- 반복되는 테마송은 앞서 진행된 사건과 그 후의 사건들을 연결 / 정조와 무드를 아우름
- 각 장면의 분위기, 템포를 조절 / 늘어질 수 있는 스토리 전개를 압축
(EX) 『피그말리온』: 길게 늘어져 있던 일라이자의 학습장면
→ 『마이 페어 레이디』: “ 스페인에 내리는 비” 노래 하나로 압축되면서 관객에게 큰 흥미 와 즐거움
8.<캣츠>
-T.S. 엘리엇의 고양이를 다룬 동시집에 기초
-20년간 세계 180여개 도시에서 5천만명의 관객동원 / 5200억 이상의 수입
-잘 꾸며진 홍보전략, 현대적인 하이테크 무대
-고양이를 빗대어 인간사를 조명하는 가사와 감성적인 음악 (음악판매에서도 큰 성과)
-고양이를 통하여 인간의 속성을 우화적으로 그린, 브로드웨이 4대 뮤지컬 중의 하나.
-주제: 인간구원
-대본작가: 토마스 엘리엇, 국적: 영국, 초연연출가: 트래버 넌, 초연연월: 1981년
초연장소: 영국 런던, 수상: 1983년 미국 토니상 7개 부문
9. 뮤지컬의 구성
- 대본, 음악, 가사 로 구성
① 대본: 성공을 좌우하는 초석
(대본의 문제점): ★ 음악과 연관을 짓기 어려운 소재를 다루고 있을 때
★ 작가의 사명감
☆최초의 대본작가 = 오스카 해머스틴 2세
☆뮤지컬 대본작가 = 『마이 페어 레이디』를 각색한 알란 제이 러너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아서 로렌츠
『코러스라인』의 작가 제임스 커크우드와 니콜라스 단테
② 음악
- 뮤지컬에는 처음부터 끝까지 음악이 흐른다.
- 여러분야의 음악인들이 참여
- 대본이 완성된 직후에 음악을 만듬
③ 가사
- 대부분 음악을 만들고 가사를 짓는다 / BUT~! 해머스틴은 가사부터 만들고 곡을 지음
- 작사가의 역할은 매우 크다.
- 가사는 대사와 음악을 연결 / 각운과 리듬과 더불어 음악과 같은 경지에 이르면서 작품내용전달
- 뮤지컬 전체와 스토리, 그리고 인물에 충실해야한다.
10. 음악의 비중
- 음악은 그 자체로 즐거움 / 이야기의 진행에도 여러 가지 역할하며 관객인도
- 노래가사는 독백과 방백처럼 인물들의 이야기를 담아냄
- 반복되는 테마송은 앞서 진행된 사건과 그 후의 사건들을 연결 / 정조와 무드를 아우름
- 각 장면의 분위기, 템포를 조절 / 늘어질 수 있는 스토리 전개를 압축
(EX) 『피그말리온』: 길게 늘어져 있던 일라이자의 학습장면
→ 『마이 페어 레이디』: “ 스페인에 내리는 비” 노래 하나로 압축되면서 관객에게 큰 흥미 와 즐거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