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뇌성마비 아동의 특성
2. 뇌성마비 아동의 언어지도
2. 뇌성마비 아동의 언어지도
본문내용
치며 하는 놀이라든가 노래, 동요 등 무엇이든 좋다. 그림책의 물건 이름이나 기도하는 말, 쉬운 이야기나 인사말도 괜찮다. 글을 읽을 수 있는 아이의 경우에는 이야기책 같은 것을 함께 소리 내어 읽어준다. 말의 길이와 마디 사이를 띄는 방법과 속도는 가능한 한 아이의 능력에 맞추어 하기 쉽도록 한다.
7. 언어 표현 동기 유발
1) 아동 스스로 결정하고자 하는 동기 부여
부모나 치료사는 그들이 자기주장을 하게끔 조심스럽게 자극하여야 한다. 부모는 아동이 어렸을 때부터 아동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자주 물어서 아동이 말을 하고자 하는 의욕을 키워 주어야 한다.
2) 사회적 연대의 욕구에 대한 동기 부여
뇌성마비아에게는 유아기에서 이러한 사회적 관계를 만들 수 있는 기회가 상당히 제한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심한 장애가 있는 뇌성마비아에게는 같은 또래의 동료와 사귈 기회를 가능한 한 일찍부터 충분히 만들어 주도록 노력해야 하며, 연령이 낮은 뇌성마비아의 요육 계획에 있어서는 더욱 사회화를 촉진할 수 있는 그룹 활동을 정기적으로 마련해 주어 말을 하고 싶어하는 의욕을 갖도록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아동 스스로 안정할 수 있는 방법
뇌성마비아는 대다수가 말하고자 할 때 상반신에 큰 불수의 운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말의 명료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조절이 곤란한 팔을 몸과 휠체어 사이에 넣어서 고정시킨다거나 손을 엉덩이 아래에 넣고 앉는 식의 습관을 갖게 해준다.
4) 말하려고 할 때 긴장에서 오는 불안의 완화
뇌성마비 성인 중에는 일차성의 긴장과 함께 말하기에 수반되는 2 차성의 긴장을 나타내는 사람이 많다. 이 2 차성의 긴장은 문제의 분석이나 부정, 훈련, 감정의 조절 등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말을 할 때에 얼굴을 찌푸리는 것도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5) 말의 한 토막 길이를 긴장을 고조시키지 않고 숨의 길이에 맞추도록 하는 훈련
말하기에 적절한 음절수의 길이를 판정하여 적절한 길이로 말을 끊어서 연습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말하기의 속도, 높낮이, 크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킨다. 단조로운 억양을 사용할 때에는 화법의 억양 형태를 본인에게 분석시키고 흉내를 통한 모방으로 훈련하는 것이 좋다.
6)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말에 의한 의사소통 방법이나 언어판의 사용
이러한 아동의 욕구 불만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2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1) 변별카드 : 친숙한 가족 이외에는 누구도 자기가 한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면 아동은 가족이 없을 때에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을 자기 집 주소, 이름과 장애의 사실, 아버지의 직장 주소, 전화 번호 등을 기입한 변별 카드를 항상 소지하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그것을 보여 주고 “예” 또는 “아니오”라는 표현을 하도록 훈련한다.
(2) 언어판 : 말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언어판을 교구로서 활용하거나 이용하는 것은 복잡한 의사소통을 많이 도와준다. 아동의 발달에 따라서 점증적으로 복잡한 말을 언어판에 첨가하여 가도록 한다.
7. 언어 표현 동기 유발
1) 아동 스스로 결정하고자 하는 동기 부여
부모나 치료사는 그들이 자기주장을 하게끔 조심스럽게 자극하여야 한다. 부모는 아동이 어렸을 때부터 아동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자주 물어서 아동이 말을 하고자 하는 의욕을 키워 주어야 한다.
2) 사회적 연대의 욕구에 대한 동기 부여
뇌성마비아에게는 유아기에서 이러한 사회적 관계를 만들 수 있는 기회가 상당히 제한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심한 장애가 있는 뇌성마비아에게는 같은 또래의 동료와 사귈 기회를 가능한 한 일찍부터 충분히 만들어 주도록 노력해야 하며, 연령이 낮은 뇌성마비아의 요육 계획에 있어서는 더욱 사회화를 촉진할 수 있는 그룹 활동을 정기적으로 마련해 주어 말을 하고 싶어하는 의욕을 갖도록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아동 스스로 안정할 수 있는 방법
뇌성마비아는 대다수가 말하고자 할 때 상반신에 큰 불수의 운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말의 명료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조절이 곤란한 팔을 몸과 휠체어 사이에 넣어서 고정시킨다거나 손을 엉덩이 아래에 넣고 앉는 식의 습관을 갖게 해준다.
4) 말하려고 할 때 긴장에서 오는 불안의 완화
뇌성마비 성인 중에는 일차성의 긴장과 함께 말하기에 수반되는 2 차성의 긴장을 나타내는 사람이 많다. 이 2 차성의 긴장은 문제의 분석이나 부정, 훈련, 감정의 조절 등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말을 할 때에 얼굴을 찌푸리는 것도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5) 말의 한 토막 길이를 긴장을 고조시키지 않고 숨의 길이에 맞추도록 하는 훈련
말하기에 적절한 음절수의 길이를 판정하여 적절한 길이로 말을 끊어서 연습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말하기의 속도, 높낮이, 크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킨다. 단조로운 억양을 사용할 때에는 화법의 억양 형태를 본인에게 분석시키고 흉내를 통한 모방으로 훈련하는 것이 좋다.
6)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말에 의한 의사소통 방법이나 언어판의 사용
이러한 아동의 욕구 불만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2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1) 변별카드 : 친숙한 가족 이외에는 누구도 자기가 한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면 아동은 가족이 없을 때에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을 자기 집 주소, 이름과 장애의 사실, 아버지의 직장 주소, 전화 번호 등을 기입한 변별 카드를 항상 소지하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그것을 보여 주고 “예” 또는 “아니오”라는 표현을 하도록 훈련한다.
(2) 언어판 : 말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언어판을 교구로서 활용하거나 이용하는 것은 복잡한 의사소통을 많이 도와준다. 아동의 발달에 따라서 점증적으로 복잡한 말을 언어판에 첨가하여 가도록 한다.
추천자료
(유아특수교육) 유아특수 교육의 필요성과 실태 및 바람직한 발전방향
[특수아교육]유아특수교육★★★★★
[특수아교육 (A+완성)] 장애별 유아특수교육의 과정의 비교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특수아교육]특수아동 완전통합교육
[특수아교육]유아 특수교육 분석과 발전방안 및 견해
[특수아교육] 유아특수교육에 대하여 논하시오
(방송통신대학교)특수아교육 만점레포트-유아특수교육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7)의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기준에 대해 정리하고 이 중 관심...
(A+ 레포트) [특수아교육]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
특수特殊아교육4A)우리나라 유아 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객관적 자료를 근거로 ...
[특수아교육 A형] 우리나라 유아 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객관적 자료(최근 통계...
(특수아교육 4B형)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장애아 ...
[특수아 교육 B형] 인터넷 강의에 내용에 근거하여 최근(2013년 기준) 우리나라의 유아특수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