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분위기에 따라서 선량했던 사람도 포악한 간수가 될 수 있고, 악독했던 사람도 순종적인 죄수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실제로 전쟁 중이나 정변사태에서는 다반사로 일어나는 일이라고 한다. 죄수나 포로에 대한 우월감과 지시를 이행하지 않았을 때의 모멸감이 이러한 상황을 만드는 것이다. 성선설을 믿었던 나로서는 충격이 아닐 수 없었고 성무선악설이 더 설득적이라는 생각이 들게 만들었다. 인간은 주어진 환경에 맞춰 살게 되고 자신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 역할은 무엇인지가 참 중요한 것 같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인즉슨 어떠한 위치에 있을 때 그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 영화는 이 명언을 대변하는듯한 영화이며 인간의 무서운 단면을 보여주는 심도 깊은 영화인 것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생명공학과 인간게놈프로젝트 및 생명윤리
자연과 인간 - 자연에 바라보는 인류의 여러 시각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기말고사 과제] 신문기사를 읽고 각 기사에 대하여 물어보는 질문에 자...
누가 인간복제를 두려워하는가
[인간과심리]지능과 창의성에 관한 이론들을 비교, 논하시오 - 지능과 창의성에 관한 이론들...
동물복제와 인간복제의 토론 자료
과연 인간은 자유 의지를 가지고 있는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행동주의적 성격이론[행동주의 이론]
[인간행동과사회환경]사회학습이론 - Bandura의 생애와 사회학습이론의 기본원리, 관찰학습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C형] 사회적 학습이론과 행동주의 이론을 비교하고 이론적 공통점과 상...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아둘러 이론과 매슬로 이론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
[인간과 교육 과제물] 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교육관을 비교, 설명 &am...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행동발달에 대한 스키너(B. Skinner)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