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영화의 시놉시스와 감독의 영화적 배경 분석
Ⅲ. 딸 \'영희\'의 시선과 외재적 접근법
Ⅳ. 아버지의 시선과 내재적 접근법
Ⅵ. 영화를 바라보는 두가지 시선과 가족애 코드
Ⅱ. 영화의 시놉시스와 감독의 영화적 배경 분석
Ⅲ. 딸 \'영희\'의 시선과 외재적 접근법
Ⅳ. 아버지의 시선과 내재적 접근법
Ⅵ. 영화를 바라보는 두가지 시선과 가족애 코드
본문내용
는 솔직한 딸의 질문에, 똑같이 마음을 열고 솔직한 답을 들려주는 아버지의 모습을 마주하며 양영희 감독은 카메라를 통해 아버지에 대한 마음의 문을 열게 된다.
양영희 감독의 아버지는 세 아들이 북한으로 귀국하기 전에 가족사진을 찍은 이후로 다시 한 번 모두 모여 가족사진을 찍고 싶다는 간절한 바람을 간직해 왔다. 그래서 가족은 4년 늦은 아버지의 진갑 잔치를 평양의 ‘옥류관’에서 열기로 한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양영희 감독의 카메라는 2004년의 평양의 일상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우리가 그 동안 TV를 통해 자주 접할 수 있었던 거대한 김일성 황금동상이나 추체 사상 탑, 매스 게임과 평양 거리의 풍경은 단순히 도식화된 북한의 이미지로서가 아니라, 현실적 입체감을 띄고 친밀하게 관객을 찾아간다. 그것은 생활인으로서 그 안에 살고 있는 오빠들의 가정이 더해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비록 조금 더 불편한 삶을 살고 있지만 그 곳 역시 우리와 같은 사람들이 같은 행복을 추구하며 살아가고 있는 곳인 것이다. 즉 가족관의 사랑과 더불어서 북한이나 일본, 그리고 한국 모두는 결국 인간으로서 개인이 행복을 추구하는 공간인 것이다.
양영희 감독의 가족은 우리와 같은 핏줄을 가지고 있으나 우리처럼은 살 수 없다. 하지만 결국 이 영화는, 이 세상 모든 가정에 존재하는 희로애락의 정서를 촘촘히 엮어냄으로써 얻어지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기에, 영화의 두 가지 접근법의 한계가 존재함에도 가족애라는 코드를 통하여 가족 안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공감을 전달했다는 측면에서 이 영화를 본 사람들에게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양영희 감독의 아버지는 세 아들이 북한으로 귀국하기 전에 가족사진을 찍은 이후로 다시 한 번 모두 모여 가족사진을 찍고 싶다는 간절한 바람을 간직해 왔다. 그래서 가족은 4년 늦은 아버지의 진갑 잔치를 평양의 ‘옥류관’에서 열기로 한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양영희 감독의 카메라는 2004년의 평양의 일상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우리가 그 동안 TV를 통해 자주 접할 수 있었던 거대한 김일성 황금동상이나 추체 사상 탑, 매스 게임과 평양 거리의 풍경은 단순히 도식화된 북한의 이미지로서가 아니라, 현실적 입체감을 띄고 친밀하게 관객을 찾아간다. 그것은 생활인으로서 그 안에 살고 있는 오빠들의 가정이 더해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비록 조금 더 불편한 삶을 살고 있지만 그 곳 역시 우리와 같은 사람들이 같은 행복을 추구하며 살아가고 있는 곳인 것이다. 즉 가족관의 사랑과 더불어서 북한이나 일본, 그리고 한국 모두는 결국 인간으로서 개인이 행복을 추구하는 공간인 것이다.
양영희 감독의 가족은 우리와 같은 핏줄을 가지고 있으나 우리처럼은 살 수 없다. 하지만 결국 이 영화는, 이 세상 모든 가정에 존재하는 희로애락의 정서를 촘촘히 엮어냄으로써 얻어지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기에, 영화의 두 가지 접근법의 한계가 존재함에도 가족애라는 코드를 통하여 가족 안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공감을 전달했다는 측면에서 이 영화를 본 사람들에게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영화감상문]디어 평양을 보고나서
영화'디어존'감상문
영화 평양날파람 감상문
[영화감상문]평양성
[인종차별영화][인종갈등영화감상문][인종차별영화감상문]리멤버타이탄+글로리로드 영화감상문
[장애극복][장애영화][장애를극복하는영화]블랙영화감상문+템플그랜딘+글러브영화감상문
[올해최신A+자료]영화감상문[반전영화][전쟁영화][플래툰][플래툰영화감상문][플래툰영화감상...
[우수평가자료A+]파워오브원 감상문[파워오브원 영화감상문][인종차별,인종갈등영화 파워오브...
[올해최신자료A+][마이너리티리포트감상문][SF영화 마이너리티리포트 영화감상문][마이너리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