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이론과 원칙
실험재료와 방법
실험결과
고찰 및 토의
참고문헌
실험재료와 방법
실험결과
고찰 및 토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측정 결과
파장
흡광도
파장
흡광도
파장
흡광도
380㎚
0.242
500㎚
0.028
620㎚
0.057
400㎚
0.288
520㎚
0.025
640㎚
0.060
420㎚
0.348
540㎚
0.029
660㎚
0.256
440㎚
0.218
560㎚
0.029
680㎚
0.048
460㎚
0.066
580㎚
0.037
700㎚
0.012
480㎚
0.037
600㎚
0.045
720㎚
0.008
3. 흡광도 곡선을 그래프로 그리고 엽록소 a의 최대흡수파장을 측정하시오
4. 엽록소 b의 흡광도 측정 결과
파장
흡광도
파장
흡광도
파장
흡광도
380㎚
0.271
500㎚
0.042
620㎚
0.069
400㎚
0.280
520㎚
0.030
640㎚
0.162
420㎚
0.397
540㎚
0.041
660㎚
0.212
440㎚
0.470
560㎚
0.043
680㎚
0.030
460㎚
0.552
580㎚
0.054
700㎚
0.008
480㎚
0.186
600㎚
0.060
5. 흡광도 곡선을 그래프로 그리고 엽록소 b의 최대흡수파장을 측정하시오
6. 엽록소 함량 측정의 결과
흡광도
645㎚
0.158
663㎚
0.348
엽록소 a/엽록소 b
각 엽록소의 함량
엽록소 a
㎎/㎖
엽록소 b
㎎/㎖
라) 고찰과 결론
마) 참고 문헌
아주대학교 교수, 생물학 실험, 제6판, 아주대학교출판부, 경기도 수원, 2004년 출판 67∼71p
두산세계대백과
http://211.114.56.154/
http://www.haned.org/
http://www.sesri.re.kr/multimidia/mdl/cd1/생물/
파장
흡광도
380㎚
0.242
400㎚
0.288
420㎚
0.348
440㎚
0.218
460㎚
0.066
480㎚
0.037
500㎚
0.028
520㎚
0.025
540㎚
0.029
560㎚
0.029
580㎚
0.037
600㎚
0.045
620㎚
0.057
640㎚
0.060
660㎚
0.256
680㎚
0.048
700㎚
0.012
720㎚
0.008
파장
흡광도
380㎚
0.271
400㎚
0.280
420㎚
0.397
440㎚
0.470
460㎚
0.552
480㎚
0.186
500㎚
0.042
520㎚
0.030
540㎚
0.041
560㎚
0.043
580㎚
0.054
600㎚
0.060
620㎚
0.069
640㎚
0.162
660㎚
0.212
680㎚
0.030
700㎚
0.008
파장
흡광도
파장
흡광도
파장
흡광도
380㎚
0.242
500㎚
0.028
620㎚
0.057
400㎚
0.288
520㎚
0.025
640㎚
0.060
420㎚
0.348
540㎚
0.029
660㎚
0.256
440㎚
0.218
560㎚
0.029
680㎚
0.048
460㎚
0.066
580㎚
0.037
700㎚
0.012
480㎚
0.037
600㎚
0.045
720㎚
0.008
3. 흡광도 곡선을 그래프로 그리고 엽록소 a의 최대흡수파장을 측정하시오
4. 엽록소 b의 흡광도 측정 결과
파장
흡광도
파장
흡광도
파장
흡광도
380㎚
0.271
500㎚
0.042
620㎚
0.069
400㎚
0.280
520㎚
0.030
640㎚
0.162
420㎚
0.397
540㎚
0.041
660㎚
0.212
440㎚
0.470
560㎚
0.043
680㎚
0.030
460㎚
0.552
580㎚
0.054
700㎚
0.008
480㎚
0.186
600㎚
0.060
5. 흡광도 곡선을 그래프로 그리고 엽록소 b의 최대흡수파장을 측정하시오
6. 엽록소 함량 측정의 결과
흡광도
645㎚
0.158
663㎚
0.348
엽록소 a/엽록소 b
각 엽록소의 함량
엽록소 a
㎎/㎖
엽록소 b
㎎/㎖
라) 고찰과 결론
마) 참고 문헌
아주대학교 교수, 생물학 실험, 제6판, 아주대학교출판부, 경기도 수원, 2004년 출판 67∼71p
두산세계대백과
http://211.114.56.154/
http://www.haned.org/
http://www.sesri.re.kr/multimidia/mdl/cd1/생물/
파장
흡광도
380㎚
0.242
400㎚
0.288
420㎚
0.348
440㎚
0.218
460㎚
0.066
480㎚
0.037
500㎚
0.028
520㎚
0.025
540㎚
0.029
560㎚
0.029
580㎚
0.037
600㎚
0.045
620㎚
0.057
640㎚
0.060
660㎚
0.256
680㎚
0.048
700㎚
0.012
720㎚
0.008
파장
흡광도
380㎚
0.271
400㎚
0.280
420㎚
0.397
440㎚
0.470
460㎚
0.552
480㎚
0.186
500㎚
0.042
520㎚
0.030
540㎚
0.041
560㎚
0.043
580㎚
0.054
600㎚
0.060
620㎚
0.069
640㎚
0.162
660㎚
0.212
680㎚
0.030
700㎚
0.008
키워드
추천자료
세균 세포벽의 화학물질에 대하여 쓰시오.
Handlling of Spectrophotometer & Determination of Total Chrolophyll in tissue
DNA의 구조
조류의 생산과 이용
[과외]중학 과학 중2-03 식물의 구조와 기능 08
원핵생물의 특징
[일반미생물학 - 미생물의 생육과 영향인자]
일반 생물학 실험 summary
생태학-파장별 반사율
기체상수의 결정 및 크로마토그래피
미생물에 관한 모든 것.ppt
5. 건조배지 이용법
[식품미생물학] 미생물(微生物)의 생육과 영향인자 - 미생물의 생육에 필요한 화학적 인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