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방향은 흐름의 방향에 평행이 되 도록 하여야 한다.
▶ 첫 번째 및 마지막 측선은 가능한 한 양안에 가까워야 한다.
2) 부자에 의한 유속 측정
1. 먼저 측정한 수면 폭에 따른 측선 배치를 한다.
2. 부자로 사용할 플라스틱 물통에 모래를 채우고 물에 띄울 준비를 한다.
3. 다음과 같이 50m이상의 계측 구간과 30m이상을 부자가 안정할 수 있 는 간격을 두어야 하지만, 지형적 여건에 따라서 계측구간을 30m로 하 고, 20m를 안정 구간으로 두었다.
4. 그 결과값으로 유량을 계산한다.
< 우리가 실험한 지방 2급 하천 백천 >
< 유속계를 이용한 유속 측정 >
4. 실 험 결 과
실 험 명
하 천 유 량 측 정 시 험
시 험 하 천 의
상 태
하 천 수 질
하 천 명
하 천 폭
지방 2 급
백 천
22m 로 봄
측 정 결 과
거 리(m)
0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수 심(m)
0
0.32
0.37
0.37
0.43
0.39
0.41
0.3
0.25
0.29
0.19
0.1
측정 결과
평 균
x
0.635
0.649
0.695
0.605
0.553
0.526
0.496
0.4
0.529
0.54
x
부자의
측정 결과
(s)
거 리
(m)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20~22
수 심
(m)
0.16
0.35
0.37
0.4
0.41
0.4
0.35
0.27
0.27
0.24
0.14
1 회
27.66
25.65
29.93
32.94
34.66
32.77
35.48
34.81
30.61
31.50
26.87
2 회
30.36
26.35
30.65
33.27
35.31
31.71
35.79
34.02
32.17
31.04
27.34
평균
29.01
26
30.29
33.1
34.99
32.27
35.64
34.42
31.39
31.27
27.11
평균 유속
0.69
0.77
0.66
0.6
0.57
0.62
0.56
0.58
0.637
0.64
0.74
5. 유량 계산
다음은 각 결과값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계산 방법에는 다음의 2가지 방법이 있다.
1) 중간단면 방법
2) 평균단면 방법
하천의 유속과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측선 배치는 하천의 폭이 어느 정도냐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그 표는 다음과 같다.
수면폭 (m)
수심측선 간격(m)
유속측선 간격 (m)
10 이하
수면폭의 10% ~15%
좌동
10~20
1
2
20~40
2
4
40~60
3
6
60~80
4
8
80~100
5
10
100~150
6
12
150~200
10
20
200 이상
15
30
먼저, 중간단면 방법으로 계산하면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유속계를 이용한 측정
소 단면 x를 통과하는 유량을 측정
여기서, : 유량
: 유속
W : 소단면의 폭
d : 수심
= 계산 불가
= ( )
= ( )
= ( )
= ( )
계산 불가
계산자의 재량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지는 값이라 보고 현장상황(즉 수심, 측정구간의 유속 등) 을 고려하여 은의 40%, 은 의 30%를 취하기로 한다. 따라서 최종적인 유량은 다음과 같다.
Q = + + + + +
= (1.0286 * 0.4) + 1.0286 + 0.863 + 0.595 + 0.614 + (0.614 * 0.3)
= 3.696 ( )
2> 부자를 이용한 측정
같은 방법으로 부자를 이용한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선의 배치는 다음과 갔다.
수면폭
20m 미만
20 ~ 100 m
100 ~ 200 m
200 m 이상
부자유속
측선수
5
10
15
20
부자의 선정 기준과 보정계수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수심(m)
0.7 이하
0.7 ~ 1.3
1.3 ~ 2.6
2.6 ~ 5.2
5.2 이상
흘수(m)
표면부자
0.5
1.0
2.0
4.0
보정계수
0.85
0.88
0.91
0.94
0.96
거리 (m)
수심 (m)
보정계수 k(=0.85)를 곱한 평균유속 ( m/s )
0~2
0.16
0.587
2~4
0.35
0.655
4~6
0.37
0.561
6~8
0.4
0.51
8~10
0.41
0.485
10~12
0.4
0.527
12~14
0.35
0.476
14~16
0.27
0.493
16~18
0.27
0.541
18~20
0.24
0.544
20~22
0.14
0.629
여기서 우리가 보정계수로 0.85를 선택하고, 표면 유속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간을 정하여 시간을 재었는데 그 거리는 20m 이다. 그렇게 하여 정해진 평균유속은 다음과 같다.
= 계산 불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계산 불가
위에서 과 은 계산이 불가능한 곳이다. 그리하여 와 의 유량에서 각각 40%의 값을 취하기로 한다.
Q = + + + + + + + + + +
=(0.4*0.459) +0.459+0.415+0.408+0.398+0.422+0.333+0.266+0.292+0.261
+(0.4*0.261)
= 3.542 ( )
다음은 평균단면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해 보자.
1> 유속계를 이용한 측정
여기서, : 유량
: 유속
W : 소단면의 폭
d : 수심
= 계산 불가
0.9177 ()
0.9485 ()
0.724 ()
0.605 ()
계산 불가
위에서 은 유속계로 측정하기 불가능하고, 은 계산이 불가능한 곳이다. 그리하여 와 의 유량에서 각각 40%의 값과 30%의 값을 취하기로 한다.
Q = + + + + +
= (0.4*0.9177)+0.9177+0.9485+0.724+0.605+(0.3*0.605)
= 3.744 ( )
2> 부자를 이용한 측정
거리 (m)
수심 (m)
보정계수 k(=0.85)를 곱한 평균유속 ( m/s )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20~22
( )
()
()
()
()
()
()
()
()
()
Q = + + + + + + + + +
=
= ( )
< 결 과 표 >
유속계 측정 결과
부자 측정 결과
중간 단면 방법
( )
( )
평균 단면 방법
( )
( )
▶ 첫 번째 및 마지막 측선은 가능한 한 양안에 가까워야 한다.
2) 부자에 의한 유속 측정
1. 먼저 측정한 수면 폭에 따른 측선 배치를 한다.
2. 부자로 사용할 플라스틱 물통에 모래를 채우고 물에 띄울 준비를 한다.
3. 다음과 같이 50m이상의 계측 구간과 30m이상을 부자가 안정할 수 있 는 간격을 두어야 하지만, 지형적 여건에 따라서 계측구간을 30m로 하 고, 20m를 안정 구간으로 두었다.
4. 그 결과값으로 유량을 계산한다.
< 우리가 실험한 지방 2급 하천 백천 >
< 유속계를 이용한 유속 측정 >
4. 실 험 결 과
실 험 명
하 천 유 량 측 정 시 험
시 험 하 천 의
상 태
하 천 수 질
하 천 명
하 천 폭
지방 2 급
백 천
22m 로 봄
측 정 결 과
거 리(m)
0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수 심(m)
0
0.32
0.37
0.37
0.43
0.39
0.41
0.3
0.25
0.29
0.19
0.1
측정 결과
평 균
x
0.635
0.649
0.695
0.605
0.553
0.526
0.496
0.4
0.529
0.54
x
부자의
측정 결과
(s)
거 리
(m)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20~22
수 심
(m)
0.16
0.35
0.37
0.4
0.41
0.4
0.35
0.27
0.27
0.24
0.14
1 회
27.66
25.65
29.93
32.94
34.66
32.77
35.48
34.81
30.61
31.50
26.87
2 회
30.36
26.35
30.65
33.27
35.31
31.71
35.79
34.02
32.17
31.04
27.34
평균
29.01
26
30.29
33.1
34.99
32.27
35.64
34.42
31.39
31.27
27.11
평균 유속
0.69
0.77
0.66
0.6
0.57
0.62
0.56
0.58
0.637
0.64
0.74
5. 유량 계산
다음은 각 결과값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계산 방법에는 다음의 2가지 방법이 있다.
1) 중간단면 방법
2) 평균단면 방법
하천의 유속과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측선 배치는 하천의 폭이 어느 정도냐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그 표는 다음과 같다.
수면폭 (m)
수심측선 간격(m)
유속측선 간격 (m)
10 이하
수면폭의 10% ~15%
좌동
10~20
1
2
20~40
2
4
40~60
3
6
60~80
4
8
80~100
5
10
100~150
6
12
150~200
10
20
200 이상
15
30
먼저, 중간단면 방법으로 계산하면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유속계를 이용한 측정
소 단면 x를 통과하는 유량을 측정
여기서, : 유량
: 유속
W : 소단면의 폭
d : 수심
= 계산 불가
= ( )
= ( )
= ( )
= ( )
계산 불가
계산자의 재량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지는 값이라 보고 현장상황(즉 수심, 측정구간의 유속 등) 을 고려하여 은의 40%, 은 의 30%를 취하기로 한다. 따라서 최종적인 유량은 다음과 같다.
Q = + + + + +
= (1.0286 * 0.4) + 1.0286 + 0.863 + 0.595 + 0.614 + (0.614 * 0.3)
= 3.696 ( )
2> 부자를 이용한 측정
같은 방법으로 부자를 이용한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선의 배치는 다음과 갔다.
수면폭
20m 미만
20 ~ 100 m
100 ~ 200 m
200 m 이상
부자유속
측선수
5
10
15
20
부자의 선정 기준과 보정계수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수심(m)
0.7 이하
0.7 ~ 1.3
1.3 ~ 2.6
2.6 ~ 5.2
5.2 이상
흘수(m)
표면부자
0.5
1.0
2.0
4.0
보정계수
0.85
0.88
0.91
0.94
0.96
거리 (m)
수심 (m)
보정계수 k(=0.85)를 곱한 평균유속 ( m/s )
0~2
0.16
0.587
2~4
0.35
0.655
4~6
0.37
0.561
6~8
0.4
0.51
8~10
0.41
0.485
10~12
0.4
0.527
12~14
0.35
0.476
14~16
0.27
0.493
16~18
0.27
0.541
18~20
0.24
0.544
20~22
0.14
0.629
여기서 우리가 보정계수로 0.85를 선택하고, 표면 유속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간을 정하여 시간을 재었는데 그 거리는 20m 이다. 그렇게 하여 정해진 평균유속은 다음과 같다.
= 계산 불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계산 불가
위에서 과 은 계산이 불가능한 곳이다. 그리하여 와 의 유량에서 각각 40%의 값을 취하기로 한다.
Q = + + + + + + + + + +
=(0.4*0.459) +0.459+0.415+0.408+0.398+0.422+0.333+0.266+0.292+0.261
+(0.4*0.261)
= 3.542 ( )
다음은 평균단면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해 보자.
1> 유속계를 이용한 측정
여기서, : 유량
: 유속
W : 소단면의 폭
d : 수심
= 계산 불가
0.9177 ()
0.9485 ()
0.724 ()
0.605 ()
계산 불가
위에서 은 유속계로 측정하기 불가능하고, 은 계산이 불가능한 곳이다. 그리하여 와 의 유량에서 각각 40%의 값과 30%의 값을 취하기로 한다.
Q = + + + + +
= (0.4*0.9177)+0.9177+0.9485+0.724+0.605+(0.3*0.605)
= 3.744 ( )
2> 부자를 이용한 측정
거리 (m)
수심 (m)
보정계수 k(=0.85)를 곱한 평균유속 ( m/s )
0~2
2~4
4~6
6~8
8~10
10~12
12~14
14~16
16~18
18~20
20~22
( )
()
()
()
()
()
()
()
()
()
Q = + + + + + + + + +
=
= ( )
< 결 과 표 >
유속계 측정 결과
부자 측정 결과
중간 단면 방법
( )
( )
평균 단면 방법
( )
( )
추천자료
환경오염 공정시험법(수질)
경도 측정에 대하여
유체측정장치의 원리와 종류
작업환경측정-분진측정 실험
위어 실험
인화점 측정 및 태양열 복사에너지 측정 - 인화점 측정 실험, 태양열 복사 에너지 실험
[압력, 압력손실측정, 평형압력변화, 액체비등점, 응력분포]압력과 압력손실측정, 압력과 평...
측정과 진동측정, 측정과 압력손실측정, 측정과 증기압측정, 측정과 회전수측정, 측정과 배율...
측정과 먼지농도측정, 측정과 비산먼지측정, 측정과 빌리루빈측정, 측정과 포름알데히드측정,...
[기계공학] 유량계측 - 개수로(위어) 실험
유랑측정실험
수위측정 실험보고서
유체역학실험보고서 -위어를 통한 수위측정 실험 보고서
유량계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