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2. web2.0과 SNS
3. 경쟁사 비교 분석
4. SWOT 분석
5. 성공전략 분석
6. 결론 및 전망
2. web2.0과 SNS
3. 경쟁사 비교 분석
4. SWOT 분석
5. 성공전략 분석
6. 결론 및 전망
본문내용
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생활방식에 맞는 방식으로 마이스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
마이스페이스ID로 구동되는TV용 위젯은 인텔® 미디어 프로세서 CE 3100가 작동되는 CE(Consumer Electronic) 기기를 통해 인텔 및 야후 위젯 채널에서 제공될 예정이다. 마이스페이스 TV용 위젯은 CES에 설치된 인텔 및 도시바 부스에서 1월 8일부터 11일까지 시연되며, 2009년 출시 예정인 인터넷 연결 CE 기기를 통해 선보일 예정이다.
(6) 글로벌 팽창전략
마이스페이스의 글로벌 팽창 전략은 이미 자리를 잡은 현지 업체들과의 경쟁을 넘어서야만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다. SNS의 특성상 이미 자리를 잡은 업체를 따라잡기가 쉽지 않음을 감안하면 마이스페이스의 이 같은 행보가 낙관적인 전망으로 이어진다고 보기는 현재로선 무리가 있다.
마이스페이스는 현재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등 10여개의 다국어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유럽을 통틀어 1위 SNS 사이트로 자리 잡았고, 영국과 독일만 치면 2위에 근접해있다. 외관상 그리 나쁜 성적표는 아니다. 그러나 내부 사정을 파고들면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 이곳저곳에서 강력한 경쟁에 직면해 있다.
시장 조사 업체 닐슨/넷레이팅스에 따르면 마이스페이스는 영국에서 1위 SNS 업체였지만 어느새 사용자 수에서는 VP이스북에 밀리는 상황이 됐다. 콤스코어 조사에는 베보(Bebo)가 영국 시장 1위로 나오고 있다.
프랑스 시장서도 만만치 않은 장애물들이 마이스페이스의 앞길을 막고 있다. 콤스코어에 따르면 프랑스의 경우 현지 업체인 스카이록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장의 70%를 장악하고 있다. 마이스페이스는 17%로 한참 뒤진 2위에 머물렀다.
그렇다면 새로 서비스를 준비 중인 신흥 시장은 핑크빛 전망일까? 그렇지 않다. 파이낸셔타임스에 따르면 브라질과 인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구글이 소유한 오컷이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다고 한다. 폴란드는 현지 업체인 그로노닷넷이 이미 130만 명이 넘는 사용자 기반을 갖췄고 러시아는 라이브저절과 현지 업체인 얀덱스의 입김이 강한 편이다. 얀덱스는 러시아 1위 인터넷 검색 업체이기도 하다.
이런 상황에서 펼쳐지는 마이스페이스의 해외 현지 시장 공략은 적지 않은 도전일 수밖에 없다. 마이스페이스도 이를 어느 정도는 인정하는 모습. 브라질, 인도, 폴란드, 러시아 시장에서 초기에는 적자를 각오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그러나 마이스페이스는 신흥 시장 진입은 지금이 적기라는 입장은 분명히 했다. 위협요소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금 들어가지 않으면 성장하는 인터넷 광고 시장에서 지분을 확보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는 것이었다.
6. 결론 및 전망
마이스페이스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개방성과 사용자 스스로 콘텐츠를 꾸밀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테크놀로지의 도입이다. 마이스페이스는 가입절차를 간소화 하고, 회원 중심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면서 자신을 소개하고 자신의 표출하는 장이 된다.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레이아웃과 배경을 변경할 수 있으며 사진과 동영상을 손쉽게 통합할 수 있다. 또 개인의 관심영역과 블로그를 담고 있는 `프로필'을 타인과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해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한다. 그리고 누구나 쉽게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타 사이트에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손쉽게 가져올 수 있다.) 개방성이 지금의 마이스페이스를 있게 한 것이다. 간단한 가입절차를 바탕으로 전 세계 2억7천만 명이라는 회원 수를 자랑하며, 인맥관리 면에서 관심분야를 중심으로 Global 인맥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이는 곧 찾기를 통해 기존의 알고 있던 사람 외에 다양한 관심사의 사람들과 연계가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마이스페이스는 인디 록밴드의 기타·보컬 주자로 활약했던 톰 앤더슨이 전 세계 뮤지션들과 팬들을 시·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연결 시켜주자고 제안한 아이디어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이를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세계 뮤지션의 집결지) 전 세계적으로 2억 명의 회원들이 다양한 문화와 음악을 공유하는 공간이며, 대중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뮤지션들 뿐 아니라 현재 디제잉, 힙합, 재즈 등 다양한 분야의 음악을 하는 아티스트들이 활동 중이다. 1,000만의 뮤지션이 활동하고 있으며, 뮤지션은 무료로 음악을 제공해 자신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유저는 뮤지션의 홈에 방문에 무료로 음악을 자신의 홈에 사용할 수 있다.
마이스페이스는 미국이나 유럽에서 독립영화인이나 뮤지션들의 재능을 발굴할 수 있는 허브로 자리매김 하고 있으며, 유튜브가 초기에 70%정도의 트래픽을 마이스페이스에서 얻었다. 세계 최대의 음악 컨텐츠를 갖추고 또한 음악제공을 위해 소니 BGM 워너 뮤직 등 미국 3대 메이저 음반사와 계약하고, 가입자들은 직접 제작한 음악이나 동영상을 수많은 네티즌들에게 홍보하는 장소로 마이 스페이스를 활용하게 되면서 4년 만에 2억 명의 회원을 확보하는 폭발적인 성장을 거두게 되었다.
인터넷과는 전혀 무관할 것 같은 곳에서도 마이스페이스의 인기를 활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미 해병대는 마이스페이스에 프로필을 개설한 후 지난달까지 1만2000명의 등록자를 확보했다. 모병관과의 상담 의사를 밝힌 사람도 수백 명에 달하고 있다. 미 육군과 공군도 마이스페이스에 프로필을 두고 있다. 심지어 미국 내 일부 교회에서는 마이스페이스를 통해 신도모집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많은 문제점도 안고 있다. 현재 마이스페이스가 아직은 미국에서 가장 많은 회원 수를 보유하고 있는 커뮤니티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마이스페이스는 보안과 피싱 문제로 많은 사용자들에게 큰 불편함을 준적이 있으며 마이스페이스에서의 만남이 오프라인으로 이어지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겨났기 때문에 이미지가 많이 실추된 상황이다. 실제로 마이스페이스는 매달 방문자 수와 페이지 뷰의 증가율이 줄고 있다. 또한 한국 진출에는 실패하는 등 서비스와 차별화의 문제점을 노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개선하느냐가 마이스페이스의 향후 과제이다.
마이스페이스ID로 구동되는TV용 위젯은 인텔® 미디어 프로세서 CE 3100가 작동되는 CE(Consumer Electronic) 기기를 통해 인텔 및 야후 위젯 채널에서 제공될 예정이다. 마이스페이스 TV용 위젯은 CES에 설치된 인텔 및 도시바 부스에서 1월 8일부터 11일까지 시연되며, 2009년 출시 예정인 인터넷 연결 CE 기기를 통해 선보일 예정이다.
(6) 글로벌 팽창전략
마이스페이스의 글로벌 팽창 전략은 이미 자리를 잡은 현지 업체들과의 경쟁을 넘어서야만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다. SNS의 특성상 이미 자리를 잡은 업체를 따라잡기가 쉽지 않음을 감안하면 마이스페이스의 이 같은 행보가 낙관적인 전망으로 이어진다고 보기는 현재로선 무리가 있다.
마이스페이스는 현재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등 10여개의 다국어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유럽을 통틀어 1위 SNS 사이트로 자리 잡았고, 영국과 독일만 치면 2위에 근접해있다. 외관상 그리 나쁜 성적표는 아니다. 그러나 내부 사정을 파고들면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 이곳저곳에서 강력한 경쟁에 직면해 있다.
시장 조사 업체 닐슨/넷레이팅스에 따르면 마이스페이스는 영국에서 1위 SNS 업체였지만 어느새 사용자 수에서는 VP이스북에 밀리는 상황이 됐다. 콤스코어 조사에는 베보(Bebo)가 영국 시장 1위로 나오고 있다.
프랑스 시장서도 만만치 않은 장애물들이 마이스페이스의 앞길을 막고 있다. 콤스코어에 따르면 프랑스의 경우 현지 업체인 스카이록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장의 70%를 장악하고 있다. 마이스페이스는 17%로 한참 뒤진 2위에 머물렀다.
그렇다면 새로 서비스를 준비 중인 신흥 시장은 핑크빛 전망일까? 그렇지 않다. 파이낸셔타임스에 따르면 브라질과 인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구글이 소유한 오컷이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다고 한다. 폴란드는 현지 업체인 그로노닷넷이 이미 130만 명이 넘는 사용자 기반을 갖췄고 러시아는 라이브저절과 현지 업체인 얀덱스의 입김이 강한 편이다. 얀덱스는 러시아 1위 인터넷 검색 업체이기도 하다.
이런 상황에서 펼쳐지는 마이스페이스의 해외 현지 시장 공략은 적지 않은 도전일 수밖에 없다. 마이스페이스도 이를 어느 정도는 인정하는 모습. 브라질, 인도, 폴란드, 러시아 시장에서 초기에는 적자를 각오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그러나 마이스페이스는 신흥 시장 진입은 지금이 적기라는 입장은 분명히 했다. 위협요소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금 들어가지 않으면 성장하는 인터넷 광고 시장에서 지분을 확보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는 것이었다.
6. 결론 및 전망
마이스페이스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개방성과 사용자 스스로 콘텐츠를 꾸밀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테크놀로지의 도입이다. 마이스페이스는 가입절차를 간소화 하고, 회원 중심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면서 자신을 소개하고 자신의 표출하는 장이 된다.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레이아웃과 배경을 변경할 수 있으며 사진과 동영상을 손쉽게 통합할 수 있다. 또 개인의 관심영역과 블로그를 담고 있는 `프로필'을 타인과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해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한다. 그리고 누구나 쉽게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타 사이트에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손쉽게 가져올 수 있다.) 개방성이 지금의 마이스페이스를 있게 한 것이다. 간단한 가입절차를 바탕으로 전 세계 2억7천만 명이라는 회원 수를 자랑하며, 인맥관리 면에서 관심분야를 중심으로 Global 인맥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이는 곧 찾기를 통해 기존의 알고 있던 사람 외에 다양한 관심사의 사람들과 연계가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마이스페이스는 인디 록밴드의 기타·보컬 주자로 활약했던 톰 앤더슨이 전 세계 뮤지션들과 팬들을 시·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연결 시켜주자고 제안한 아이디어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이를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세계 뮤지션의 집결지) 전 세계적으로 2억 명의 회원들이 다양한 문화와 음악을 공유하는 공간이며, 대중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뮤지션들 뿐 아니라 현재 디제잉, 힙합, 재즈 등 다양한 분야의 음악을 하는 아티스트들이 활동 중이다. 1,000만의 뮤지션이 활동하고 있으며, 뮤지션은 무료로 음악을 제공해 자신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유저는 뮤지션의 홈에 방문에 무료로 음악을 자신의 홈에 사용할 수 있다.
마이스페이스는 미국이나 유럽에서 독립영화인이나 뮤지션들의 재능을 발굴할 수 있는 허브로 자리매김 하고 있으며, 유튜브가 초기에 70%정도의 트래픽을 마이스페이스에서 얻었다. 세계 최대의 음악 컨텐츠를 갖추고 또한 음악제공을 위해 소니 BGM 워너 뮤직 등 미국 3대 메이저 음반사와 계약하고, 가입자들은 직접 제작한 음악이나 동영상을 수많은 네티즌들에게 홍보하는 장소로 마이 스페이스를 활용하게 되면서 4년 만에 2억 명의 회원을 확보하는 폭발적인 성장을 거두게 되었다.
인터넷과는 전혀 무관할 것 같은 곳에서도 마이스페이스의 인기를 활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미 해병대는 마이스페이스에 프로필을 개설한 후 지난달까지 1만2000명의 등록자를 확보했다. 모병관과의 상담 의사를 밝힌 사람도 수백 명에 달하고 있다. 미 육군과 공군도 마이스페이스에 프로필을 두고 있다. 심지어 미국 내 일부 교회에서는 마이스페이스를 통해 신도모집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많은 문제점도 안고 있다. 현재 마이스페이스가 아직은 미국에서 가장 많은 회원 수를 보유하고 있는 커뮤니티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마이스페이스는 보안과 피싱 문제로 많은 사용자들에게 큰 불편함을 준적이 있으며 마이스페이스에서의 만남이 오프라인으로 이어지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겨났기 때문에 이미지가 많이 실추된 상황이다. 실제로 마이스페이스는 매달 방문자 수와 페이지 뷰의 증가율이 줄고 있다. 또한 한국 진출에는 실패하는 등 서비스와 차별화의 문제점을 노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개선하느냐가 마이스페이스의 향후 과제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웹2.0의 의의 및 현황과 영향
[컴퓨터이해와활용]facebook 이해와 활용
[컴퓨터이해와활용]facebook 이해와 활용
현대인과 소셜네트워크
블로그의 분석과 블로그 네트워크, 노이즈 마케팅과 블로그 미디어의 역기능
의류 쇼핑몰 사업계획서(예)
웹,트위터,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
트위터의 이해 및 트위터이용 기업의 마케팅사례 분석
웹2.0 시대와 가가채팅의 공존
해외 청소년교육 개관 및 사례 (일본, 핀란드, 미국, 영국)
소셜 미디어 마케팅,소셜 미디어 전략,스타벅스 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CH07_ PROGRAMMING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대표매체의 블로그의 시작과, 블로그 운영 및 블로그시장의 전망에 관하여
사회 관계망 분석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사례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