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쏘울(SOUL)의 마케팅 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기아자동차 소개
(1) 개요 및 역사
(2) 비전
(3) 핵심역량
(4) 라인업

2. 환경 분석
(1) 외부 환경 분석
(2) 산업 환경 분석

3. SWOT 분석

4. SOUL 마케팅 분석
(1) SOUL의 탄생과 특성
(2) SOUL의 마케팅 전략
(3) SOUL의 마케팅 성과

5. 향후 개선과제

본문내용

기아자동차는 글로벌 로드쇼를 시작하여 올해 말까지 전 세계 44개국 150개 도시에서 차량 전시, 고객 시승, 무상 점검 서비스 등을 진행하며 ‘기아 온 투어 2009(Kia on Tour2009)’를 실시하였다. 미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기아자동차를 홍보하면서 기아자동차의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꾀하고 있다. 또한 미국 내 인기 스포츠인 슈퍼볼 등과 연계한 스포츠 마케팅과 더불어 TV광고와 TV쇼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미국 소비자들에게 기아자동차의 인식을 각인시켜 브랜드 이미지를 상승시켜 나가고 있다. 아래의 기사는 소울이 TV쇼에 진출한 사진과 그와 관련된 기사내용이다. 기아차 쏘울이 미국 TV쇼에서 추천되며 미국 소비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18일 기아차에 따르면, 미국 최대 방송사 중 하나인 MSNBC는 14일(현지시간) 방송된 투데이쇼에서 연비가 우수한 3개 차종을 소개하면서 포드 퓨전 하이브리드, 마쓰다3와 더불어 소형차 부문에서는 기아차 쏘울(Soul)을 추천했다.
5) 디자인 마케팅
① 디자인 한마디로 기억되는 제품
고객들은 쏘울을 기존에 없는 형태의 특별한 디자인으로 기억 하며 이는 쏘울의 구매에 있어 가장 확실한 동기가 된다.
② 다양한 선택의 폭을 제공하는 제품
단계별 기능 및 디자인 선택의 폭이 타 상품에 비해 다양하다. 즉, 젊은 층의 가격적 부담을 덜고 소비자의 경제적 수준에 맞게 아기자기한 개성 표현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많다.
③ 여성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제품
여성들의 눈높이에 맞춘 아기자기한 디자인과 실용성 있는 트렁크 라인으로 여성들의 호감을 사기에 충분하다. 기존의 어떤 제품보다 여성 구매자 층이 두터우며 이는 동호회 구성원 비율로써도 나타남. 남성 고객은 상대적으로 고속 주행시 엔진 출력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기도 하나 여성의 경우 고속주행으로 인한 엔진기능적 요구가 적으므로 상대적 만족도가 높다.
(3) SOUL의 마케팅 성과
1) 한국 차 최초 레드닷 디자인상 수상
한국차 최초로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인 2009 레드닷 디자인상(2009 red dot Design Award)에서 자동차 제품 디자인 분야 'Honorable Mention' 상을 받았다. 기아차의 디자인경영이 세계에서 인정받았으며 대한민국 디자인대상 디자인경영 대통령상 수상에 이은 쾌거를 달성하였다.
2) 美 워즈오토 '올해의 인테리어'상 수상
미국 유력 자동차 전문미디어인 워즈오토월드(Ward's Autoworld)가 주관하는 '올해의 인테리어(Interior of the Year)' 상에서 ‘가장 멋진 인테리어(Grooviest Interior)’ 부문에 선정되었다.
5. 향후 개선과제
첫 번째로 디자인 마케팅은 확실히 통했다. 2, 30대 젊은 타겟층들이 디자인에 매료되어 쏘울에 관심을 갖고 찾아오게 만들었다. 그러나 빈번히 다른 상품의 구매로 이어지고 있다. 쏘울이 미끼상품으로써 큰 역할을 한 것이다. 그러나 미끼 상품으로써의 훌륭한 역할 수행이 처음부터 목표는 아니었다. 쏘울의 단일상품으로서 판매실적은 초기의 무서운 기세에 비하면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인 것이다. 기아 마케팅 부서에서는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국제적인 경기 침체의 여파로 주 타겟고객인 20대 후반, 30대 초반의 구매자들이 입은 경제적 타격을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고 있다. 그 결과 디자인만 새로운 쏘울을 살 여력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하에 고기능성 준중형차에게 구매층을 뺏기거나 기존의 좋은 연비의 소형차들에게 매출을 빼앗긴 것이다. 실제로 초기 쏘울의 마케팅은 차의 성능적인 측면을 과감히 생략하고 디자인으로 승부를 걸었다. 그에 소비자들의 엔진 성능에 대한 불만사항을 내놓자 128마력의 체험단 기획 등 후발적 노력을 기울이게 된 것이다. 초창기부터 기술적, 실용적 측면을 어느 정도 갖춘 후 지금과 같은 디자인 마케팅을 펼쳤다면 초기의 선전을 좀 더 길게 가져갈 수 있지 않았을까 아쉬움이 남는다.
두 번째로 쏘울의 웹 마케팅은 누구나 한번 만 방문해 보면 바로 눈이 휘둥그래질 만큼 디자인이 잘 부각되어 있다. 수많은 플레시 화면들과 다채로운 색상의 산뜻한 모델 사진은 최첨단 맞춤형 디자인 프로그램을 만지는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하지만 고객들의 구매의사 결정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 힘들다. 특색 있는 스토리를 가진 뮤직비디오, UCC 등 다채로운 컨텐츠를 보유한 웹 사이트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구매 결정 전 사이트를 보았다는 고객은 드물었다. 주로 다른 형태의 통로를 통해 이미 구매의사를 확실히 한 이후 정보 확인 차원에서 방문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웹 마케팅에 대한 접근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마케팅적 연구가 필요하겠다.
마지막으로 쏘울의 메인 타겟층이 2, 30대 젊은 층이라면 서브 타겟층은 젊은 감각을 지닌 중장년층이다. 하지만 모든 마케팅의 초점은 젊은 층에게만 너무 무게가 실려 있어 아쉬웠다. 화려하고 다채로운 디자인은 젊고 꾸미기 좋아하는 주 고객층에게는 신선할지라도 서브 타겟인 중장년층에는 자칫 위신이 떨어져 보이는 가벼운 제품이라는 거리감을 안기고 있다. 화려하고 다채로운 디자인은 젊고 꾸미기 좋아하는 주 고객층에게는 신선할지라도 서브 타겟인 중장년층에는 자칫 위신이 떨어져 보이는 가벼운 제품이라는 거리감을 안기고 있다. 하지만 의외로 가장 많이 판매고를 이루고 있는 디자인은 마케팅에서 보여주듯 나만의 독특한 꽃무늬, 로봇 그림 혹은 붉은색, 연두색등 원색의 디자인이 아니라 은색계열의 심플한 모델이라는 점이다. 결국 젊은 감각을 살리는 것이 요란한 디자인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세련되고 도시적인 색감과 디자인으로 주 타겟은 물론 서브타겟을 아우를 수 있는 마케팅에 대한 연구가 아쉽다.
<참고자료>
www.kia.co.kr
soul.kia.co.kr
www.clubsoul.co.kr
www.soulmania.co.kr
www.kama.or.kr
www.mofat.go.kr
www.seri.org
www.fnguide.com
www.hankooki.com
www.global-autonews.com
www.edaily.co.kr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3.31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3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