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500(일본학교환경기준)
920(WHO기준, 8시간)
온 도
상대습도
기 류
조 명
낙하세균
이산화질소
(ppm)
17∼18℃유지
40∼70%
0.5m/sec
100 lux이상유지
-
-
10∼30℃(일본학교환경기준)
30∼80%(일본학교환경기준)
-
200 lux이상(일본학교환경기준)
평균 30개 이하
0.21(유럽기준)
5(일본산업위생허용농도)
아황산가스
(ppm)
-
5( " )
0.04(일본공해대책기본법)
포름알데히드
(ppm)
-
0.1(유럽기준)
2(일본산업위생허용농도)
석 면
(개/cc)
라 돈
(Bq/㎥)
-
-
0.01(미국석면긴급대책법)
2(일본산업위생학회)
100(WHO유럽 신축주거)
70(스웨덴 신축주거)
100(일본 과기청고시)
3700(미국광산위생국)
-환기방식의 분류
① 자연환기:
1)온도차에 의한 환기실내 공기와 건물 주변 외기와의 온도차에 의한 공기의 비중량 차에 의해서 환기를 하는 것이며, 중력환기라고도 부르고 있다.
실내온도가 높은면 공기는 상부로 유출하고하부로부터 유입하는 경우로 되며,그 반대의 경우는 상부로부터 유입하여 하부로 유출된다.
일반적으로, 실 또 건물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그림과 같이상부에서는 공기가 유출하고 하부에서는 유입한다.
② 기계환기:
(1) 희석환기(全般換氣)
기계환기는 법규상 다음의 세 가지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1) 제1종 환기(a) :
송풍기와 배풍기 모두를 사용해서 실내 환기 를 행하는 것이며, 실내외의 압력차를 조정할 수 있고, 가장 우수한 환기를 행할 수 있다.
2) 제2종 환기(b) :
송풍기에 의해서 일방적으로 실내로 송풍하고 배기는 배기구 및 틈새 등으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송풍공기 이외의 외기라든가 기타 침입공기는 없지만, 역으로 다른 실로 배기가 침입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만 한다.
공장에 있어서 신선한 청정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많이 이용된다.
3) 제3종 환기(C) :
배풍기에 의해서 일방적으로 실내공기를 배기한다. 따라서,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는 장소를 설치해서 환기에 지장이 없도록 해야만 한다.
주방, 화장실 등 냄새 또는 유해가스, 증기발생이 있는 장소에 적합하다.
(2) 국소환기
국소배기는 부분적으로 열, 유해가스, 분진 등 공기 오염물질을 발생하는 장소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생하는 장소에 대해서 배기하는 것이다. 따라서, 처리가 용이하며, 국소배기장치의 설계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에 주의해야만 한다.
① 배기장치는 배기가스에 의해 부식하기 쉬우므로 그에 상응한 재료를 상용한다.
② 국소배기의 계통은 다른 환기공기조화 계통과 별도로 한다.
③ 배기구의 위치 및 높이를 급기와는 관계 없도록 한다.
④ 배풍기는 배기계통의 말단부에 두어 입력이 부(-)로 되도록 해서 다른 쪽으로의 누출을 방지한다(그림 참조).
⑤ 배풍기에 의한 소음진동의 방지장치를 부착한다.
⑥ 배출된 오염물질이 대기오염이 되지 않도록 정화장치를 부착한다.
⑦ 공정 전체를 고려해서 될 수 있는 한 폐쇄형(closed system)을 염두에 두고 국소배기의 위치를 생각한다.
국소배기장치의 포집구로서 잘 사용되는 것에 후드(hood)가 있다. 후드는 그림 8-9에 나타낸 치수규준에 의해서 설치된다.
다음에 후드의 설계에 대한 유의점을 든다.
① 주방용 레인지와 같이 고열, 냄새가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장소에 사용한다(반드시 자력으로 후드에 들어가는 상승기류가 있는 곳에 쓰인다).
② 작업에 지장이 없는 한 후드 주위를 에워싸는 편이 효과적이다.
③ 후드 주변부의 풍속은 약 0.5m/s 이상으로 한다.
④ 이중 후드인 경우 주위 흡입풍속은 약 5m/s 이상으로 한다.
⑤ 덕트 개구면적과 후드 개구면적과의 사이에 일정한 관계는 없지만, 대체로 개구비는 1: 16이며, 이것 이상으로 되면 덕트 개구부를 분할한다.
⑥ 주방 등에서는 후드 이외에도 천장면 가까운 곳에 흡입구를 설치하는 편이 바람직한다.
⑦ 후드에는 필요에 따라 방화댐퍼를 부착한다.
⑧ 후드는 유리필터(glass filter), 기타 적당한 필터와 조합해서도 사용된다.
(3) 집중환기
집중환기는 유해물질이 한 구역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그 구역만을 집중적으로 환기 시키는 방법으로 투입된 동기의 일부는 실내공기로 혼입된다.
※환기방식별 특징
명 칭
급 기
배 기
환기량
실내압
비 고
제1종
기계
기계
임의, 일정
임의
공조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다
제2종
기계
자연
임의, 일정
정압
적당한 배기용 개구 필요, 청정실에 적합
제3종
자연
기계
임의, 일정
부압
적당한 급기용 개구 필요, 오염실에 적합
자연
보조
자연
자연
보조
유한
불특정
부압
루프 벤틸레이터는 3
모니터 루프는 10
자연
자연
유한, 불특정
유한, 불특정
부정
침입 외기 환기만은 0.5
층별
용도
수용인원
비고
지하2층
전기실, 기계실, 린넨실, 남직원락카, 직원식당, 주차장, 나이트클럽, 스포츠맛사지
100
제1종 환기
지하1층
게임장, 화원, 방제실, 보안실, 교환실, 여직원락카, 주차장
1696
제1종 환기
지상1층
양식당, 커피숌, 아케이드, 제과, 토치홀, 프론트
172
제1종 환기
지상2층
다이너스티홀, 그레이스홀, 주방
1044
제1종 환기
지상3층
남ㆍ여사우나, 이ㆍ미용실
218
제1종 환기
지상4층
헬스클럽, 수영장
140
제1종 환기
지상5층
객실(한실)
40
자연환기
지상6층
객실(한실)
46
자연환기
지상7층
객실(한실)
44
자연환기
지상8층
객실(한실)
44
자연환기
지상9층
객실(양실)
46
자연환기
지상10층
객실(양실)
46
자연환기
지상11층
객실(양실)
44
자연환기
지상12층
객실(양실)
36
자연환기
지상13층
스카이라운지, 중식당, 일식당
346
제1종 환기
옥탑1층
E/L기계실, 공조실
제2종 환기
옥탑2층
물탱크
제2종 환기
◆ 각 층별 용도 및 환기방법
(3). 공조덕트계통도
(4). 공조배관계통도
(5). 적용 건물 예
부산 리베라 호텔
전주 코아 리베라 호텔
서울 리베라 호텔
대전 리베라 호텔
920(WHO기준, 8시간)
온 도
상대습도
기 류
조 명
낙하세균
이산화질소
(ppm)
17∼18℃유지
40∼70%
0.5m/sec
100 lux이상유지
-
-
10∼30℃(일본학교환경기준)
30∼80%(일본학교환경기준)
-
200 lux이상(일본학교환경기준)
평균 30개 이하
0.21(유럽기준)
5(일본산업위생허용농도)
아황산가스
(ppm)
-
5( " )
0.04(일본공해대책기본법)
포름알데히드
(ppm)
-
0.1(유럽기준)
2(일본산업위생허용농도)
석 면
(개/cc)
라 돈
(Bq/㎥)
-
-
0.01(미국석면긴급대책법)
2(일본산업위생학회)
100(WHO유럽 신축주거)
70(스웨덴 신축주거)
100(일본 과기청고시)
3700(미국광산위생국)
-환기방식의 분류
① 자연환기:
1)온도차에 의한 환기실내 공기와 건물 주변 외기와의 온도차에 의한 공기의 비중량 차에 의해서 환기를 하는 것이며, 중력환기라고도 부르고 있다.
실내온도가 높은면 공기는 상부로 유출하고하부로부터 유입하는 경우로 되며,그 반대의 경우는 상부로부터 유입하여 하부로 유출된다.
일반적으로, 실 또 건물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그림과 같이상부에서는 공기가 유출하고 하부에서는 유입한다.
② 기계환기:
(1) 희석환기(全般換氣)
기계환기는 법규상 다음의 세 가지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1) 제1종 환기(a) :
송풍기와 배풍기 모두를 사용해서 실내 환기 를 행하는 것이며, 실내외의 압력차를 조정할 수 있고, 가장 우수한 환기를 행할 수 있다.
2) 제2종 환기(b) :
송풍기에 의해서 일방적으로 실내로 송풍하고 배기는 배기구 및 틈새 등으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송풍공기 이외의 외기라든가 기타 침입공기는 없지만, 역으로 다른 실로 배기가 침입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만 한다.
공장에 있어서 신선한 청정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많이 이용된다.
3) 제3종 환기(C) :
배풍기에 의해서 일방적으로 실내공기를 배기한다. 따라서,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는 장소를 설치해서 환기에 지장이 없도록 해야만 한다.
주방, 화장실 등 냄새 또는 유해가스, 증기발생이 있는 장소에 적합하다.
(2) 국소환기
국소배기는 부분적으로 열, 유해가스, 분진 등 공기 오염물질을 발생하는 장소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생하는 장소에 대해서 배기하는 것이다. 따라서, 처리가 용이하며, 국소배기장치의 설계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에 주의해야만 한다.
① 배기장치는 배기가스에 의해 부식하기 쉬우므로 그에 상응한 재료를 상용한다.
② 국소배기의 계통은 다른 환기공기조화 계통과 별도로 한다.
③ 배기구의 위치 및 높이를 급기와는 관계 없도록 한다.
④ 배풍기는 배기계통의 말단부에 두어 입력이 부(-)로 되도록 해서 다른 쪽으로의 누출을 방지한다(그림 참조).
⑤ 배풍기에 의한 소음진동의 방지장치를 부착한다.
⑥ 배출된 오염물질이 대기오염이 되지 않도록 정화장치를 부착한다.
⑦ 공정 전체를 고려해서 될 수 있는 한 폐쇄형(closed system)을 염두에 두고 국소배기의 위치를 생각한다.
국소배기장치의 포집구로서 잘 사용되는 것에 후드(hood)가 있다. 후드는 그림 8-9에 나타낸 치수규준에 의해서 설치된다.
다음에 후드의 설계에 대한 유의점을 든다.
① 주방용 레인지와 같이 고열, 냄새가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장소에 사용한다(반드시 자력으로 후드에 들어가는 상승기류가 있는 곳에 쓰인다).
② 작업에 지장이 없는 한 후드 주위를 에워싸는 편이 효과적이다.
③ 후드 주변부의 풍속은 약 0.5m/s 이상으로 한다.
④ 이중 후드인 경우 주위 흡입풍속은 약 5m/s 이상으로 한다.
⑤ 덕트 개구면적과 후드 개구면적과의 사이에 일정한 관계는 없지만, 대체로 개구비는 1: 16이며, 이것 이상으로 되면 덕트 개구부를 분할한다.
⑥ 주방 등에서는 후드 이외에도 천장면 가까운 곳에 흡입구를 설치하는 편이 바람직한다.
⑦ 후드에는 필요에 따라 방화댐퍼를 부착한다.
⑧ 후드는 유리필터(glass filter), 기타 적당한 필터와 조합해서도 사용된다.
(3) 집중환기
집중환기는 유해물질이 한 구역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그 구역만을 집중적으로 환기 시키는 방법으로 투입된 동기의 일부는 실내공기로 혼입된다.
※환기방식별 특징
명 칭
급 기
배 기
환기량
실내압
비 고
제1종
기계
기계
임의, 일정
임의
공조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다
제2종
기계
자연
임의, 일정
정압
적당한 배기용 개구 필요, 청정실에 적합
제3종
자연
기계
임의, 일정
부압
적당한 급기용 개구 필요, 오염실에 적합
자연
보조
자연
자연
보조
유한
불특정
부압
루프 벤틸레이터는 3
자연
유한, 불특정
유한, 불특정
부정
침입 외기 환기만은 0.5
용도
수용인원
비고
지하2층
전기실, 기계실, 린넨실, 남직원락카, 직원식당, 주차장, 나이트클럽, 스포츠맛사지
100
제1종 환기
지하1층
게임장, 화원, 방제실, 보안실, 교환실, 여직원락카, 주차장
1696
제1종 환기
지상1층
양식당, 커피숌, 아케이드, 제과, 토치홀, 프론트
172
제1종 환기
지상2층
다이너스티홀, 그레이스홀, 주방
1044
제1종 환기
지상3층
남ㆍ여사우나, 이ㆍ미용실
218
제1종 환기
지상4층
헬스클럽, 수영장
140
제1종 환기
지상5층
객실(한실)
40
자연환기
지상6층
객실(한실)
46
자연환기
지상7층
객실(한실)
44
자연환기
지상8층
객실(한실)
44
자연환기
지상9층
객실(양실)
46
자연환기
지상10층
객실(양실)
46
자연환기
지상11층
객실(양실)
44
자연환기
지상12층
객실(양실)
36
자연환기
지상13층
스카이라운지, 중식당, 일식당
346
제1종 환기
옥탑1층
E/L기계실, 공조실
제2종 환기
옥탑2층
물탱크
제2종 환기
◆ 각 층별 용도 및 환기방법
(3). 공조덕트계통도
(4). 공조배관계통도
(5). 적용 건물 예
부산 리베라 호텔
전주 코아 리베라 호텔
서울 리베라 호텔
대전 리베라 호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