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의 역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국의 교육과정의 역사
1) 1950년대
2) 1960년대
3) 1970년대 이후

2.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
1) 교육에 대한 긴급조치기 (1945~1946)
2) 교수요목기 (1946~1954)
3) 제1차 교육과정 (1954~1963)
4) 제2차 교육과정(1963~1973)
5) 제3차 교육과정(1973~1981)
6) 제4차 교육과정(1981~1987)
7) 제5차 교육과정(1987~1992)
8) 제6차 교육과정(1992~1997)
9) 제 7차 교육과정
10)8차 교육과정(=7차 교육과정 개정안)

본문내용


③ 학생의 능력, 적성, 진로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교육
④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대한 지역 및 학교의 자유성 증대
(3) 개정방안
①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편성과 학생 선택 중심 교육과정 도입
② 수준별 교육과정 (단계형, 심화 보충형, 과목 선택형)
③ 재량활동
④ 선택중심 교육과정
⑤ 특별활동
10)8차 교육과정(=7차 교육과정 개정안)
(1) 현황 및 문제점
①제6차 교육과정 이후 학교수준 교육과정 강조에 따른 학교의 자율권 확대
②역할분담 원칙에 따라 국가의 권한을 시도교육청과 학교에 위임
③국가기준의 상세화로 학교의 자율권이 제한적, 부분적이라는 비판과 실질적인 학교의 자율권 요구
(2)개선 방안
①재량특별활동 운영의 학교 자율권 부여
②“교과 집중이수제” 도입
③고등학교 선택 교육과정 편성의 자율권 확대
④특성화 학교, 자율학교 등에 교과목별 수업 시간수의 증감 등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율권 부여
⑤과학교육 강화
⑥역사교육 강화
⑦진로교육 강화
⑧논술교육 강화
⑨선택과목의 일원화
⑩선택 과목군을 세분화함으로써 폭 넓은 교양 교육 실시
⑪학습 내용 양과 난이도의 적정화
⑫주5일 수업제 시행에 따른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배당 조정

추천자료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0.04.01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7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