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담배(흡연) 니코틴의 정의
Ⅲ. 담배(흡연) 니코틴의 성질
Ⅳ. 담배(흡연) 니코틴의 독성
1. 니코틴의 급성 전신 독성
1) 중추신경계 증상
2) 소화기계 증상
3) 근골격계 증상
2. 니코틴의 급성중독
3. 니코틴의 급성 국소 독성
4. 니코틴의 만성 전신 독성
1) 심혈관질환, 특히 관상심장질환과 뇌졸중
2) 고혈압의 악화
3) 창상 치유 지연
4) 소화성 궤양
5) 암
6) 임신과 생식계 영향
Ⅴ. 담배(흡연) 니코틴의 약리작용
Ⅵ. 담배(흡연) 니코틴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
Ⅶ. 담배(흡연) 니코틴의 측정 검사
1. FTC/ISO 측정법
2. 검출량(yield), 전달량(delivery), 총량(content)
3. 인체 이용률(Bioavailability)
4. FTC/ISO 검사법의 제한점
참고문헌
Ⅱ. 담배(흡연) 니코틴의 정의
Ⅲ. 담배(흡연) 니코틴의 성질
Ⅳ. 담배(흡연) 니코틴의 독성
1. 니코틴의 급성 전신 독성
1) 중추신경계 증상
2) 소화기계 증상
3) 근골격계 증상
2. 니코틴의 급성중독
3. 니코틴의 급성 국소 독성
4. 니코틴의 만성 전신 독성
1) 심혈관질환, 특히 관상심장질환과 뇌졸중
2) 고혈압의 악화
3) 창상 치유 지연
4) 소화성 궤양
5) 암
6) 임신과 생식계 영향
Ⅴ. 담배(흡연) 니코틴의 약리작용
Ⅵ. 담배(흡연) 니코틴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
Ⅶ. 담배(흡연) 니코틴의 측정 검사
1. FTC/ISO 측정법
2. 검출량(yield), 전달량(delivery), 총량(content)
3. 인체 이용률(Bioavailability)
4. FTC/ISO 검사법의 제한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담배 독성물질의 수치가 낮게 측정될 수 있다. 암모니아와 같은 담배의 첨가물 성분은 필터에 걸러지지 않고 가스 상태로 통과하는 니코틴의 양을 증가시키고 흡연자에게 흡수되는 양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내부문건에 의하면 담배회사는 담배의 형태를 바꾸는데 많은 투자를 하였다. 담배회사는 맛(taste)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전달 방법을 연구하는 사이에 FTC/ISO 검사법이 흡연자들에게 해로운 물질이 얼마나 전달될 수 있는지를 잘못 이해하도록 정부에서 보증하는 셈이 된 것이다. 1960년대 이전에는 담배회사가 내부 연구를 통해 FTC 기계를 속이기 위한 많은 시도를 해왔다.
담배 연기 흡입 기간(puff duration)은 니코틴 흡수에 차이를 일으키지 않으나 흡입 빈도(frequency)와 흡입 용량(volume)은 니코틴 흡수량을 50%-150% 증가시킬 수 있다. Reynolds이 정한 <좀 더 현실적인> 흡연 방법(65mL를 45초 간격으로 2초간 흡입)하여 니코틴을 측정하면 FTC 검사법으로 20.6mg인 Winston 담배가 35.7mg(173%)으로 늘어나고 20.6mg이던 Marlboro는 30.1mg(185%)으로 증가한다.
1994년에 미국암협회(NCI)는 의회와 FTC의 제의를 받고 FTC의 검사법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FTC 검사법으로 측정한 담배의 니코틴과 타르 농도로는 암의 감소에 약간의 효과가 있고, 순환기 질환 감소 효과는 없고, 호흡기 질환 감소 효과는 불확실하다는 것을 발표하고 기존의 검사방법을 보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1997년 9월, FTC는 검사법에 문제가 있었으며, 2 가지 다른 환경에서 측정한 것을 표기해야하며 담배를 피우는 법과 저타르, 니코틴 담배로 바꾸면 어떤 점이 다른지를 교육해야한다고 했다. 1998년 11월, FTC는 NCI와 FDA의 발표를 인용하여 “새로운 연구결과에 의하면, 저타르, 저니코틴 담배가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근거가 없다.”라고 발표하였다. 1998년 캐나다에서는 담배를 독성물질로 간주하고 담배 검사법으로, ISO 3308조 1991항에 명시된 방법(35mL를 60초 간격으로 2초간 흡입)과 함께, 더 강한(intense) 흡연 검사법을 발표했다. 이는 55mL를 30초 간격으로 2초간 흡입하여 측정하고 니코틴과 타르 이외의 담배의 모든 독성물질(aromatic amine, 1,3-butadiene, formaldehyde, acrolein, phenol, catechol, nitrosamine, arsenic, mercury)을 검사하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양성봉 외 4인 - 유기화학 실험, 도서출판 대웅, 1990
최석영 - 독성학, 울산대학교 출판부, 2002
화학교재 편찬위원회 - 유기화학 실험, 청문각, 1997
한국금연운동협의회 - 담배와 건강, 1998
한국금연운동협의회 - 흡연과 건강,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0
홍기운 외 5인 - 식품위생학, 대왕사, 1999
Philips. Bailey - 유기화학 5판, 녹문당, 서울 : 1986
내부문건에 의하면 담배회사는 담배의 형태를 바꾸는데 많은 투자를 하였다. 담배회사는 맛(taste)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전달 방법을 연구하는 사이에 FTC/ISO 검사법이 흡연자들에게 해로운 물질이 얼마나 전달될 수 있는지를 잘못 이해하도록 정부에서 보증하는 셈이 된 것이다. 1960년대 이전에는 담배회사가 내부 연구를 통해 FTC 기계를 속이기 위한 많은 시도를 해왔다.
담배 연기 흡입 기간(puff duration)은 니코틴 흡수에 차이를 일으키지 않으나 흡입 빈도(frequency)와 흡입 용량(volume)은 니코틴 흡수량을 50%-150% 증가시킬 수 있다. Reynolds이 정한 <좀 더 현실적인> 흡연 방법(65mL를 45초 간격으로 2초간 흡입)하여 니코틴을 측정하면 FTC 검사법으로 20.6mg인 Winston 담배가 35.7mg(173%)으로 늘어나고 20.6mg이던 Marlboro는 30.1mg(185%)으로 증가한다.
1994년에 미국암협회(NCI)는 의회와 FTC의 제의를 받고 FTC의 검사법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FTC 검사법으로 측정한 담배의 니코틴과 타르 농도로는 암의 감소에 약간의 효과가 있고, 순환기 질환 감소 효과는 없고, 호흡기 질환 감소 효과는 불확실하다는 것을 발표하고 기존의 검사방법을 보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1997년 9월, FTC는 검사법에 문제가 있었으며, 2 가지 다른 환경에서 측정한 것을 표기해야하며 담배를 피우는 법과 저타르, 니코틴 담배로 바꾸면 어떤 점이 다른지를 교육해야한다고 했다. 1998년 11월, FTC는 NCI와 FDA의 발표를 인용하여 “새로운 연구결과에 의하면, 저타르, 저니코틴 담배가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근거가 없다.”라고 발표하였다. 1998년 캐나다에서는 담배를 독성물질로 간주하고 담배 검사법으로, ISO 3308조 1991항에 명시된 방법(35mL를 60초 간격으로 2초간 흡입)과 함께, 더 강한(intense) 흡연 검사법을 발표했다. 이는 55mL를 30초 간격으로 2초간 흡입하여 측정하고 니코틴과 타르 이외의 담배의 모든 독성물질(aromatic amine, 1,3-butadiene, formaldehyde, acrolein, phenol, catechol, nitrosamine, arsenic, mercury)을 검사하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양성봉 외 4인 - 유기화학 실험, 도서출판 대웅, 1990
최석영 - 독성학, 울산대학교 출판부, 2002
화학교재 편찬위원회 - 유기화학 실험, 청문각, 1997
한국금연운동협의회 - 담배와 건강, 1998
한국금연운동협의회 - 흡연과 건강,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0
홍기운 외 5인 - 식품위생학, 대왕사, 1999
Philips. Bailey - 유기화학 5판, 녹문당, 서울 : 198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