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 대사성질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축 대사성질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열(Milk fever)

2. 케토시스(Ketosis)

3. 제 4위 전위증(Displaced abomasum)

4. 고창증(Bloat)

5. 산독증(Acidosis)

6. 그라스 테타니(Grass tetany)

7. 과비우 증상(Fat cow syndrome)

본문내용

통한 가스 배출
(5) 예방
① 사료 교체시 천천히 실행할 것
② 두과목초나 콩과식물 급여는 적당히
③ 사료의 상태 항상 확인(부패되었거나 곰팡이 있는지 확인)
④ 평소에 적당한 운동을 시킴(필요시 마사지 실시)
⑤ 사료에 항포말제 섞어서 급여
5
산독증(Acidosis)
▶ 제 1위 식체(acute indigestion, founder) 또는 젖산산독증(lactic acidosis)라고도 불림
▶ 제 1위내의 pH가 6.0 이하로 떨어질 경우 발생
▶ 농후사료의 과도한 섭취가 가장 큰 원인
- 농후사료 섭취량 증가시 초산(acetic acid)의 생성량 40~50% 감소
- 농후사료 섭취량 증가시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의 생성량 30~40% 증가
- 제 1위내 pH 6.0 이하로 떨어짐
- pH 변화로 제 1위 미생물 급격히 감소
- 젖산(lactic acid) 생성 미생물 급격히 증가
제 1위의 pH 하강 및 젖산 함량 증가로 산독증 유발
▶ 1~3주간 유지방률 떨어지며 만성적 증상을 보이다가 갑자기 급성으로 전환
- 사료 섭취가 줄어들고, 다리의 통증 보임, 설사 발생
▶ 조사료의 급여수준 및 사료내 섬유질의 함량을 일정수치 유지
- 조사료의 경우 너무 곱게 분쇄해서는 않됨
- TMR(total mixed ration) 급여가 바람직
▶ 증상 발생시 중조(sodium bicarbonate)를 500g정도 급여해줌(pH 완충작용)
6
그라스 테타니(Grass tetany)
▶ 저마그네슘 혈증(hypomagnesemia)이라고 불림
▶ 봄철 무성하게 성장하는 초지에 방목한 소에서 주로 발생
▶ 강직성 경련을 일으키는 대사성 질환
▶ 혈액 중 마그네슘의 함량이 떨어졌을 때 나타남
(혈액, 체액 중 함량이 1% 이하로 떨어질 경우 발생)
▶ 증상 발생시 풀 뜯기 중지, 과도한 흥분상태, 경련을 일으키며 쓰러짐
▶ 우리나라의 경우 농후사료의 급여 비율이 높아 그라스 테타니의 발병율은 낮음
7
과비우 증상(Fat cow syndrome)
▶ 건유우 중에서 체지방이 지나치게 축적된 과비우에서 나타나는 병적 증상
▶ 대부분 지방간(fatty liver)을 기본적인 증상으로 나타냄
(간 중의 지방이 20%이상 차지할 경우 지방간)
▶ 대사성 질병유발과 병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짐
▶ 비유말기와 건유기의 사양에서 비만되지 않도록 적절한 사양관리하는 것이 중요
(영양소의 균형이 맞도록 배합된 사료 급여)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4.06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6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