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유전자를 구성하는 물질이다. 따라서 양성이면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다는 것이고 그 농도가 높으면 바이러스 증식이 활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임상적으로는 e항원과 더불어 항 바이러스 치료의 반응을 보는 용도로 많이 쓴다.
참고
1.GOT,GPT 의 이상
정상치
GOT :10~14 IU/L
GPT : 5~40 IU/L
*100 IU/L 전후 : GOT>GPT--->간경변
*100~200 IU/L : GOT만성간염
*300~500 IU/L 이상 --->급성간염
2. r-GTP,ALP 의 이상
정상치
r-GTP : 0~60 IU/L
ALP : 80~260 IU/L
*r-GTP 와 ALP 가 모두 높다.--->담도의 질환,간경변, 활동성 만성간염, 약물성 간장애 등
*r-GTP 만 높다.--->대부분이 과도한 음주
*ALP 만 높다.--->뼈와 관련된 병 등
3.LAP,LDH 의 이상
정상치
LAP : 75~170 IU/L
LDH : 200~450 IU/L
*LAP 가 높다.--->담석, 암, 지방간, 만성간염, 임신
*LDH 가 높다.---> 급성 간염, 전이성 간암, 심근경색 등이 원인인 경우도 있다.
4.ChE, 총콜레스테롤 (T-ChO) 의 이상
정상치
ChE : 180~460 IU/L
T-ChO : 120~220 mg/dl
*ChE가 낮다--> 중증간염, 간경변
*ChE가 높다--> 지방간
*T-ChO가 낮다-->간경변, 전격성 간염
*T-ChO가 높다-->담즙 정체
5.총단백질, 알부민(A/G비)의 이상
정상치
총단백질 : 6.7~8.3 g/dl
A/G비 : 1.1~2.0
*총단백질이 낮다-->영양부족, 신증후군, 간경변
*총단백질이 감소하고, A/G비가 1이하-->만성 간기능 장애로 간기능이
상당히 저하된 상태
6.ZTT,TTT가 이상
정상치
ZTT : 3~12u
TTT : 0~4u
*ZTT,TTT 모두 상승-->만성간염, 간경변
*TTT만 상승-->급성간염
7.프로트롬빈(PT)시간이 길다
정상치 : 12~14초
*혈액이 응고할 때까지의 시간을 재는 검사로, 시간이 걸릴수록 중증
간기능 장애, 전격성 간염을 진단하는 기준이 된다.
8.혈청 빌리루빈(T-Bil)
정상치 : 0.2~1.0 mg/dl
*직접형 빌리루빈이 높다-->간세포의 장애, 담도계 지환
*간접형 빌리루빈이 높다-->혈액 질환
**물에 용해되기 쉽도록 포합된 것이 직접형, 포합되지 않은 것이 간접형
참고
1.GOT,GPT 의 이상
정상치
GOT :10~14 IU/L
GPT : 5~40 IU/L
*100 IU/L 전후 : GOT>GPT--->간경변
*100~200 IU/L : GOT
*300~500 IU/L 이상 --->급성간염
2. r-GTP,ALP 의 이상
정상치
r-GTP : 0~60 IU/L
ALP : 80~260 IU/L
*r-GTP 와 ALP 가 모두 높다.--->담도의 질환,간경변, 활동성 만성간염, 약물성 간장애 등
*r-GTP 만 높다.--->대부분이 과도한 음주
*ALP 만 높다.--->뼈와 관련된 병 등
3.LAP,LDH 의 이상
정상치
LAP : 75~170 IU/L
LDH : 200~450 IU/L
*LAP 가 높다.--->담석, 암, 지방간, 만성간염, 임신
*LDH 가 높다.---> 급성 간염, 전이성 간암, 심근경색 등이 원인인 경우도 있다.
4.ChE, 총콜레스테롤 (T-ChO) 의 이상
정상치
ChE : 180~460 IU/L
T-ChO : 120~220 mg/dl
*ChE가 낮다--> 중증간염, 간경변
*ChE가 높다--> 지방간
*T-ChO가 낮다-->간경변, 전격성 간염
*T-ChO가 높다-->담즙 정체
5.총단백질, 알부민(A/G비)의 이상
정상치
총단백질 : 6.7~8.3 g/dl
A/G비 : 1.1~2.0
*총단백질이 낮다-->영양부족, 신증후군, 간경변
*총단백질이 감소하고, A/G비가 1이하-->만성 간기능 장애로 간기능이
상당히 저하된 상태
6.ZTT,TTT가 이상
정상치
ZTT : 3~12u
TTT : 0~4u
*ZTT,TTT 모두 상승-->만성간염, 간경변
*TTT만 상승-->급성간염
7.프로트롬빈(PT)시간이 길다
정상치 : 12~14초
*혈액이 응고할 때까지의 시간을 재는 검사로, 시간이 걸릴수록 중증
간기능 장애, 전격성 간염을 진단하는 기준이 된다.
8.혈청 빌리루빈(T-Bil)
정상치 : 0.2~1.0 mg/dl
*직접형 빌리루빈이 높다-->간세포의 장애, 담도계 지환
*간접형 빌리루빈이 높다-->혈액 질환
**물에 용해되기 쉽도록 포합된 것이 직접형, 포합되지 않은 것이 간접형
추천자료
B형 간염바이러스(HBV)란 무엇인가?
B형간염(HBV)진단 최근 연구 흐름 분석
B형간염의 정의 및 원인과 치료
[B형간염][간염][간질환][간]간의 기능, 간염의 종류와 B형간염의 실태, B형간염의 심각성, B...
[B형간염]B형간염에 대한 정보, B형간염의 분류, B형간염의 심각성, B형간염 바이러스의 감염...
[B형간염][간염][간염바이러스]B형간염의 개념, B형간염의 분류과 B형간염의 감염 경로, B형...
B형간염 발생원인,발생감염현황,예방정책 및 규획
[성인간호학4공통] 바이러스성 간염을 유발하는 5가지간염바이러스 구분과 각각의 감염경로, ...
간세포암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 A형간염, B형간염, C형간염, 간경변증 구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