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개요
2.실험장비
3.이론
4.실험내용
4.고찰및 결과
2.실험장비
3.이론
4.실험내용
4.고찰및 결과
본문내용
의 색소분리하기
■ 실험 내용
- 하얀분필을 페트리접시 위에 세워놓는다.
- 분필 위쪽에 서로다른 세가지 색의 사인펜으로 동그랗게 선을 그어둔다.
- 넘어지지 않을만한 장소를 찾아 페트리접시를 둔다.
■ 실험 사진
색이 분리되기전에 분필을
세워둔 사진
색이 분리된 사진
■ 결과 및 고찰
흰 분필의 밑에서 약 1㎝ 되는 지점에 검정, 파랑, 빨강 수성 사인펜으로 360° 줄을 긋고 분필 위에 점을 찍어 색상을 표시한 다음, 그은 선이 닿지 않도록 페트리접시에 물을 붓고 분필을 세워 약 20분간 놓아두고 관찰한 결과 사인펜들이 다양한 색상으로 분리되며, 높이에 따라 분리되는 색상이 다름을 볼 수 있었다. 수성 사인펜의 잉크가 우리눈에는 한가지 색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가지 색이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색소마다 무게가 다르기 때문에 물에 따라 번지는 속도가 다른 원리를 이용해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를 이용할수있었다.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분필에 그은 사인펜의 색소를 함께 이동시키게 되고, 이때 각 색소의 무게 차이에 의해 이동하는 거리가 서로 다르게 됨으로써 색소의 분리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실험3. 흙탕물 분리하기
■ 실험 내용
- 거름종이는 거친 면을 안쪽으로 해서 접는다.
- 깔때기 모양으로 만들어진 거름종이를 깔때기에 넣고 스포이트로 증류 수를 가장자리에 발라서 거름종이를 깔때기 표면에 부착시킨다.
- 만들어진 거름종이보다 깔때기가 큰 경우에는 거름종이의 각을 좀 더 크게 하여 접어서 거름종이가 깔때기 크기에 맞도록 해 준다.
- 흙탕물을 깔때기에 부어서 결과를 비교 관찰한다.
■ 실험 사진
설치된 깔대기의 모습
물이 여과된 모습과
깔데기에 불순물이 걸려있는 사진
흙탕물의 사진
■ 결과 및 고찰
비커에 담긴 흙탕물 20㎖를 기울여서 깔때기에 붓고 결과를 관찰한다.
양쪽 깔때기 모두 거름종이로 인해 흙탕물이 걸러져서 거름종이 위에는 흙 알갱이가 남고, 깔때기 아래에 설치한 비커에는 맑은 물이 모였다. 대략 5분 정도 경과하자 깔때기의 흙탕물이 모두 여과되었다. 하지만 여과된 물도 완전히 깨끗한 물이라고 보기엔 어려운 뿌연물이 생겼는데 이는 거름종이의 여과필터의 크기가 커서 미처 여과 되지못한 미세한 입자들이 물과함께 통과했기 때문이다.
실험4. 우유에서 단백질 분리하기.
■ 실험 내용
-우유에 스포이트로 식초를 몇 방울씩 떨어뜨리고 흔들어 섞어 주는 과정을 반복하여서 스포이트로 떨어뜨린 식초 방울로 인해 우유가 잘 튀지 않을 정도로 우유가 충분히 엉길 수 있도록 해 준다.
식초와 반응하여 덩어리 진 우유는 역한 냄새를 유발하므로 가급적이면 냄새를 맡지 않도록 주의한다.
■ 실험 사진
우유와 식초사진
우유와 식초가 섞인 사진
우유&식초 용액을 거름종이에 부었을때 모습
■ 결과 및 고찰
식초와 반응하여 엉긴 우유를 깔때기에 붓고 결과를 관찰한다.
깔때기엔 거름종이로 인해 덩어리 진 우유가 걸러져서 거름종이 위에는 단백질이 남고, 깔때기 아래에 설치한 비커에는 맑은 물이 모였다.
대략 4분 정도 경과하자 깔때기의 우유가 모두 분리되었다.
실험 시에는 우유에 식초를 가했을 때 어떠한 원리로 단백질이 응고되는지 알 수 없었지만 실험을 통해 우유를 물과 단백질로 분리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자료를 찾아보면서 우유와 식초의 응고 반응이 우유 속의 카세인이라는 단백질 때문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상한 우유가 응고되어 덩어리지는 현상이 젖산과의 반응 결과라는 사실을 통해 그 원리가 쉽게 이해될 수 있었다.
* 자료 및 출처
- www.naver.com
- www.google.co.kr
- 두산백과사전 www.encyber.com
■ 실험 내용
- 하얀분필을 페트리접시 위에 세워놓는다.
- 분필 위쪽에 서로다른 세가지 색의 사인펜으로 동그랗게 선을 그어둔다.
- 넘어지지 않을만한 장소를 찾아 페트리접시를 둔다.
■ 실험 사진
색이 분리되기전에 분필을
세워둔 사진
색이 분리된 사진
■ 결과 및 고찰
흰 분필의 밑에서 약 1㎝ 되는 지점에 검정, 파랑, 빨강 수성 사인펜으로 360° 줄을 긋고 분필 위에 점을 찍어 색상을 표시한 다음, 그은 선이 닿지 않도록 페트리접시에 물을 붓고 분필을 세워 약 20분간 놓아두고 관찰한 결과 사인펜들이 다양한 색상으로 분리되며, 높이에 따라 분리되는 색상이 다름을 볼 수 있었다. 수성 사인펜의 잉크가 우리눈에는 한가지 색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가지 색이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색소마다 무게가 다르기 때문에 물에 따라 번지는 속도가 다른 원리를 이용해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를 이용할수있었다.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분필에 그은 사인펜의 색소를 함께 이동시키게 되고, 이때 각 색소의 무게 차이에 의해 이동하는 거리가 서로 다르게 됨으로써 색소의 분리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실험3. 흙탕물 분리하기
■ 실험 내용
- 거름종이는 거친 면을 안쪽으로 해서 접는다.
- 깔때기 모양으로 만들어진 거름종이를 깔때기에 넣고 스포이트로 증류 수를 가장자리에 발라서 거름종이를 깔때기 표면에 부착시킨다.
- 만들어진 거름종이보다 깔때기가 큰 경우에는 거름종이의 각을 좀 더 크게 하여 접어서 거름종이가 깔때기 크기에 맞도록 해 준다.
- 흙탕물을 깔때기에 부어서 결과를 비교 관찰한다.
■ 실험 사진
설치된 깔대기의 모습
물이 여과된 모습과
깔데기에 불순물이 걸려있는 사진
흙탕물의 사진
■ 결과 및 고찰
비커에 담긴 흙탕물 20㎖를 기울여서 깔때기에 붓고 결과를 관찰한다.
양쪽 깔때기 모두 거름종이로 인해 흙탕물이 걸러져서 거름종이 위에는 흙 알갱이가 남고, 깔때기 아래에 설치한 비커에는 맑은 물이 모였다. 대략 5분 정도 경과하자 깔때기의 흙탕물이 모두 여과되었다. 하지만 여과된 물도 완전히 깨끗한 물이라고 보기엔 어려운 뿌연물이 생겼는데 이는 거름종이의 여과필터의 크기가 커서 미처 여과 되지못한 미세한 입자들이 물과함께 통과했기 때문이다.
실험4. 우유에서 단백질 분리하기.
■ 실험 내용
-우유에 스포이트로 식초를 몇 방울씩 떨어뜨리고 흔들어 섞어 주는 과정을 반복하여서 스포이트로 떨어뜨린 식초 방울로 인해 우유가 잘 튀지 않을 정도로 우유가 충분히 엉길 수 있도록 해 준다.
식초와 반응하여 덩어리 진 우유는 역한 냄새를 유발하므로 가급적이면 냄새를 맡지 않도록 주의한다.
■ 실험 사진
우유와 식초사진
우유와 식초가 섞인 사진
우유&식초 용액을 거름종이에 부었을때 모습
■ 결과 및 고찰
식초와 반응하여 엉긴 우유를 깔때기에 붓고 결과를 관찰한다.
깔때기엔 거름종이로 인해 덩어리 진 우유가 걸러져서 거름종이 위에는 단백질이 남고, 깔때기 아래에 설치한 비커에는 맑은 물이 모였다.
대략 4분 정도 경과하자 깔때기의 우유가 모두 분리되었다.
실험 시에는 우유에 식초를 가했을 때 어떠한 원리로 단백질이 응고되는지 알 수 없었지만 실험을 통해 우유를 물과 단백질로 분리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자료를 찾아보면서 우유와 식초의 응고 반응이 우유 속의 카세인이라는 단백질 때문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상한 우유가 응고되어 덩어리지는 현상이 젖산과의 반응 결과라는 사실을 통해 그 원리가 쉽게 이해될 수 있었다.
* 자료 및 출처
- www.naver.com
- www.google.co.kr
- 두산백과사전 www.encyber.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