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업과 노사관계
(2) 생산환경의 전문인 현상
Ⅲ. 결론
※ 참고문헌
※ 작성후기
Ⅰ. 서론
Ⅱ. 본론
(1) 기업과 노사관계
(2) 생산환경의 전문인 현상
Ⅲ. 결론
※ 참고문헌
※ 작성후기
본문내용
화학 대기업의 내부노동시장형태는 조업도가 극히 불안정한 상태의 중소기업의 노동시장과는 질적인 차이가 있었다. 조선산업의 경우 1970,1980년대의 중
소조선소의 조업도는 20%를 넘지 못하였다. 그러나 현대중공업 등 대형조선
소는 월 400시간을 초과하는 조업도를 실현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급이 조금
적더라도 실수령액에 있어서는 2-3배의 격차를 보이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상태는 1987년 6월 항쟁과 7,8월 노동자대투쟁으로 사회전반은 물론
노사관계에 있어서의 민주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유지 되었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노사관계는 끊임없는 투쟁과 협의로 인해 완성되었다.
Ⅲ. 결론
앞에서 알아보았듯이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가장 중요한 것은 아무
리 무엇이라고 해도 노사관계가 제일 중요한 첫 번째라는 것은 반박하지 못
할꺼 같다. 우리나라의 민주화가 시작된 1990년 정도에는 노사관계가 확립
이 되었기 때문에 지금은 노동자의 힘이 어느 정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기업들의 횡포도 이제는 거의 찾아볼수 없는 이 사회에서 노동자들
은 너무 많은 자신들만의 이익을 바랄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일하고 있는 기
업을 자신의 한부분으로 인정하고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 조금은 참고 인내
할줄도 알아야 될꺼같다. 요새 들어서 노동자들은 무작정 파업이니 생산 중
단이니 하면서 자신들의 요구만을 요구하게 된다면 자신들이 파업한 그동
안 기업의 생산은 당연히 중단 될 것이며 그렇게 된다면 기업들은 그 기업
이 해내야 되는 일거리를 그만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결론은 하나다. 당연 회사는 돈이 돌아가지 않으니 노동자들에게 다시한번
임금축소 및 구조조정을 하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또다시 노동자들은
파업등 생산을 중단할것이며 그러면 이 불행의 싸이클은 끊임 없이 돌게
되어 결국 그 회사는 파산을 하게 될 것이며 회사가 파산을 하게 된다면 그
노동자들은 결국 실직자가 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결국 맨 마지막에는
우리 사회는 넘쳐나는 실직자와 부실기업들 때문에 사회적 인식도는 거의
제로가 될것이며 그렇게 된다면 국가 신뢰도 또한 밑바닥을 맴돌 것이다.
이렇듯 가장 하위단계 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노동자와 기업의 관계는 자신
들의 기업에만 한한 것이 아니라 국가적 신뢰도 까지 문제를 끼칠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모든 기업과 노동자들은 이 점을 유의하여 서로 한걸음씩
만 물러 나는 모습을 보여 밝고 힘찬 기업, 더 나아가서 밝고 힘찬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다 같이 노력을 해야 될 것이다.
※ 참고 문헌
노병식, 2005, 한국기업의 노사관계, 박영사
권오현, 2002, 기업의 노동조합 대책실무편림, (주)중앙경제
※ 작성후기
처음 교수님께 이 과제물을 받았을때 솔직히 쫌 막막했다. 그이유는 이런 논문식의 글은 처음 써보는 것이고 거기다가 책을 찾고 인터넷을 찾아가며 신문을 찾고 하는 것이 귀찮다고도 생각했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레포트를 써가며 정말 몰랐던 중요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사실이라는 것이 항상
뉴스에서만 보던 노사관계의 갈등이 왜 그렇게 되었구나 라는 사실들을 알 게 된 것이다. 항상 뉴스들은 힘있는 자의 편이 되어 노동자 만이 무조건
잘못되었다는 식으로 방송을 해서 무작정 그런 줄로만 알았었는데 깊숙이 알고 보니 기업들의 횡포도 장난이 아니라는 것도 알게 되었고 왜 그렇게
까지 파업을 하고 생산을 중단하여 자기들의 회사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우리 사회까지도 힘들게 하는 이유를 조금이나마 알게 된 것이다.
그동안 오랫동안 쌓여있던 오해를 풀게 되는 계기였다.
나의 오해를 풀게끔 좋은 과제를 내주신 교수님께 다시한번 감사 드리며
이글을 마치고자 한다.
소조선소의 조업도는 20%를 넘지 못하였다. 그러나 현대중공업 등 대형조선
소는 월 400시간을 초과하는 조업도를 실현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급이 조금
적더라도 실수령액에 있어서는 2-3배의 격차를 보이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상태는 1987년 6월 항쟁과 7,8월 노동자대투쟁으로 사회전반은 물론
노사관계에 있어서의 민주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유지 되었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노사관계는 끊임없는 투쟁과 협의로 인해 완성되었다.
Ⅲ. 결론
앞에서 알아보았듯이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가장 중요한 것은 아무
리 무엇이라고 해도 노사관계가 제일 중요한 첫 번째라는 것은 반박하지 못
할꺼 같다. 우리나라의 민주화가 시작된 1990년 정도에는 노사관계가 확립
이 되었기 때문에 지금은 노동자의 힘이 어느 정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기업들의 횡포도 이제는 거의 찾아볼수 없는 이 사회에서 노동자들
은 너무 많은 자신들만의 이익을 바랄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일하고 있는 기
업을 자신의 한부분으로 인정하고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 조금은 참고 인내
할줄도 알아야 될꺼같다. 요새 들어서 노동자들은 무작정 파업이니 생산 중
단이니 하면서 자신들의 요구만을 요구하게 된다면 자신들이 파업한 그동
안 기업의 생산은 당연히 중단 될 것이며 그렇게 된다면 기업들은 그 기업
이 해내야 되는 일거리를 그만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결론은 하나다. 당연 회사는 돈이 돌아가지 않으니 노동자들에게 다시한번
임금축소 및 구조조정을 하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또다시 노동자들은
파업등 생산을 중단할것이며 그러면 이 불행의 싸이클은 끊임 없이 돌게
되어 결국 그 회사는 파산을 하게 될 것이며 회사가 파산을 하게 된다면 그
노동자들은 결국 실직자가 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결국 맨 마지막에는
우리 사회는 넘쳐나는 실직자와 부실기업들 때문에 사회적 인식도는 거의
제로가 될것이며 그렇게 된다면 국가 신뢰도 또한 밑바닥을 맴돌 것이다.
이렇듯 가장 하위단계 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노동자와 기업의 관계는 자신
들의 기업에만 한한 것이 아니라 국가적 신뢰도 까지 문제를 끼칠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모든 기업과 노동자들은 이 점을 유의하여 서로 한걸음씩
만 물러 나는 모습을 보여 밝고 힘찬 기업, 더 나아가서 밝고 힘찬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다 같이 노력을 해야 될 것이다.
※ 참고 문헌
노병식, 2005, 한국기업의 노사관계, 박영사
권오현, 2002, 기업의 노동조합 대책실무편림, (주)중앙경제
※ 작성후기
처음 교수님께 이 과제물을 받았을때 솔직히 쫌 막막했다. 그이유는 이런 논문식의 글은 처음 써보는 것이고 거기다가 책을 찾고 인터넷을 찾아가며 신문을 찾고 하는 것이 귀찮다고도 생각했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레포트를 써가며 정말 몰랐던 중요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사실이라는 것이 항상
뉴스에서만 보던 노사관계의 갈등이 왜 그렇게 되었구나 라는 사실들을 알 게 된 것이다. 항상 뉴스들은 힘있는 자의 편이 되어 노동자 만이 무조건
잘못되었다는 식으로 방송을 해서 무작정 그런 줄로만 알았었는데 깊숙이 알고 보니 기업들의 횡포도 장난이 아니라는 것도 알게 되었고 왜 그렇게
까지 파업을 하고 생산을 중단하여 자기들의 회사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우리 사회까지도 힘들게 하는 이유를 조금이나마 알게 된 것이다.
그동안 오랫동안 쌓여있던 오해를 풀게 되는 계기였다.
나의 오해를 풀게끔 좋은 과제를 내주신 교수님께 다시한번 감사 드리며
이글을 마치고자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