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간호학case-Bell's pals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방간호학case-Bell's pals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간 호 사 정
Ⅱ. 진 단 검 사
Ⅲ. 望聞問切 (망문문절)
Ⅳ. 치 료
Ⅴ. 간호진단

본문내용

치료 bid 투자) 지창, 협거, 내관, 외관
경혈) 합곡, 태충, 백회, 삼리
-전침 qid
-Moxa(뜸치료) qid (중완, 관원, 기해, 중극)
-IR(infra 적외선) 치료
간호평가
Walker 혹은 보호자의 보호아래 보행하는 것이 관찰되어졌고, 침대 난간을 올려놓으시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진단
#2. 외모의 변화와 관련된 자존감 저하
주관적 자료
“ 거울 볼 때마다 속상해”
“ 얼굴 이래가지고 어딜 나가겠어..빨리 낫던가 해야지...”
객관적 자료
대화할 때 자신감 없는 모습 관찰됨
대화를 잘 안하려고 하고 시선을 마주치지 않음
학생간호사를 처음에 멀리 하려고 하는 모습 관찰됨
간호목표
자신에 대한 긍정적 감정을 표현하며, 의사소통이 증진된다.
간호
계획
간호활동계획

이론적 근거
① 대상자의 질환의 특성과 치료과정을 자세히 설명하여 불안을 완화하고 자존감을 증진시키도록 한다.
② 질환으로 인한 기능상실과 관련된 솔직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지지해준다.
▶ 환자는 비통과정의 분노단계에 고착될 수 있는데 이 분노가 자신의 내부로 향해져 자존감을 저하시킨다.
③ 비판하지 않고 공감적인 태도로 대상자의 이야기를 경청하여 듣는다.
④ 대상자의 질환에 대한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있도록 대상자에게 흥미 있는 일을 격려한다.
⑤ 대상자가 침대에 누워만 있지 않도록 하고 대상자가 혼자 있을 때에는 대상자와 함께 시간을 보낸다.
⑥ 대상자가 다른 옆 침대의 환자분들과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대화에 함께 참여한다.
▶ 타인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통해 자존감이 증진될 수 있다.
⑦ 대상자를 가치 있는 한 인간으로서 수용하여 존중함을 알린다.
⑧ 자기간호 뿐 아니라 개인 활동을 수행하도록 격려하며 성취한 일에 대해 인정해주고 칭찬해준다.
⑨ 대상자의 강점에 대해 대상자와 함께 찾아보고 강점을 더 살릴 수 있도록 한다.
⑩ 한의사선생님이 처방한 대로 대상자가 치료한다.
간호수행
1. 안면마비의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차가운 온도가 혈관의 수축을 가져와 안면마비가 올 수 있다고 설명, 증상은 아주 빨리 진행하지만 회복은 더디고 침,뜸,적외선,물리,약물치료를 통해 90%의 환자는 6개월이면 완전히 회복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설명함.
2. 할머니께 충분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경청해주었다.
4. 할머니가 병동 복도를 천천히 걷고 바람 쐬는 것을 좋아하시기 때문에 같이 운동을 하시도록 도와드림.
5. 할머니가 침대에 누워 계실 때 다리를 주물러 드리고 일상적인 대화를 나눔.
8. 할머니 스스로 밥을 드시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옆에서 잘 하시는지 관찰함.
9. 할머니는 병실에서 말을 재미있게 하셔서 병실의 다른 환자분들이 다들 할머니를 좋아하는 것 같다고 말씀드리고 격려함.
10. 한의사 선생님, 물리치료사선생님이 대상자에게 치료하는 것 관찰.
-보중익기탕 1일 2첩 3회 복용 (at 9A, 2P, 7P)
-침(A-tx) 치료 bid 투자) 지창, 협거, 내관, 외관
경혈) 합곡, 태충, 백회, 삼리
-전침 qid
-Moxa(뜸치료) qid (중완, 관원, 기해, 중극)
-IR(infra 적외선) 치료
-PT(물리치료) bid
간호평가
아직도 안면마비에 대해 불편함을 호소하고 거부반응을 보이시지만 병실의 다른 환자분들과 일상적인 대화를 자주 나누는 모습이 관찰된다.
간호진단
#3. 음식물 섭취 감소 및 활동력 감소와 관련된 변비
주관적 자료
“먹은 게 없으니 변도 안나오나봐.”
“배가 더부룩해 죽겠어~”
객관적 자료
2-3일에 한 번씩 변을 본다고 함.
변을 봐도 시원한 느낌이 없고 뒤가 찝찝하다고 말씀함.
다리가 저리기 때문에 활동을 많이 못함.
식사 시 밥을 조금밖에 못 드시고 천천히 드셔서 식사시간이 오래 걸림.
아침
점심
저녁
대변횟수
4/13
밥1/2공기
밥1/2공기
밥2/3공기
1
4/14
밥1/3공기
밥1/2공기
밥1/2공기

4/15
밥1/3공기
밥2/3공기
밥2/3공기

4/16
밥1/2공기
밥1/3공기
밥1/2공기
1
간호목표
대상자는 자신의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회복한다.
간호
계획
간호활동계획

이론적 근거
① 복부팽만이 있는지 관찰하고 장음을 청진한다.
② 식사 시에 고루고루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도록 반찬을 드린다.
③ 누워있지만 말고 되도록 활동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 활동수준 증가는 대장운동을 증가시켜 배변반사를 자극한다. 가벼운 운동은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배변장애 해소에 도움이 된다.
④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⑤ 1000cc이상의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 수분부족은 변비를 유발시킨다. 수분섭취가 많아지면 변이 무르고 부드러워지므로 배변이 쉬워진다.
⑥ 배변 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 스트레스는 장의 긴장도를 증가시켜 장의 연동운동을 방해한다.
⑦ 대상자에게 수분섭취 및 요구르트(유산균음료), 섬유질이 많은 식이 섭취를 격려한다.
▶ 섬유질이 포함한 음식(요구르트, 유산균음료 등)은 대변의 수분량을 증가시켜 변의 굳기를 정상적으로 만들엊 준다.
간호수행
1. 복부팽만이 있는지 관찰하고 장음을 청진하는 것을 관찰한다.(간호사 선생님들 라운딩 시, 의사선생님들 회진 시)
3. 할머니와 여유로운 시간이 있는 동안은 함께 대화를 나누면서 병동 복도를 같이 움직이고 걷도록 함.
4. 정확한 양을 재지는 않아서 알 수 없지만 물은 하루에 종이컵으로 6-7잔 정도,
- 소변은 적은 양을 5-6회 정도, 대변은 이틀에 한번 보셨다고 말씀하심.
5. 하루에 종이컵에 물을 10잔 이상, 음료수 등을 마시고,
특히 아침이나 식간에 많이 마실 것을 격려하였다.
7. 요구르트나 요플레,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하루 3번씩 섭취하도록 하였다.
간호평가
물을 섭취하는 횟수가 늘어났고, 대변을 하루 1회 봤다.
※ 참고문헌
1.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2.성인간호학, 현문사
3.최신 간호 임상매뉴얼, 현문사
4.기본간호학(2001), 조영희·고미혜, 신광출판사
5.한방간호학 수업자료.
6.의학사전(2005), 이우주, 아카데미서적
  • 가격1,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4.07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1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