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소설론....-단군신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문소설론....-단군신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법(神仙術法)을 닦는 방사(方士)들을 불러들여 후대했다. 그들 중에서도 특히 노생(盧生)과 후생(侯生)을 신임했으나 두 방사는 많은 재물을 사취(詐取)한 뒤 시황제의 부덕(不德)을 비난하며 종적을 감춰 버렸다. 시황제는 진노했다. 그 진노가 채 가시기도 전에 이번에는 시중의 염탐꾼을 감독하는 관리로부터 '폐하를 비방하는 선비들을 잡아 가뒀다'는 보고가 들어왔다. 시황제의 노여움은 극에 달했다. 엄중히 심문한 결과 연루자는 460명이나 되었다. 시황제는 그들을 모두 산 채로 각각 구덩이에 파묻어 죽였는데 이 일을 가리켜 '갱유'라고 한다.
康龍成, 『단군과 고조선』일제의 단군조선말살정책에 대하여, 1999, 159~165쪽
<<단군신화에 대한 조사를 하면서, 여러권의 단군신화 관련 서적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단군신화의 보편적 의미가 아닌 전혀 생각지 못했던 많고 다양한 학설까지...... 아직 제가 스스로 어떠한 학설이 더 힘이 있고 저 타당한지 분별해 낼 만한 안목과 학문적 소양은 없지만, 여러 가지 살펴보고 눈을 뜨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제가 조사한 것은 아주 극히 일부분이고 보편적인 것이나 저에게는 깜깜한 터널에서 막 빠져 나온듯한 느낌을 강하게 받았습니다. 앞으로는 스스로 찾아서 좀더 이것저것 알아보고 편식하지 않는 학문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參考文獻>>
♣이형구. 『단군과 고조선』살림터.1999.
-고조선에 대한 제인식
-강룡성. 단군말살책동은 조선민족말살정책의 산물(일제의 단군조선 말살정책에 대하여)
-최춘근. 고조선 연구에서 나서는 몇 가지 문제
-김철식. 고조선사 재정립이 가지는 민족사적 의의
♣최삼룡. 강인숙. 『단군신화와 역사』동신출판사. 1992.
♣노태돈. 『단군과 고조선사』사계절. 2000.
♣장미숙. 『단군신화연구』충대교육대학원. 1988.
♣http://www.sosok.hs.kr/~gosa/g89.htm
♣http://myhome.naver.com/sial/
♣http://mahan.wonkwang.ac.kr/source/ko1.htm
♣http://www.tangun.com/
♣http://www.dangoon21.net/
♣http://www.koreandb.net/KoreanKing/html/person/p111_03517.htm
♣http://www.woorimal.net/hangul/gojunsanmoon/my-dangun.htm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4.07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3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