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구토지설(龜兎之設)』의 연원
1) 『삼국사기(三國史記)』 권41, 열전(列傳)의 『구토지설(龜兎之設)』과 역사적 배경
2) 『구토지설(龜兎之設)』의 모태인 인도의 『용원 설화』
(1) 인도의 본생경
(2) 본생경의 용원설화와 『구토지설(龜兎之設)』
2. 『구토지설(龜兎之設)』이 후대문학에 끼친 영향
1) 『구토지설(龜兎之設)』의 문학적(文學的) 영향
2) 『구토지설(龜兎之設)』의 서사구조와 후대문학의 영향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Ⅱ. 본 론
1. 『구토지설(龜兎之設)』의 연원
1) 『삼국사기(三國史記)』 권41, 열전(列傳)의 『구토지설(龜兎之設)』과 역사적 배경
2) 『구토지설(龜兎之設)』의 모태인 인도의 『용원 설화』
(1) 인도의 본생경
(2) 본생경의 용원설화와 『구토지설(龜兎之設)』
2. 『구토지설(龜兎之設)』이 후대문학에 끼친 영향
1) 『구토지설(龜兎之設)』의 문학적(文學的) 영향
2) 『구토지설(龜兎之設)』의 서사구조와 후대문학의 영향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부가 토끼를 꾀어 수궁(水宮)으로 데려가는 ‘유혹 지략담’이, 후반부에서는 토끼가 위기를 극복하는 ‘위기 극복 지략담’이 각각 전개되고 있으며, 『구토지설(龜兎之設)』 전체로 보았을 때는 별주부와 토끼의 지략 대결로 대표되는 ‘쟁장 지략담’이 중요한 서사 요소가 되고 있다. 이러한 ‘유혹 지략담’, ‘위기 극복 지략담’, 쟁장 지략담‘ 등의 세 가지 지략담은 『구토지설(龜兎之設)』이 『토끼전』, 『별주부전』 등의 후대 작품(作品)으로 작품화하는 과정에서 근간이 되는 부분이다. 특히 『토끼전』은 『구토지설(龜兎之設)』의 세 가지 지략담을 중심으로 서사적 확장을 전개하고 있기 때문에 세 개의 지략담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토지설(龜兎之設)』은 『토끼전』 서사 확장의 튼실한 뼈대 구실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Ⅲ. 결 론
지금까지 『구토지설(龜兎之設)』의 연원과 이 작품(作品)이 후대문학에 끼친 영향 등에 대하여 서술(敍述)하여 보았다.
『구토지설(龜兎之設)』은 삼국사기(三國史記) 열전 김유신 조에 등장하는 이야기로, 고구려(高句麗)에 잡히게된 김춘추에게 고구려(高句麗) 장수 선도해가 탈출(脫出)을 암시(暗示)하며 들려준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불교(佛敎) 설화인 인도의 용원설화에 그 근원(根源)을 두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대립관계의 주체가 다르고 종교적 의미(意味)는 찾아볼 수 없는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구토지설(龜兎之設)』은 후대에 다양한 판소리와 소설로 활용(活用)이 되어 『수궁가』, 『토끼전』, 『별주부전』 등을 낳았으며, 그 이야기의 골격(骨格)과 구조가 더욱 확장되었고 논리적(論理的)으로 전개되는 등의 발전(發展)을 보이게 되었다. 특히 『구토지설(龜兎之設)』의 주인공(主人公)인 토끼와 별주부로 구성된 지략대결은 후대문학에 있어서 서사 확장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뼈대의 구실을 하게 되었다.
Ⅳ. 참고문헌
1. 윤주필, 정치적 담론으로서의 우언 -한국 역사서의 우언수용을 중심으로, 2003
2. 민현기, 풍자소설의 구조적 특징, 연구논문집 10권 2호, 울산공대, 1979.
3. 박일용, 조선조 후기 소설론의 전개 국어국문학 94, 국어국문학회, 1985
4. 김동건, 토끼전 연구, 경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5. http://girinhs.kwije.go.kr/data_bank/data/5773_%B1%B8%C5%E4%C1%F6%BC%B3.htm
Ⅲ. 결 론
지금까지 『구토지설(龜兎之設)』의 연원과 이 작품(作品)이 후대문학에 끼친 영향 등에 대하여 서술(敍述)하여 보았다.
『구토지설(龜兎之設)』은 삼국사기(三國史記) 열전 김유신 조에 등장하는 이야기로, 고구려(高句麗)에 잡히게된 김춘추에게 고구려(高句麗) 장수 선도해가 탈출(脫出)을 암시(暗示)하며 들려준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불교(佛敎) 설화인 인도의 용원설화에 그 근원(根源)을 두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대립관계의 주체가 다르고 종교적 의미(意味)는 찾아볼 수 없는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구토지설(龜兎之設)』은 후대에 다양한 판소리와 소설로 활용(活用)이 되어 『수궁가』, 『토끼전』, 『별주부전』 등을 낳았으며, 그 이야기의 골격(骨格)과 구조가 더욱 확장되었고 논리적(論理的)으로 전개되는 등의 발전(發展)을 보이게 되었다. 특히 『구토지설(龜兎之設)』의 주인공(主人公)인 토끼와 별주부로 구성된 지략대결은 후대문학에 있어서 서사 확장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뼈대의 구실을 하게 되었다.
Ⅳ. 참고문헌
1. 윤주필, 정치적 담론으로서의 우언 -한국 역사서의 우언수용을 중심으로, 2003
2. 민현기, 풍자소설의 구조적 특징, 연구논문집 10권 2호, 울산공대, 1979.
3. 박일용, 조선조 후기 소설론의 전개 국어국문학 94, 국어국문학회, 1985
4. 김동건, 토끼전 연구, 경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5. http://girinhs.kwije.go.kr/data_bank/data/5773_%B1%B8%C5%E4%C1%F6%BC%B3.htm
추천자료
한국공영방송의 개혁방안
방송통신대 레포트★전략적인적자원개발론-특정 회사의 역량 모델을 조사하고, 그것이 인적자...
방송통신대 레포트★전략적인적자원개발론특정 회사의 역량 모델을 조사하고, 그것이 인적자원...
방송통신대 보건영양-B형 식품첨가물의 사용현황을 조사하고 잠재적인 건강영향에 대해서 조...
방송통신대-식생활관리(공통): 고기, 생선, 육류의 영양적특징 및 본인하루식사의 균형성
교육평가A형 (방송통신대 2018)-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5세 유아의 ‘예술감수성’ 평정척도 ...
기초간호과학-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종양의 병기TNM 분류방법 혈액응고과정 3단계 범발...
기초간호과학 (2018) -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은 무엇인지 종양의 병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