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설정 된다는 것을 알았다. 이처럼 타이머란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입력을 주면 설정한 시간이 경화한 후에 회로를 전기적으로 ON,OFF하게 하는 접점을 가진 릴레이 이다.
타이머의 정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clock 신호를 받을 때 마다 내부 register의 값이 증가하고 이 값이 미리 지정된 값에 도달하면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회로
타이머의 종류 (동작원리에 따른)
모터식 타이머, 전자식 타이머, 제동식 타이머로 분류한다. 타이머의 구동부는 일반 전자코일의 기호와 동등하며 출력접점은 일반 접점 중앙부에 삼각형 꼭지를 붙여서 구별한다. 타이머의 동작의 한시동작 형과 한시복귀 형이 있다.
한시 동작형
타이머의 a접점은 입력이 주어지면 타이머의 설정 시간이 경과후에 폐(ON)로가 되고, 입력이 없어 지면 순시적으로 복귀하여 개(OFF)로가 된다. b접점은 a접점 반대의 동작이 일어난다.
한시 복귀형
타이머의 a접점은 입력이 주어지면 순시동작하여 폐(ON)로가 되고 입력이 없어지면 타이머의 설정 시간 경과 후에 복귀하여 개(OFF)로가 되며, b접접은 위 동작의 반대가 된다.
3)그림 4.3의 회로를 실습하고 다음의 타임차트를 완성하시오.
PB1
PB2
R1
R2
Ta
L
결과 및 고찰
타이머는 자신이 원하고자 하는 시간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작업을 중단 할 수 있으며, 또한 a접점과 b접점을 이용하여 램프를 ON,OFF를 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는 타이머가 우리 일상생활에 있어서 차지하는 정도가 큼을 알려 주며, 곧 자기유지 회로가 자동화의 기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타이머의 정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clock 신호를 받을 때 마다 내부 register의 값이 증가하고 이 값이 미리 지정된 값에 도달하면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회로
타이머의 종류 (동작원리에 따른)
모터식 타이머, 전자식 타이머, 제동식 타이머로 분류한다. 타이머의 구동부는 일반 전자코일의 기호와 동등하며 출력접점은 일반 접점 중앙부에 삼각형 꼭지를 붙여서 구별한다. 타이머의 동작의 한시동작 형과 한시복귀 형이 있다.
한시 동작형
타이머의 a접점은 입력이 주어지면 타이머의 설정 시간이 경과후에 폐(ON)로가 되고, 입력이 없어 지면 순시적으로 복귀하여 개(OFF)로가 된다. b접점은 a접점 반대의 동작이 일어난다.
한시 복귀형
타이머의 a접점은 입력이 주어지면 순시동작하여 폐(ON)로가 되고 입력이 없어지면 타이머의 설정 시간 경과 후에 복귀하여 개(OFF)로가 되며, b접접은 위 동작의 반대가 된다.
3)그림 4.3의 회로를 실습하고 다음의 타임차트를 완성하시오.
PB1
PB2
R1
R2
Ta
L
결과 및 고찰
타이머는 자신이 원하고자 하는 시간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작업을 중단 할 수 있으며, 또한 a접점과 b접점을 이용하여 램프를 ON,OFF를 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는 타이머가 우리 일상생활에 있어서 차지하는 정도가 큼을 알려 주며, 곧 자기유지 회로가 자동화의 기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