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중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후기 중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中人의 槪念
2)中人의 構造 및 性格
3)中人의 形成
4)中人의 성장 및 발전
4-1 조선전기 技術官僚의 身分
4-2 조선후기 技術職 中人의 家門
4-3 中人들의 限界
Ⅲ. 결론

본문내용

은 93本貫인데, 이중에서 반이 넘는 53本貫은 17세기에 들어와 譯官을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17세기에 들어와 譯官家門의 氏族교체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난 것을 말해준다.
이남희, 「朝鮮中期 譯科入格者의 身分에 간한 硏究」『淸溪史學』4
또한, 17세기 이후의 譯官의 세습경향은 榜目에 기재된 合格者의 父의 직업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주3과 동일
4-3 中人들의 限界
中人들의 행동양식과 그것이 거둔 성과에서는 많은 한계가 발견되기도 한다. 중인들은 자신들이 누리고 있던 현실적인 이해에 집착하면서 이에 안주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고, 상당한 성취를 거두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문화적 성과조차도 기껏해야 양반문화의 모방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못했으며, 더구나 이를 능가하여 시대적 과제를 담당할 만한 수준에은 미치지 못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중인들이 자신들의 성장한 자의식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역사를 정리하는 데 관심을 둠으로써 자신들의 ‘아이덴티티’를 확인하려고 했던 반면, 19세기 중엽을 전후하여 중인들의 전기류나 족보, 雜科榜目등을 편찬하는 일이 일어났던 것은 이를 잘 말해준다.
또 다른 일부의 중인들은 오히려 자신들의 계보를 감추는 자기부정의 길로 나아가기도 했던 것이다. 이는 한말에 자신들의 본관을 海州에서 淸風으로 바꾸고 청풍김씨의 行列字에 맞추어 이름까지 바꾸었던 海州金氏의 사례에서 여실히 드러난ㄷ. 중인들의 改名은 꽤 흔한 일로서, 그 동기가 반드시 자신들의 신분을 위장하려는 데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이 점은 중인연구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요인의 하낙 되고 있다.
주12와 동일
Ⅲ. 결론
조선후기 中人은 조선시대 身分制의 골간이던 良賤制가 무너지고 班常制가 확립되던 17세기에 兩班과 常漢의 중간계급으로 성립되었다.
良賤制가 확고한 法制的 規範으로 성립된 國家的 身分制라면, 班常制는 法制的 規範으로서가 아니라, 社會慣習的 規範으로서 나타난 것이다. 良賤制에서 班常制로의 移行은 科田法 체제의 붕괴에 따른 地主制의 성장과 良人의 계급분화, 性理學 발달에 수반한 士族層의 성장과 士族層의 주도로 이루어진 鄕村共同體 조직의 강화, 그리고 奴婢신분의 해방운동 등이 서로 어우러져서 이루어진 새로운 계급질서이다.
中間階級으로서의 中人은 班常制가 빚어낸 하나의 역사적 산물이다. 班常制가 지닌 폐쇄적 측면은 자연히 士族層의 부단한 自己陶汰과정을 수반하기 마련이었고, 여기에서 技術官과 庶孼層이 士族層에서 밀려나 中人의 한 層을 이루게 된다. 技術官은 職業의 優劣관계에서 人文的 官人의 次位로 밀리게 되고, 庶孼은 血統의 하자로 인해 士族의 嫡統에서 빗겨나게 되는데, 庶孼을 技術官으로 등용한 것은 결정적으로 技術官 전체의 地位를 下落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중인은 이와 같이 班常制下에서 下降한 士族層과 아래로부터 상승한 平民層이 합류되어 구성되었지만 그들 사이에 계급적 同類意識이 형성되지는 못했다. 주3과 동일
현재에도 계속적으로 中人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또 계속해서 中人層의 아직 미지의 부분을 계속해서 연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참고 논문 -
- 李成茂, 「朝鮮前期 中人層의 成立問題」『조선의 사회와 사상』, 1999
- 崔珍玉, 연구논총 99-3 「조선시대 사회에 관한 연구성과」『조선시대 연구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1999
- 韓永愚, 「조선시대 中人의 신분 계층적 성격」『한국문화』9,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 1988. 11
- 김필동, 연구논총 93-14 「조선시대 中人 신분의 형성과 발달」『한국의 사회와 문화-유교적 전통사회의 구조와 특성-』2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1993
- 민족문화 추진 위원회 - 조선왕조실록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4.08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4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