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역무역협정(RTA)
2. Balassa 경제통합 5단계설
3. 절대우위(absolute advantage)
4. 비교우위(comparative advantage)
5. 레온티예프역설 [Leontief Paradox]
6. 헤크셰르올린의 정리 (Heckscher-Ohlin Theorem)
7. 요소가격균등화(equalization of factor prices)
8. 스톨퍼-사무엘슨 정리
9. 립진스키 모형[ Rybczinski model ]
10. HOS 이론
2. Balassa 경제통합 5단계설
3. 절대우위(absolute advantage)
4. 비교우위(comparative advantage)
5. 레온티예프역설 [Leontief Paradox]
6. 헤크셰르올린의 정리 (Heckscher-Ohlin Theorem)
7. 요소가격균등화(equalization of factor prices)
8. 스톨퍼-사무엘슨 정리
9. 립진스키 모형[ Rybczinski model ]
10. HOS 이론
본문내용
(헥셔-올린-새뮤얼슨) 이론은 스웨덴 경제학자 엘리 헥셔, 베르틸 올린과 미국 경제학자 폴 새뮤얼슨의 이름을 딴 것으로 헥셔와 올린은 20세기 초에 이 이론을 개척했고, 새뮤얼슨은 20세기 중반에 이 이론을 완성했다. 자유 무역 이론의 하나인 이 이론에 따르면, 상품 하나하나에는 어떤 나라든 해당 상품을 생산하려고 할 경우 사용되는 (가장 효율적인) 오직 하나의 '최적'의 기술이 있다. 그렇다면 어떤 나라의 비교 우위는 기술에 의해서 결정될 수가 없고, 리카도의 이론에서처럼 어던 상품의 생산에 사용되는 기술이 그 나라에 얼마나 적합한가에 의해서 결정된다. HOS 이론에서는 어떤 나라에 어떤 기술이 적합한가 아닌가는 그 기술이 그 나라에 상대적으로 풍부한 생산 요소 (자본과 노동)를 얼마나 집중적으로 사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HOS 이론은 데이비드 리카도의 이론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리카도의 이론과 결정적으로 다른 점이 있다. 리카도 학파의 이론에서처럼 나라마다 가진 기술이 다른 데서 비교 우위가 비롯하는 것이 아니라, 나라마다 가진 (자본과 노동 같은) '생산 요소'간의 비율이 다른 데서 비롯하는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리카도 학파의 이론이냐 HOS 이론이냐에 관계없이 모든 자유 무역 이론에서는 어떤 나라든 일부 생산물에 대해 비교 우위를 가진다. 즉 어떤 나라든 '상대적으로' 잘 생산할 수 있는 물건이 있다는 것인데, 이는 너무나 자명한 사실이다. HOS 이론에 다르면 어떤 나라든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는 생산 요소를 보다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생산물에 대해서 비교 우위를 가진다.
추천자료
한-미 FTA와 한국경제(자유무역협정)
한,칠레 자유무역협정의 문제점
(FTA) 한일자유무역협정에 대해서
바람직한 FTA (자유무역협정) 이란 무엇인가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에대해
[현실경제학]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하여
한국의 F.T.A(자유무역협정)-한중일FTA를 중심으로 - 중국 & 일본 입장의 FTA / 장애요인...
한-미 FTA와 한국경제(자유무역협정)
[경제원론] 한국-칠레 FTA 무역협정
한미 FTA (한미자유무역협정)의 상세분석과 대응전략및 대책연구
한·미 자유무역협정 (FTA)
우리나라(한국)의 자유무역협정 전망과 문제점
한미FTA와 자유무역협정 (FTA의 배경, 한국 농업의 국제경쟁력, 시장 개방과 농업 부문, 개방...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의 추진배경과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