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구려고분벽화
고분벽화의 개요
고분벽화의 분포와 구조
고분벽화의 시기구분
고분의 형태
고려의 상감청자
과거와 현재의 평가 Ⅰ
과거와 현재의 평가 Ⅱ
상감기법
해인사와 팔만대장경
해인사와 팔만대장경
해인사
장경판전 Ⅰ
장경판전 Ⅱ
건물의 특징 Ⅰ
팔만대장경 Ⅰ
팔만대장경 Ⅱ
경판의 제조과정
경판의 특징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Ⅰ
조선왕조실록 Ⅱ
조선왕조실록 Ⅲ
조선왕조실록 Ⅳ
실록의 유래
편찬과 관리
편찬의 단계
편찬의 자료
실록의 관리
사고
훈민정음 창제와 반포
훈민정음과 한글
훈민정음해례본
한글의 언어적 가치 Ⅰ
한글의 언어적 가치 Ⅱ
한국화의 세계
한국화의 이해
향교와 서원
언양향교Ⅱ
서원Ⅰ
서원Ⅱ
서원의 증가
서원의 기능
서원의 쇠퇴
고분벽화의 개요
고분벽화의 분포와 구조
고분벽화의 시기구분
고분의 형태
고려의 상감청자
과거와 현재의 평가 Ⅰ
과거와 현재의 평가 Ⅱ
상감기법
해인사와 팔만대장경
해인사와 팔만대장경
해인사
장경판전 Ⅰ
장경판전 Ⅱ
건물의 특징 Ⅰ
팔만대장경 Ⅰ
팔만대장경 Ⅱ
경판의 제조과정
경판의 특징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Ⅰ
조선왕조실록 Ⅱ
조선왕조실록 Ⅲ
조선왕조실록 Ⅳ
실록의 유래
편찬과 관리
편찬의 단계
편찬의 자료
실록의 관리
사고
훈민정음 창제와 반포
훈민정음과 한글
훈민정음해례본
한글의 언어적 가치 Ⅰ
한글의 언어적 가치 Ⅱ
한국화의 세계
한국화의 이해
향교와 서원
언양향교Ⅱ
서원Ⅰ
서원Ⅱ
서원의 증가
서원의 기능
서원의 쇠퇴
본문내용
심상(心象)을 표현하는 매개체요 상징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화폭에 존재들이 얼마나 실제와 닮았느냐를 따지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소재들을 통해서 화가가 그리고자 했던 마음의 묘처(妙處)가 어디에 있었던가를 이해하고 공감해 보는 일이다.
한국화의 이해
n문화재의 가치는 단지 오래 되고, 희귀하고, 값비싸다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다. 문화재의 참된 가치는 선조들의 정신과 생활철학 내지는 미의식을 대대로 전해 주는 전통 계승의 매개체 구실에 있다. 그래서 문화재의 배후 세계를 깊이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은 곧 문화유산의 가치를 올바로 향유하는 일이 된다. 특히 옛그림은 선조들의 정신세계와 생활철학이 보다 높은 밀도로 용해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향교와 서원
향교와 서원
n조선시대 지방교육기관 書院과 鄕校
n교육기관, 成均館書堂
n향교: 지방에 설치한 관립학교(1918년 조사, 전국 335곳)
n구조: 前廟後學(大成殿, 明倫堂)
n유지, 보수, 관리: 관학, 교생들의 숙식비, 향교의 제사, 鄕飮禮, 鄕射禮 등의 모든 비용 국가가 부담
n교수진: 敎授, 訓導
n생도: 양민, 17세(실제, 15-60세 다양), 군역 면제
언양향교Ⅱ
n향교의 생도(生徒)는 서울의 고등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成均館)에 입학하기 위해서 반드시 소과(小科)에 합격해야 했으므로, 향교 교육은 대부분 소과에 응시하기 위한 준비과정이었다.
n조선 중기 이후에는 향교가 과거 준비장으로 전락하고 사학(私學)기관인 서원(書院)이 발흥하면서 점차 쇠미해졌다.
n1894년(고종 31)에 과거제도의 폐지와 함께 춘추(春秋)로 문묘(文廟)를 향사(享祀)하고 있을 따름이다.
서원Ⅰ
n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 학문연구와 선현에 대한 제사를 목적으로 사림(士林)들이 건립. 사학(私學) 교육기관으로서 조선의 관학(官學)이었던 향교(鄕校)와 구별된다.
n書院의 명칭: 당나라 麗正殿書院, 集賢殿書院(도서관 기능)
n송대의 白鹿洞書院
n1543년 周世鵬이 安珦을 향사하기 위해 白雲洞書院 설립
n퇴계의 10여곳의 서원 설립에 관여
서원Ⅱ
서원의 증가
n선조대 士林 정권 장악, 서원의 수 폭발적으로 증가
n선조(60 개), 숙종(166) 영조17년 철폐 논의(1000)
n賜額書院: 국가가 서원의 현판(扁額)을 하사하여(賜額) 공인하고 후원하는 서원
n1550년 풍기군수, 이황 백운동서원->紹修書院(사액서원의 효시)
n사액서원 선조대(22곳) 숙종대(105곳)
서원의 기능
n교육기능 : 서원은 유생들이 모여 학문을 '강학'(講學)
n교육내용과 방법: 四書五經, 小學과 家禮
n제사기능 : 선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드리는 '제향'(祭享) 이러한 상덕(尙德)과 돈학(敦學)의 사명을 다 한다는 긍지와 이상으로서, 과거시험 준비보다는 성리학과 의리학을 중심으로 도학(道學)을 전수하던 고등교육기관이었다.
서원의 쇠퇴
n18세기부터 서원 내부의 모순과 폐단 발생
n서원의 濫設
n서원의 권력기구화
n대원군 집정, 고종 8년(1871년) 47개소 남기고 모두 훼철
한국화의 이해
n문화재의 가치는 단지 오래 되고, 희귀하고, 값비싸다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다. 문화재의 참된 가치는 선조들의 정신과 생활철학 내지는 미의식을 대대로 전해 주는 전통 계승의 매개체 구실에 있다. 그래서 문화재의 배후 세계를 깊이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은 곧 문화유산의 가치를 올바로 향유하는 일이 된다. 특히 옛그림은 선조들의 정신세계와 생활철학이 보다 높은 밀도로 용해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향교와 서원
향교와 서원
n조선시대 지방교육기관 書院과 鄕校
n교육기관, 成均館書堂
n향교: 지방에 설치한 관립학교(1918년 조사, 전국 335곳)
n구조: 前廟後學(大成殿, 明倫堂)
n유지, 보수, 관리: 관학, 교생들의 숙식비, 향교의 제사, 鄕飮禮, 鄕射禮 등의 모든 비용 국가가 부담
n교수진: 敎授, 訓導
n생도: 양민, 17세(실제, 15-60세 다양), 군역 면제
언양향교Ⅱ
n향교의 생도(生徒)는 서울의 고등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成均館)에 입학하기 위해서 반드시 소과(小科)에 합격해야 했으므로, 향교 교육은 대부분 소과에 응시하기 위한 준비과정이었다.
n조선 중기 이후에는 향교가 과거 준비장으로 전락하고 사학(私學)기관인 서원(書院)이 발흥하면서 점차 쇠미해졌다.
n1894년(고종 31)에 과거제도의 폐지와 함께 춘추(春秋)로 문묘(文廟)를 향사(享祀)하고 있을 따름이다.
서원Ⅰ
n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 학문연구와 선현에 대한 제사를 목적으로 사림(士林)들이 건립. 사학(私學) 교육기관으로서 조선의 관학(官學)이었던 향교(鄕校)와 구별된다.
n書院의 명칭: 당나라 麗正殿書院, 集賢殿書院(도서관 기능)
n송대의 白鹿洞書院
n1543년 周世鵬이 安珦을 향사하기 위해 白雲洞書院 설립
n퇴계의 10여곳의 서원 설립에 관여
서원Ⅱ
서원의 증가
n선조대 士林 정권 장악, 서원의 수 폭발적으로 증가
n선조(60 개), 숙종(166) 영조17년 철폐 논의(1000)
n賜額書院: 국가가 서원의 현판(扁額)을 하사하여(賜額) 공인하고 후원하는 서원
n1550년 풍기군수, 이황 백운동서원->紹修書院(사액서원의 효시)
n사액서원 선조대(22곳) 숙종대(105곳)
서원의 기능
n교육기능 : 서원은 유생들이 모여 학문을 '강학'(講學)
n교육내용과 방법: 四書五經, 小學과 家禮
n제사기능 : 선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드리는 '제향'(祭享) 이러한 상덕(尙德)과 돈학(敦學)의 사명을 다 한다는 긍지와 이상으로서, 과거시험 준비보다는 성리학과 의리학을 중심으로 도학(道學)을 전수하던 고등교육기관이었다.
서원의 쇠퇴
n18세기부터 서원 내부의 모순과 폐단 발생
n서원의 濫設
n서원의 권력기구화
n대원군 집정, 고종 8년(1871년) 47개소 남기고 모두 훼철
키워드
추천자료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읽고
고전 문화유산으로서의 판소리에 대한 북한의 인식태도에 대해 분석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
금강산의 문화유산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을 읽고...
나의 한국문화의 대표적인 자산들
일본 세계 문화유산에 대해
2011 전주아시아태평양 무형문화유산축제 보고서 조사분석
생활영어- 한국문화 영어로소개하기 3분스피치
[한국문화사] 의복의 역사 (개항 뒤 옷의 역사) - 의복, 옷, 개화기, 일제 강점기, 해방이후,...
[한국문화사] 조선시대의 의복 - 옷, 의복, 조선시대의 복식의 특징(복식금제), 남자의 의복,...
2014년 2학기 한국복식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한국복식문화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상대시대,통일신라,조선시대 두식과관모)
2016년 2학기 한국복식문화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