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 실험 결과
6. 결과 분석
7. 토의 및 건의 사항
8. 참고 문헌
6. 결과 분석
7. 토의 및 건의 사항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800Hz 일 때보다 1000Hz d일때에 파장의 길이가 더 크게 나오게 되는데, 이는 같은 실험 조건에서는 음속의 속도가 같게 나와야 한다는 전제 하에 공식을 이용하면 올바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 이번 실험에서는 오차가 크게 났음을 볼 수 있는데, 오차의 원인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언급하지 않겠다.
7.토의 및 건의 사항
오차의 원인
① 정확하게 위치를 찾을 수 있는 기계를 사용한 것이 아니라 오로지 사람의 청각과 그래프의 변화 양상 만을 통해서 위치를 찾고 추정해야 했으므로 청각으로만 완벽하게 소리가 큰 점을 찾아내기란 불가능 하였고, 보조적으로 그래프를 보고 했다고 해도 그래프의 변화가 매우 빠르고 복잡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었다.
② 좁은 한 실험실에서 여러 조가 한꺼번에 같은 실험을 하였기 때문에 소리가 난다고 하여도 이 소리가 우리 실험에서 나는 것인지 다른 조에서 나는 것인지 구분하여 듣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③ 진공상태에서 한 실험이 아니기 때문에 공기와의 마찰과 같은 요인도 하나의 오차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8.참고 문헌
일반 물리학
7.토의 및 건의 사항
오차의 원인
① 정확하게 위치를 찾을 수 있는 기계를 사용한 것이 아니라 오로지 사람의 청각과 그래프의 변화 양상 만을 통해서 위치를 찾고 추정해야 했으므로 청각으로만 완벽하게 소리가 큰 점을 찾아내기란 불가능 하였고, 보조적으로 그래프를 보고 했다고 해도 그래프의 변화가 매우 빠르고 복잡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었다.
② 좁은 한 실험실에서 여러 조가 한꺼번에 같은 실험을 하였기 때문에 소리가 난다고 하여도 이 소리가 우리 실험에서 나는 것인지 다른 조에서 나는 것인지 구분하여 듣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③ 진공상태에서 한 실험이 아니기 때문에 공기와의 마찰과 같은 요인도 하나의 오차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8.참고 문헌
일반 물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