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학과 정약용에 대한 간략한 설명
2. 주자학과의 비교
3. 실학의 현대적 의의와 실천방향
2. 주자학과의 비교
3. 실학의 현대적 의의와 실천방향
본문내용
로서 융화하여 새로운 현대정신으로 정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현대사회에서 동서양의 문화가 대립하지 않고 서로 융화할 수 있는 근본적인 접근점을 찾는다면, 그것은 만물을 초월하는 존재로서의 서구의 유일신을 어떻게 하면 인간 본성 실체로서 존재하는 동양의 상제와 대화할 수 있을까에 하는 것을 찾는다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실학사상의 발생이 당시의 주자학적 가치관에 대한 회의로부터 참된 유학정신을 갈구하며 등장했다는 점에서 볼 때, 오늘날 서구문화가 지배하고 있는 현대사회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새로운 현대문화의 모델을 정립하려는 노력은 실학사상이 현대사회의 새로운 정신적 가치로 재생하기 위함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양론에서 봤던 서(恕)는 특히나 정보 통신과 과학의 발달로 인해 나날이 개인적이고 이기적으로 변해가는 우리 사회에 역지사지의 태도를 심어주고 인간 존중의 문화 확립을 가능하게 해주는 항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한형조,『주희에서 정약용으로 : 조선유학의 철학적 패러다임 연구』, 세계사, 1996.
우승미,『(실학의 꽃)정약용』, 이룸, 2007.
금장태,『(다산) 정약용 : 유학과 서학의 창조적 종합자 』, 살림, 2005.
*참고문헌
한형조,『주희에서 정약용으로 : 조선유학의 철학적 패러다임 연구』, 세계사, 1996.
우승미,『(실학의 꽃)정약용』, 이룸, 2007.
금장태,『(다산) 정약용 : 유학과 서학의 창조적 종합자 』, 살림,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