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리학의 정의 및 개관
2. 이퇴계와 이율곡의 사상 비교
가. 이기론 비교
나. 사단 칠정론 비교
다. 심성론 비교
3. 성리학의 의의와 나의 생각
2. 이퇴계와 이율곡의 사상 비교
가. 이기론 비교
나. 사단 칠정론 비교
다. 심성론 비교
3. 성리학의 의의와 나의 생각
본문내용
력의 기반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최근 그 우월성이 조명받고 있는 이 두 사상가들의 사상이 주체성을 갖고 존속되기 위해서는 좀 더 쉽고 편하게 이들 사상에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고등학교 때 윤리를 접하던 마음으로 수강신청을 했지만, 수업에 들어와서 하나하나를 배울 때마다 사상의 방대함과 무한함에 항상 작아지고 위축됨을 느끼는 나에게 이번 과제 또한 한국 철학이란 무엇이며, 무엇이 되어야 하는 가에 대한 생각까지 하게 하는 의미있는 시간이였다.
<각주>
1) 김윤경,『청소년을 위한 한국철학사』, 두리미디어, 2007. p. 126
2) 한국인물유학사편찬위원회,『한국인물유학사』, 한길사, 1996. p. 573.
3) 예문동양사상연구원,『(한국의 사상가 10人)퇴계 이황』, 예문서원, 2002. p. 128.
4) 한국인물유학사편찬위원회,『한국인물유학사』, 한길사, 1996. p. 579.
<참고문헌>
1) 한국철학사상연구회,『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예문서원, 1995.
2) 한국사상사연구회,『조선 유학의 학파들』, 예문서원, 1996.
3) 안종수,『한국철학사상의 이해』, 소강, 2003.
4) 김낙진.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심성론 비교.” 「율곡사상연구」,제12집
5) 이이,『성학집요』, 청어람미디어, 2007.
6) 서울 대학교 사범 대학 국정 도서 편찬 위원회,『윤리와 사상』, 교육인적자원부, 2003.
<인터넷자료>
1) 성리학 - http://ko.wikipedia.org/wiki/%EC%84%B1%EB%A6%AC%ED%95%99
<각주>
1) 김윤경,『청소년을 위한 한국철학사』, 두리미디어, 2007. p. 126
2) 한국인물유학사편찬위원회,『한국인물유학사』, 한길사, 1996. p. 573.
3) 예문동양사상연구원,『(한국의 사상가 10人)퇴계 이황』, 예문서원, 2002. p. 128.
4) 한국인물유학사편찬위원회,『한국인물유학사』, 한길사, 1996. p. 579.
<참고문헌>
1) 한국철학사상연구회,『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예문서원, 1995.
2) 한국사상사연구회,『조선 유학의 학파들』, 예문서원, 1996.
3) 안종수,『한국철학사상의 이해』, 소강, 2003.
4) 김낙진.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심성론 비교.” 「율곡사상연구」,제12집
5) 이이,『성학집요』, 청어람미디어, 2007.
6) 서울 대학교 사범 대학 국정 도서 편찬 위원회,『윤리와 사상』, 교육인적자원부, 2003.
<인터넷자료>
1) 성리학 - http://ko.wikipedia.org/wiki/%EC%84%B1%EB%A6%AC%ED%95%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