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청동기&하나라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왕조인 하대에는 이미 존재하였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ⅱ 역법
夏의 농업생산이 증가함에 따라서 계절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천문 역법에 관한 지식이 끊임없이 발전 하였다. 즉 요 때에 해와 달 별과 시간의 운행을 관찰하고 역법을 정하였으며 춘하추동을 구별하여 목축과 농업에 적용하였다. 신승하 《중국사(상)》(서울 대한교과서 2005)p.77
이 내용이 적힌<夏小正>라는 문헌이 있다. 오늘날도 農曆을 夏曆이라고 부르는데 이 것은 바로 중국 최초의 역법이며 夏人이 장기간의 농업생산 과정중에 획득한 지식이었다. 농업 생산은 계절과 기후의 변화와 밀접하였으며 하대의 역법은 비교적 정확하게 기후의 변화를 반영하였다. 사료에 등장하는 夏得天數 라는 기록으로 당시 역법의 수준을 짐작 할 수 있었다.
夏曆은 일, 월, 년의 개념이 있었고 1년을 12개월로 나누었다. 正朔은 동지 이후 2개월째 맞는 초봄의 처음 하루를 1년의 시작으로 삼았다. 동시에 60甲子(干支)로 날을 기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일식과 流星에 대한 관측도 시행하였다. 또 12개월의 차례에 따라서 매 달의 별자리와 기상 및 마땅히 해야 할 농사와 정치에 대해서도 기록하기 시작하였다. 김영환 전인서 p.68
7. 夏의 위기와 멸망
1)夏의 위기
夏 왕조 건립 초기에는 황음무도한 군주의 연속 출현으로 인하여 국정이 어지러웠고 또 4~50년에 걸친 이족과 이하 투쟁으로 국력이 쇠잔하였다. 하 왕조는 우에서 계(啓), 태강(太康), 중강(仲康), 상(相)에 이르는 90여 년 동안 여러 번 국가의 명맥이 끊어질 정도로 위태로운 상황에 처해있다. 김영환《중국 역사와 문화》(서울 아이반호 2006) p.69
夏의 위기는 주로 내부적 원인과 외부적 원인의 복합적인 결합에 의한 경우가 많았다. 이것을 시기별로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고 한다. 계가 즉위한 뒤 有扈氏가 이를 불복하자 감에서 전투를 하여 有扈氏를 정벌하고 有扈氏를 모두 노예로 만들었다. 그후 계가 사망하고 아들인 太康이 즉위를 하였으나 정치를 돌보지 않아 동이계의 후예(后)에게 쫓겨났다. 그러나 후예도 그의 신하인 한착(寒)에게 실권을 빼앗겼다. 신승하 《중국사(상)》(서울 대한교과서 2005) p.76
한편 太康이 왕위에서 쫓겨나 죽게 되자 그 자리를 동생인 仲康에게 넘겨주었는데 중강도 정치를 돌보지 않았다. 중강이 사망하자 중강의 아들 相은 즉위에 올라 같은 성씨인 斟尋氏와 斟灌氏에게 의탁하였다. 그러나 모두 한착의 공격을 받아 죽었다. 다행히 임신 중이었던 상의 부인이 간신히 도망하여 친정인 有仍씨에게 돌아가 소강(小康)을 낳게 되었다. 그리고 소강이 순의 후예인 有虞씨에게 의탁함으로써 결국 한착을 쫓아 내고 하 왕조를 회복하고 국력을 회복했었다. 신승하 동인서 p.76
2)夏의 멸망
하 왕조는 11세기 공갑(孔甲)에 이르러 군주의 폭정과 무능으로 하 왕조는 다시 쇠퇴기에 접어 들었다. 그리고 점차 쇠퇴하기 시작하여 마지막 왕인 걸(桀)에 이르러 더욱 극심해졌다. 특히 걸은 주지육림을 만들고 충신을 살해했다. 또한 역사상 손꼽히는 폭군으로 유명한데 동쪽의 여러부족을 무력으로 위협하고 백성들에게도 잔학하게 굴어 대내외적으로 불만을 초래하였다. 이 때 동쪽의 상족이 일어나 하 왕조를 공격함으로써 중국 역사상의 최초 왕조인 하는 14대 17왕 400여년 만에 멸망하였다. 신승하 동인서 p.76
*결론
하 왕조는 역사서에 그 존재만이 언급되어 있을 뿐 구체적인 실체가 드러나지 않았다. 흔히 전설속의 왕조 라고 한다. 사기의 기록에 따르자면 하나라는 17명의 왕을 거쳐 472년간 존속했다고 한다. 하왕조의 왕들은 이름만 전할 뿐 자세한 기록은 없다. 5대와 6대 즉 상과 소강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후예의 전설과 혼합하여 나온 것이다. 고숙희 《고대중국의 문명과 역사》(서울 신성출판사 2006) p.63
그리고 중국 최초의 노예제국가이자 원시씨족사회의 해체와 더불어 사유제의 도입 및 왕위 세습제가 있다는 것만 어림잡아 알고 자세히는 베일에 가려져 있다. 김소중 《중국을 정복하자》(서울 백산서당 2003) p.69
그래서 하 왕조에 대해 더 확실히 알아보기 위해 하의 기원, 하의 흥기와 건국, 하의 정치와 경제, 하의 사회와 문화 그리고 하 왕조의 위기와 멸망에 대해서 나누어 조사를 해 보았다.
그래서 알게 된 하 왕조는 모든 면에서 최초였다. 노예제국가의 시초가 되었으며 청동기를 최초로 사용을 하여 생활을 하였고 자기 핏줄한테 이어지는 왕위 세습제가 바로 그 증거이고 노예가 나타남에 따라 사유제가 있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이처럼 하왕조는 여러 가지에 많은 변화를 보여주었다. 아직도 하 왕조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는 알 수는 없지만 확실한 것은 하 왕조는 중국에서 가장 먼저 나타난 왕조이면서 중국의 시초라 할 수 있다.
<도표1.夏왕조의 지도>
출처:
http://cafe.naver.com/romankillers.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807
*참고문헌
페트리샤 버클리 에브리 지음,이동진윤미경 옮김《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시 중국사》(서울 ㈜시공사 2007)
위안싱에피,장연옮김.《중국문명대시야 1》(서울 김영사 2007)
리쉐친,심재훈 옮김,《중국 청동기의 신비》서울 학고재 2005
김영환 《중국 역사와 문화》서울 아이반호 2006
신승하 《중국사(상)》서울 대한교과서 2005
이근명 《중국역사 상권》서울 서신원 1997
심규호 《연표와 사진으로 보는 중국사》서울 일빛출판사 2002
고숙희 《고대중국의 문명과 역사》서울 신성출판사 2006
김소중 《중국을 정복하자》서울 백산서당 2003
중국사학회엮음/강영매옮김《중국역사박물관》서울 범우사 2004
중국사연구회《중국통사》서울 청년사 1995
김원중옮김/사마천 지음《사기본기》서울 을유문화사 2005
김원중 《중국문화사》서울 을유문호사 2003
*사진 출처
도표1.출처
http://cafe.naver.com/romankillers.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807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4.13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86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