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섣달그믐날][섣달그믐][제석][세시풍속][명절]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의미, 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역사, 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음식, 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지역별 풍습 심층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섣달그믐날][섣달그믐][제석][세시풍속][명절]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의미, 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역사, 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음식, 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지역별 풍습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의미

Ⅲ. 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역사

Ⅳ. 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음식

Ⅴ. 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지역별 풍습

참고문헌

본문내용

또 갚으라고 독촉을 안 하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다.
제석날 밤에는 민간에서 다락마루방부엌에 모두 등잔을 켜 놓으며, 흰 사기접시 하나에 실을 여러 겹 꼬아 심지를 만들고 기름을 부어 외양간변소까지도 마치 대낮같이 환하게 불을 켜 놓는다. 그리고 밤새도록 자지 않으니 이를 수세라 한다. 이것은 도교에서 12월 경신일에 자지 않고 밤을 지켜야 복을 받는다는 소위 경신수세의 유속이라 한다. 그래서 제석에는 윷놀이옛날이야기얘기 책 읽기 등 흥미있는 놀이로 밤을 새우는데, 전라도에서는 세투라고 하여 투전이나 화투를 치며 밤을 새운다. 그리고 아이들에게「제야에 잠을 자면 두 눈썹이 모두 센다」고 하면 아이들은 대개 속아서 잠을 자지 않는다. 간혹 자는 아이가 있으면 다른 아이가 분이나 쌀가루를 개어 자는 아이의 눈썹에 바르고 깨워서 거울을 보게 하면서 놀린다.
참고문헌
○ 국립민속박물관(1997), 한국의 세시풍속, 서울 : 국립민속박물관
○ 이광렬(2005), 우리나라 세시풍속, 청연
○ 임동권(1985), 한국세시풍속연구, 서울 : 집문당
○ 장주근(1984), 한국의 세시풍속, 대구 : 형설출판사
○ 조후종(2002), 세시풍속과 우리 음식, 한림출판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0.04.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92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