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우리나라 절기(한국 절기, 24절기)의 의의
Ⅱ. 우리나라 절기(한국 절기, 24절기)의 분류
Ⅲ. 우리나라 절기(한국 절기, 24절기)와 계절
1. 봄-입춘
2. 여름-입하
3. 가을-입추
4. 겨울-입동
Ⅳ. 우리나라 절기(한국 절기, 24절기)와 음식
1. 설날절식
2. 상원절식
3. 입춘절식
4. 중삼절식
5. 등석절식
6. 단오절식
7. 유두절식
8. 삼복절식
9. 추석절식
10. 중구절식
11. 상달절식
12. 동지절식
13. 납향절식
14. 시식
참고문헌
Ⅱ. 우리나라 절기(한국 절기, 24절기)의 분류
Ⅲ. 우리나라 절기(한국 절기, 24절기)와 계절
1. 봄-입춘
2. 여름-입하
3. 가을-입추
4. 겨울-입동
Ⅳ. 우리나라 절기(한국 절기, 24절기)와 음식
1. 설날절식
2. 상원절식
3. 입춘절식
4. 중삼절식
5. 등석절식
6. 단오절식
7. 유두절식
8. 삼복절식
9. 추석절식
10. 중구절식
11. 상달절식
12. 동지절식
13. 납향절식
14. 시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새봄의 미각을 돋구었다. 오신반은 재료가 극히 제한된 것이었으니 일부상류층의 절식이었다.
4. 중삼절식
3월3일 삼짇날이라 하는데 강남갔던 제비가 돌아와 봄을 알린다. 유생들은 화류를 즐겼으며 그 고적이 경주 포석정에 남아 있다. 대표적인 절식으로는 진달래화전, 오미자즙으로 만든 화면과 수면, 청면 등이 있다.
5. 등석절식
사월 초파일 석가탄신일날 소밥이라 하여 느티나무 열매로 만든 시루덕의 일종인 느티떡과 볶은콩, 미나리 강회 등이 있다.
6. 단오절식
조선시대 4대 명절의 하나로써 우리말로 수릿날이라고도 한다. 단오의 가장 널리 알려진 절식으로는 수리취절편이라 할 수 있다. 수리취떡은 쌀가루에 숙을 넣어서 차륜의 모양으로 만들어 낸 것이다. 또 하나의 절식으로 제호탕을 들 수 있다. 오매, 백단, 사향, 초과 등을 달여 꿀을 섞은 차가운 차로 진사였다.
7. 유두절식
음력 6월 보름에 동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재앙을 푼 다음 음식을 차려서 물가에서 술자리를 만들어 유두연을 베풀었는데 이대 수단을 만들었다. 유두절식에는 수단, 편수, 연병, 밀쌈 등이 대표적이다.
8. 삼복절식
여름철 중 가장 더운 초복, 중복, 말복을 가리켜 삼복이라 한다. 이때 몸을 보신하기 위한 음식을 즐겼다. 삼복절식의 대표적인 것은 개장국, 삼계탕이며, 도 팥죽과 증편 등이 있다.
9. 추석절식
8월 15일은 추석 또는 한가위라하여 햇곡식, 햇과일이 풍성하여 명절 중 가장 풍성한 마음으로 맞이하는 날이다. 추석에는 조상님께 천신하는 마음으로 차례를 모시며 대표적인 절식에는 솔잎향기가 나는 송편과 이 철에 많이 나는 토란으로 토란탕을 끓여 솔잎향기가 나는 송편과 이 철에 많이 나는 토란으로 토란탕을 끓여 먹었으며 그 외 느름적이나 닭찜이 있다.
10. 중구절식
음역 9월 9일 삼짇날에 온 제비가 강남으로 떠나는 날이다. 중구절식에는 국화전, 국화주, 국화화채이며 농가에서는 추수가 한창이다.
11. 상달절식
10월 상달은 집안의 풍요함을 비는 뜻에서 고사를 지내는 풍습이다. 햇곡식으로 술을 빚고 시루떡을 만들어 성주신을 맞이하여 빌었다.
12. 동지절식
동지에는 팥죽을 쑨다. 팥죽에는 찹살가루로 둥글게 빚은 새알심을 나이대로 넣어 떠주었고 귀신을 쫓는다하여 장독대와 대문에 뿌리기도 했다.
13. 납향절식
천지만물의 덕에 감사하기 위하여 산짐승을 사냥하여 제물을 드리는 날로써 제사에는 산돼지, 산토끼를 사용하였다.
14. 시식
우리나라는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철바뀜이 명확하여 예로부터 민족의 식생활에서 일련의 계절적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그것은 무든 음식들이 제철에 나는 것으로 만들어야 가장 맛이 좋고 영양가도 높으며 입맛을 당기게 하고 건강에도 이롭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강무학(1990) - 한국세시풍속기, 서울 : 집문당
김연옥 - 한국의 기후와 문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임동권 - 한국세시풍속연구, 집문당
최운식 외(2002) - 한국 민속학 개론, 민속원
황혜성·한복려·한복진(2000) -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4. 중삼절식
3월3일 삼짇날이라 하는데 강남갔던 제비가 돌아와 봄을 알린다. 유생들은 화류를 즐겼으며 그 고적이 경주 포석정에 남아 있다. 대표적인 절식으로는 진달래화전, 오미자즙으로 만든 화면과 수면, 청면 등이 있다.
5. 등석절식
사월 초파일 석가탄신일날 소밥이라 하여 느티나무 열매로 만든 시루덕의 일종인 느티떡과 볶은콩, 미나리 강회 등이 있다.
6. 단오절식
조선시대 4대 명절의 하나로써 우리말로 수릿날이라고도 한다. 단오의 가장 널리 알려진 절식으로는 수리취절편이라 할 수 있다. 수리취떡은 쌀가루에 숙을 넣어서 차륜의 모양으로 만들어 낸 것이다. 또 하나의 절식으로 제호탕을 들 수 있다. 오매, 백단, 사향, 초과 등을 달여 꿀을 섞은 차가운 차로 진사였다.
7. 유두절식
음력 6월 보름에 동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재앙을 푼 다음 음식을 차려서 물가에서 술자리를 만들어 유두연을 베풀었는데 이대 수단을 만들었다. 유두절식에는 수단, 편수, 연병, 밀쌈 등이 대표적이다.
8. 삼복절식
여름철 중 가장 더운 초복, 중복, 말복을 가리켜 삼복이라 한다. 이때 몸을 보신하기 위한 음식을 즐겼다. 삼복절식의 대표적인 것은 개장국, 삼계탕이며, 도 팥죽과 증편 등이 있다.
9. 추석절식
8월 15일은 추석 또는 한가위라하여 햇곡식, 햇과일이 풍성하여 명절 중 가장 풍성한 마음으로 맞이하는 날이다. 추석에는 조상님께 천신하는 마음으로 차례를 모시며 대표적인 절식에는 솔잎향기가 나는 송편과 이 철에 많이 나는 토란으로 토란탕을 끓여 솔잎향기가 나는 송편과 이 철에 많이 나는 토란으로 토란탕을 끓여 먹었으며 그 외 느름적이나 닭찜이 있다.
10. 중구절식
음역 9월 9일 삼짇날에 온 제비가 강남으로 떠나는 날이다. 중구절식에는 국화전, 국화주, 국화화채이며 농가에서는 추수가 한창이다.
11. 상달절식
10월 상달은 집안의 풍요함을 비는 뜻에서 고사를 지내는 풍습이다. 햇곡식으로 술을 빚고 시루떡을 만들어 성주신을 맞이하여 빌었다.
12. 동지절식
동지에는 팥죽을 쑨다. 팥죽에는 찹살가루로 둥글게 빚은 새알심을 나이대로 넣어 떠주었고 귀신을 쫓는다하여 장독대와 대문에 뿌리기도 했다.
13. 납향절식
천지만물의 덕에 감사하기 위하여 산짐승을 사냥하여 제물을 드리는 날로써 제사에는 산돼지, 산토끼를 사용하였다.
14. 시식
우리나라는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철바뀜이 명확하여 예로부터 민족의 식생활에서 일련의 계절적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그것은 무든 음식들이 제철에 나는 것으로 만들어야 가장 맛이 좋고 영양가도 높으며 입맛을 당기게 하고 건강에도 이롭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강무학(1990) - 한국세시풍속기, 서울 : 집문당
김연옥 - 한국의 기후와 문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임동권 - 한국세시풍속연구, 집문당
최운식 외(2002) - 한국 민속학 개론, 민속원
황혜성·한복려·한복진(2000) -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