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모의중간고사
2.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모양을 본뜸.
① 水② 甲
③ 血④ 巳
⑤ 目
39. 다음 중 한자어의 독음이 바른 것은?
① 感泣(감립)② 除夕(재석)
③ 霜降(상강)④ 除蟲(해충)
⑤ 端午(단우)
40.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바르게 옮긴 것은?
① 잃어버린 돈을 찾아 주면 사례함 : 史禮
② 시조란 고려 말에 유행한 정형시 : 詩調
③ 천간이란 60갑자의 윗 단위 : 千干
④ 지지란 60갑자의 아랫 단위 : 至支
⑤ 향가란 우리 고유의 시가 : 鄕歌
41. 다음 글의 내용과 관계 있는 것은?
1443년 세종대왕이 집현전의 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만든 우리 글자.
① 訓民正音② 三國遺事
③ 三國史記④ 王朝實錄
⑤ 時節歌調
42. 다음 중 여름 절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立夏② 穀雨
③ 芒種④ 小暑
⑤ 夏至
43. 다음 중 절기의 해당 날짜(양력)가 잘못된 것은?
① 雨水 : 3월 21일경② 淸明 : 4월 5일경
③ 白露 : 9월 8일경④ 寒露 : 10월 8일경
⑤ 小雪 : 11월 22일경
44. 60갑자의 12번 째에 해당하는 것은?
① 庚午② 辛未
③ 壬申④ 乙亥
⑤ 甲戌
45. ‘四面楚歌’의 뜻으로 바른 것은?
① 고향을 그리워함.
② 실력이 서로 비슷함.
③ 고립되어 도움을 받을 수 없음.
④ 떨어질 수 없는 친밀한 사이.
⑤ 반드시 은혜를 갚음.
46.‘結草報恩’의 풀이 순서로 바른 것은?
① ㉠㉡㉢㉣② ㉠㉢㉡㉣
③ ㉡㉢㉠㉣④ ㉡㉠㉣㉢
⑤ ㉢㉣㉠㉡
47. ‘無說己之長’에서, 가장 늦게 풀이되는 한자는?
① 無② 說
③ 己④ 之
⑤ 長
48. 다음 문장의 □안에 들어갈 접속사는?
見小利 □大事不成.
① 之② 而
③ 以④ 則
⑤ 於
49. ‘道吾過者 是吾師’에서 ‘道’의 풀이는?
① 길② 도리
③ 말하다④ 이치
⑤ 알다
50. 다음 중 ‘자식의 어버이에 대한 그리움’이 담겨 있는 성어는?
① 望雲之情② 花朝月夕
③ 內憂外患④ 喜怒哀樂
⑤ 生老病死
51. 다음 한자어의 풀이 순서로 옳은 것은?
春 耕 秋 收
1 2 3 4
① 1-2-3-4② 2-1-3-4
③ 2-1-4-3④ 3-2-1-4
⑤ 4-3-2-1
52. 다음 중 한자의 짜임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① 喜怒哀樂② 生老病死
③ 紙筆硯墨④ 春夏秋冬
⑤ 三國史記
53.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바르게 옮긴 것은?
우리 나라를 포함한 동양에서의 산수화는 자연의 표현인 동시에 인간이 자연에 대해 지니고 있는 자연관의 반영이다. 우리 나라의 산수화는 구도나 공간 개념, 묘사법 등에서 중국의 화풍을 섭취하고, 이를 토대로 독자적인 화풍을 이룩하였다.
① 山水② 山水書
③ 山水劃④ 山水晝
⑤ 山水圖
54. 다음 중 ‘~일 뿐이다’로 풀이되는 한자는?
① 非② 勿
③ 爲④ 由
⑤ 耳
55. 다음 중 두 가지 이상의 음으로 읽히는 한자는?
① 危② 更
③ 飛④ 誤
⑤ 願
56. 다음 중 ‘之’가 대명사로 쓰인 것은?
① 交友之道② 五倫之首
③ 我亦善之④ 無言之師
⑤ 知己之友
57. 다음 문장의 □안에 들어갈 한자가 차례대로 바른 것은?
父母在 出必□ 反必□.
① 言, 見② 見, 言
③ 告, 面④ 面, 告
⑤ 待, 養
58. 문장의 끝에 놓여 ‘~이다’로 풀이되는 한자는?
① 乎② 也
③ 而④ 干
⑤ 曰
59. 다음의 내용과 관계 깊은 절기는?
지리한 장마가 끝나자,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었다.
① 立春② 立夏
③ 大暑④ 處暑
⑤ 霜降
60. 다음 중 고려 말부터 발달하여 온 우리 고유의 정형시의 명칭으로 바른 것은?
① 鄕歌② 時調
③ 歌曲④ 漢詩
⑤ 音樂
61. 다음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넷을 포함하는 뜻을 가진 것은?
① 節氣② 雨水
③ 淸明④ 立秋
⑤ 小雪
62. 다음 중 봄철에 드는 절기는?
① 穀雨② 立夏
③ 大暑④ 白露
⑤ 小寒
63. 명절에 대한 우리말 이름이 바르지 못한 것은?
① 元旦-설날② 上元-대보름
③ 端午-수릿날④ 秋夕-한가위
⑤ 冬至-섣달 그믐
64. 다음 중 명절의 이름이 아닌 것은?
① 旦夕② 元旦
③ 七夕④ 秋夕
⑤ 除夕
65. 성어의 짜임이 ‘加減乘除’와 같은 것은?
① 仁義禮智② 貧富貴賤
③ 春夏秋冬④ 身言書判
⑤ 生老病死
66. 다음 ( )안에 들어갈 성어로 알맞은 것은?
김정호는 ( ) 끝에 대동여지도를 완성하였다.
① 千辛萬苦② 自初至終
③ 千篇一律④ 說往說來
⑤ 九死一生
67. ‘風前燈火’와 비슷한 뜻을 가진 성어는?
① 累卵之危② 頂門一鍼
③ 寸鐵殺人④ 雪上加霜
⑤ 燈下不明
68. 밑줄 친 부분의 속뜻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水魚之交
① 은밀한② 친밀한
③ 특별한④ 솔직한
⑤ 유일한
69. ‘望雲之情’에서 연상되는 대상은?
① 父母② 妻子
③ 君主④ 愛人
⑤ 朋友
70. ‘기미년’의 한자 표기가 바른 것은?
① 己未年② 已未年
③ 巳未年④ 乙未年
⑤ 壬末年
71. 다음 중 낮 12시와 밤 12시를 나타내는 말을 차례대로 바르게 쓴 것은?
① 正午, 正子② 正子, 正午
③ 午正, 正子④ 子正, 午正
⑤ 正午, 子正
72. 다음 중 ‘文房四友’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紙② 書
③ 筆④ 硯
⑤ 墨
73. ‘一體’라는 말의 앞에 어울리는 성어는?
① 眞善美② 松竹梅
③ 君師父④ 信望愛
⑤ 衣食住
74. ‘喜怒哀樂’의 독음으로 바른 것은?
① 희노애락② 희로애락
③ 희노애악④ 희로애악
⑤ 희노애요
모의중간고사
1. ①35. ④ 69. ①
2. ⑤ 36. ① 70. ①
3. ② 37. ⑤ 71. ⑤
4. ② 38. ③ 72. ②
5. ① 39. ③ 73. ③
6. ④ 40. ⑤ 74. ②
7. ③ 41. ①
8. ③ 42. ②
9. ④ 43. ①
10. ① 44. ④
11. ② 45. ③
12. ① 46. ④
13. ③ 47. ①
14. ④ 48. ④
15. ⑤ 49. ③
16. 仁 50. ①
17. ② 51. ①
18. (마), 孝 52. ⑤
19. ① 53. ①
20. ① 54. ⑤
21. ① 55. ②
22. ③ 56. ③
23. ⑤ 57. ③
24. ② 58. ②
25. ③ 59. ③
26. ④ 60. ②
27. ① 61. ①
28. ⑤ 62. ①
29. ① 63. ⑤
30. ② 64. ①
31. ④ 65. ②
32. ② 66. ①
33. ③ 67. ①
34. ⑤ 68. ②
① 水② 甲
③ 血④ 巳
⑤ 目
39. 다음 중 한자어의 독음이 바른 것은?
① 感泣(감립)② 除夕(재석)
③ 霜降(상강)④ 除蟲(해충)
⑤ 端午(단우)
40.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바르게 옮긴 것은?
① 잃어버린 돈을 찾아 주면 사례함 : 史禮
② 시조란 고려 말에 유행한 정형시 : 詩調
③ 천간이란 60갑자의 윗 단위 : 千干
④ 지지란 60갑자의 아랫 단위 : 至支
⑤ 향가란 우리 고유의 시가 : 鄕歌
41. 다음 글의 내용과 관계 있는 것은?
1443년 세종대왕이 집현전의 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만든 우리 글자.
① 訓民正音② 三國遺事
③ 三國史記④ 王朝實錄
⑤ 時節歌調
42. 다음 중 여름 절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立夏② 穀雨
③ 芒種④ 小暑
⑤ 夏至
43. 다음 중 절기의 해당 날짜(양력)가 잘못된 것은?
① 雨水 : 3월 21일경② 淸明 : 4월 5일경
③ 白露 : 9월 8일경④ 寒露 : 10월 8일경
⑤ 小雪 : 11월 22일경
44. 60갑자의 12번 째에 해당하는 것은?
① 庚午② 辛未
③ 壬申④ 乙亥
⑤ 甲戌
45. ‘四面楚歌’의 뜻으로 바른 것은?
① 고향을 그리워함.
② 실력이 서로 비슷함.
③ 고립되어 도움을 받을 수 없음.
④ 떨어질 수 없는 친밀한 사이.
⑤ 반드시 은혜를 갚음.
46.‘結草報恩’의 풀이 순서로 바른 것은?
① ㉠㉡㉢㉣② ㉠㉢㉡㉣
③ ㉡㉢㉠㉣④ ㉡㉠㉣㉢
⑤ ㉢㉣㉠㉡
47. ‘無說己之長’에서, 가장 늦게 풀이되는 한자는?
① 無② 說
③ 己④ 之
⑤ 長
48. 다음 문장의 □안에 들어갈 접속사는?
見小利 □大事不成.
① 之② 而
③ 以④ 則
⑤ 於
49. ‘道吾過者 是吾師’에서 ‘道’의 풀이는?
① 길② 도리
③ 말하다④ 이치
⑤ 알다
50. 다음 중 ‘자식의 어버이에 대한 그리움’이 담겨 있는 성어는?
① 望雲之情② 花朝月夕
③ 內憂外患④ 喜怒哀樂
⑤ 生老病死
51. 다음 한자어의 풀이 순서로 옳은 것은?
春 耕 秋 收
1 2 3 4
① 1-2-3-4② 2-1-3-4
③ 2-1-4-3④ 3-2-1-4
⑤ 4-3-2-1
52. 다음 중 한자의 짜임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① 喜怒哀樂② 生老病死
③ 紙筆硯墨④ 春夏秋冬
⑤ 三國史記
53.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바르게 옮긴 것은?
우리 나라를 포함한 동양에서의 산수화는 자연의 표현인 동시에 인간이 자연에 대해 지니고 있는 자연관의 반영이다. 우리 나라의 산수화는 구도나 공간 개념, 묘사법 등에서 중국의 화풍을 섭취하고, 이를 토대로 독자적인 화풍을 이룩하였다.
① 山水② 山水書
③ 山水劃④ 山水晝
⑤ 山水圖
54. 다음 중 ‘~일 뿐이다’로 풀이되는 한자는?
① 非② 勿
③ 爲④ 由
⑤ 耳
55. 다음 중 두 가지 이상의 음으로 읽히는 한자는?
① 危② 更
③ 飛④ 誤
⑤ 願
56. 다음 중 ‘之’가 대명사로 쓰인 것은?
① 交友之道② 五倫之首
③ 我亦善之④ 無言之師
⑤ 知己之友
57. 다음 문장의 □안에 들어갈 한자가 차례대로 바른 것은?
父母在 出必□ 反必□.
① 言, 見② 見, 言
③ 告, 面④ 面, 告
⑤ 待, 養
58. 문장의 끝에 놓여 ‘~이다’로 풀이되는 한자는?
① 乎② 也
③ 而④ 干
⑤ 曰
59. 다음의 내용과 관계 깊은 절기는?
지리한 장마가 끝나자,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었다.
① 立春② 立夏
③ 大暑④ 處暑
⑤ 霜降
60. 다음 중 고려 말부터 발달하여 온 우리 고유의 정형시의 명칭으로 바른 것은?
① 鄕歌② 時調
③ 歌曲④ 漢詩
⑤ 音樂
61. 다음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넷을 포함하는 뜻을 가진 것은?
① 節氣② 雨水
③ 淸明④ 立秋
⑤ 小雪
62. 다음 중 봄철에 드는 절기는?
① 穀雨② 立夏
③ 大暑④ 白露
⑤ 小寒
63. 명절에 대한 우리말 이름이 바르지 못한 것은?
① 元旦-설날② 上元-대보름
③ 端午-수릿날④ 秋夕-한가위
⑤ 冬至-섣달 그믐
64. 다음 중 명절의 이름이 아닌 것은?
① 旦夕② 元旦
③ 七夕④ 秋夕
⑤ 除夕
65. 성어의 짜임이 ‘加減乘除’와 같은 것은?
① 仁義禮智② 貧富貴賤
③ 春夏秋冬④ 身言書判
⑤ 生老病死
66. 다음 ( )안에 들어갈 성어로 알맞은 것은?
김정호는 ( ) 끝에 대동여지도를 완성하였다.
① 千辛萬苦② 自初至終
③ 千篇一律④ 說往說來
⑤ 九死一生
67. ‘風前燈火’와 비슷한 뜻을 가진 성어는?
① 累卵之危② 頂門一鍼
③ 寸鐵殺人④ 雪上加霜
⑤ 燈下不明
68. 밑줄 친 부분의 속뜻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水魚之交
① 은밀한② 친밀한
③ 특별한④ 솔직한
⑤ 유일한
69. ‘望雲之情’에서 연상되는 대상은?
① 父母② 妻子
③ 君主④ 愛人
⑤ 朋友
70. ‘기미년’의 한자 표기가 바른 것은?
① 己未年② 已未年
③ 巳未年④ 乙未年
⑤ 壬末年
71. 다음 중 낮 12시와 밤 12시를 나타내는 말을 차례대로 바르게 쓴 것은?
① 正午, 正子② 正子, 正午
③ 午正, 正子④ 子正, 午正
⑤ 正午, 子正
72. 다음 중 ‘文房四友’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紙② 書
③ 筆④ 硯
⑤ 墨
73. ‘一體’라는 말의 앞에 어울리는 성어는?
① 眞善美② 松竹梅
③ 君師父④ 信望愛
⑤ 衣食住
74. ‘喜怒哀樂’의 독음으로 바른 것은?
① 희노애락② 희로애락
③ 희노애악④ 희로애악
⑤ 희노애요
모의중간고사
1. ①35. ④ 69. ①
2. ⑤ 36. ① 70. ①
3. ② 37. ⑤ 71. ⑤
4. ② 38. ③ 72. ②
5. ① 39. ③ 73. ③
6. ④ 40. ⑤ 74. ②
7. ③ 41. ①
8. ③ 42. ②
9. ④ 43. ①
10. ① 44. ④
11. ② 45. ③
12. ① 46. ④
13. ③ 47. ①
14. ④ 48. ④
15. ⑤ 49. ③
16. 仁 50. ①
17. ② 51. ①
18. (마), 孝 52. ⑤
19. ① 53. ①
20. ① 54. ⑤
21. ① 55. ②
22. ③ 56. ③
23. ⑤ 57. ③
24. ② 58. ②
25. ③ 59. ③
26. ④ 60. ②
27. ① 61. ①
28. ⑤ 62. ①
29. ① 63. ⑤
30. ② 64. ①
31. ④ 65. ②
32. ② 66. ①
33. ③ 67. ①
34. ⑤ 68.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