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모의기말고사
2.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1. 부수가 다른 것은 ?
① 才② 推
③ 承④ 接
⑤ 獨
2. ‘汝 當見金如石’이 뜻하는 것은 ?
① 부의 추구② 인생의 허무
③ 금의 가치④ 욕망의 절제
⑤ 돈의 중요성
3. ‘過失’에서 ‘過’의 뜻과 같은 것은 ?
① 過去② 罪過
③ 經過④ 通過
⑤ 過食
4. 한자의 뜻을 바르게 말한 것은 ?
① 朋-밝다② 臣-크다
③ 推-밀다④ 恩-생각하다
⑤ 間-묻다
5. 다음 중, 독음이 바르지 못한 것은 ?
① 論說-논설② 惡寒-악한
③ 招待-초대④ 原則-원칙
⑤ 更新-갱신
6. 다음 중, 비슷한 것끼리 연결된 것은 ?
① 樹-木② 晝-夜
③ 喜-怒④ 自-他
⑤ 問-聞
7. 다음 중, 한자의 부수와 획수를 바르게 말한 것은 ?
① 放(方, 4획)② 勇(田, 4획)
③ 志(士, 4획)④ 者(日, 5획)
⑤ 合(口, 3획)
8. ‘公平無私’에서의 ‘無私’와 짜임이 다른 것은 ?
① 有名② 多情
③ 知行④ 合一
⑤ 無患
9. 다음의 □안에 알맞은 자를 쓰시오.
孝子之至는 莫大乎尊□이니라.
10. 다음은 어떤 산을 노래한 것인가?
□□□은 天下之名山也라. 山이 凡一萬二千峯이요, 其名이 有四라. 一曰春 金剛이요,
二曰 夏 蓬萊요, 三曰 秋 楓岳이요, 四曰 冬 皆骨이라.
① 俗離山② 雪岳山
③ 白頭山④ 金剛山
⑤ 漢拏山
11. 다음과 문장의 형식이 같은 것은 ?
霜葉紅於二月花
① 人不學 不知道② 己所不欲 勿施於人
③ 汝知禮乎④ 至樂莫如讀書
⑤ 欲速則不達
12. ‘盡忠報國’의 짜임으로 옳은 것은 ?
① 술목+술목② 술보+술보
③ 술목+술보④ 술보+술목
⑤ 병렬+주술
13. 다음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흰 쌀밥보다는 혼식이 건강에 좋다.
14. 밑줄 친 한자끼리 대립 관계를 이루지 않는 것은 ?
① 先公後私② 同苦同樂
③ 有備無患④ 多情多感
⑤ 知彼知己
15. ‘有備無患’의 ‘患’과 비슷한 뜻을 가진 한자는 ?
① 慶 ② 恨
③ 憂④ 忠
⑤ 哀
16. ‘非一非再’의 속뜻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① 옳지 못함② 지극히 작음
③ 수두룩함④ 어리숙함
⑤ 오직 하나
17.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란 속담에 가장 가까운 성어는 ?
① 有備無患② 有名無實
③ 多情多感④ 多事多難
⑤ 公平無私
18. 다음 중 ‘說’의 음을 ‘세’라고 읽어야 하는 한자어는 ?
①說明② 說話
③ 遊說④ 學說
⑤ 論說
19. 한자어의 독음이 바르지 못한 것은 ?
① 自動車 : 자동차② 法則 : 법칙
③ 惡寒 : 악한④ 更新 : 갱신
⑤ 拾得 : 습득
※【20~22】다음 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世路少知音,(나) 窓外三更雨,
(다) 秋風唯苦吟,(라) 燈前萬里心,
20. 윗시를 바르게 배열한 것은 ?
① (가)(나)(다)(라)② (나)(다)(가)(라)
③ (다)(라)(가)(나)④ (다)(가)(나)(라)
⑤ (라)(나)(다)(가)
21. 대구를 이루는 부분은 ?
① (가)(나)② (다)(라)
③ (가)(다)④ (나)(라)
⑤ (가)(라)
22. 윗시의 제목은 ?
① 夜坐有感② 秋夜雨中
③ 松下問答④ 金剛山
⑤ 山行
23. 다음 내용에 알맞는 속담은 ?
“향수 가게에 들어갔다 나오면 아무것도 사지 않았더라도, 몸에서 향수 냄새가 난다. 그리고 가죽 가게에 들어갔다 나오면 사지 않았더라도 나쁜 냄새가 몸에 밴다.”
① 難上之木, 勿仰② 夫婦之戰, 以刀割水
③ 近墨者黑, 近朱者赤④ 馬行處, 牛亦去
⑤ 千人所指, 無病而死
24. 다음 설명에 알맞은 명절은 ?
옛날 중국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충신인 개자추(介子推)가 불에 타 죽은 것을
위로하기 위하여 찬 음식을 먹게 된 날로, 찬밥먹기, 성묘 등을한다.
① 元日② 上元
③ 寒食④ 端午
⑤ 秋夕
25. 다음 □안에 알맞은 한자어를 쓰시오.
天時는 不如地利요, 地利는 □□人和니라.
【26~29】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男兒㉠須㉡讀五車書
26. 윗글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
① 多讀 ② 精讀
③ 速讀④ 朗讀
⑤ 目讀
27. 윗글의 문장 구조를 바르게 지적한 것은 ?
① 주술 기본② 주술목 기본
③ 주술보 기본④ 주술목 확장
⑤ 주술보 확장
28. ㉠의 ‘須’의 새김으로 바른 것은 ?
① 결국② 잠깐
③ 천천히④ 한결같이
⑤ 모름지기
29. ㉡ ‘讀’과 독음이 다른 것은 ?
① 讀書② 讀者
③ 愛讀④ 句讀
⑤ 音讀
30. 관련있는 한자 성어로 연결되지 못한 것은 ?
① 이기심-我田引水② 인재등용-身言書判
③ 문방사우-紙筆墨硯④ 위기상황-燈火可親
⑤ 知音-知己之友
31. 다음 시조와 가장 잘 통하는 한자 성어는 ?
짚 방석 내지 마라 낙엽(落葉)엔들 못 앉으랴.
솔불 켜지 마라 어제 진달 돋아온다.
아이야 탁주산채(濁酒山菜)일망정 없다 말고 내어라.
-한호(韓護)
① 居安思危② 苦盡甘來
③ 君子三樂④ 坐井觀天
⑤ 安貧樂道
모의기말고사 ………
1. ⑤
2. ④
3. ②
4. ③
5. ②
6. ①
7. ⑤
8. ③
9. 親
10. ④
11. ④
12. ③
13. 混食
14. ④
15. ③
16. ③
17. ②
18. ③
19. ③
20. ④
21. ④
22. ②
23. ③
24. ③
25. 不如
26. ①
27. ④
28. ⑤
29. ④
30. ④
31. ⑤
① 才② 推
③ 承④ 接
⑤ 獨
2. ‘汝 當見金如石’이 뜻하는 것은 ?
① 부의 추구② 인생의 허무
③ 금의 가치④ 욕망의 절제
⑤ 돈의 중요성
3. ‘過失’에서 ‘過’의 뜻과 같은 것은 ?
① 過去② 罪過
③ 經過④ 通過
⑤ 過食
4. 한자의 뜻을 바르게 말한 것은 ?
① 朋-밝다② 臣-크다
③ 推-밀다④ 恩-생각하다
⑤ 間-묻다
5. 다음 중, 독음이 바르지 못한 것은 ?
① 論說-논설② 惡寒-악한
③ 招待-초대④ 原則-원칙
⑤ 更新-갱신
6. 다음 중, 비슷한 것끼리 연결된 것은 ?
① 樹-木② 晝-夜
③ 喜-怒④ 自-他
⑤ 問-聞
7. 다음 중, 한자의 부수와 획수를 바르게 말한 것은 ?
① 放(方, 4획)② 勇(田, 4획)
③ 志(士, 4획)④ 者(日, 5획)
⑤ 合(口, 3획)
8. ‘公平無私’에서의 ‘無私’와 짜임이 다른 것은 ?
① 有名② 多情
③ 知行④ 合一
⑤ 無患
9. 다음의 □안에 알맞은 자를 쓰시오.
孝子之至는 莫大乎尊□이니라.
10. 다음은 어떤 산을 노래한 것인가?
□□□은 天下之名山也라. 山이 凡一萬二千峯이요, 其名이 有四라. 一曰春 金剛이요,
二曰 夏 蓬萊요, 三曰 秋 楓岳이요, 四曰 冬 皆骨이라.
① 俗離山② 雪岳山
③ 白頭山④ 金剛山
⑤ 漢拏山
11. 다음과 문장의 형식이 같은 것은 ?
霜葉紅於二月花
① 人不學 不知道② 己所不欲 勿施於人
③ 汝知禮乎④ 至樂莫如讀書
⑤ 欲速則不達
12. ‘盡忠報國’의 짜임으로 옳은 것은 ?
① 술목+술목② 술보+술보
③ 술목+술보④ 술보+술목
⑤ 병렬+주술
13. 다음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흰 쌀밥보다는 혼식이 건강에 좋다.
14. 밑줄 친 한자끼리 대립 관계를 이루지 않는 것은 ?
① 先公後私② 同苦同樂
③ 有備無患④ 多情多感
⑤ 知彼知己
15. ‘有備無患’의 ‘患’과 비슷한 뜻을 가진 한자는 ?
① 慶 ② 恨
③ 憂④ 忠
⑤ 哀
16. ‘非一非再’의 속뜻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① 옳지 못함② 지극히 작음
③ 수두룩함④ 어리숙함
⑤ 오직 하나
17.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란 속담에 가장 가까운 성어는 ?
① 有備無患② 有名無實
③ 多情多感④ 多事多難
⑤ 公平無私
18. 다음 중 ‘說’의 음을 ‘세’라고 읽어야 하는 한자어는 ?
①說明② 說話
③ 遊說④ 學說
⑤ 論說
19. 한자어의 독음이 바르지 못한 것은 ?
① 自動車 : 자동차② 法則 : 법칙
③ 惡寒 : 악한④ 更新 : 갱신
⑤ 拾得 : 습득
※【20~22】다음 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世路少知音,(나) 窓外三更雨,
(다) 秋風唯苦吟,(라) 燈前萬里心,
20. 윗시를 바르게 배열한 것은 ?
① (가)(나)(다)(라)② (나)(다)(가)(라)
③ (다)(라)(가)(나)④ (다)(가)(나)(라)
⑤ (라)(나)(다)(가)
21. 대구를 이루는 부분은 ?
① (가)(나)② (다)(라)
③ (가)(다)④ (나)(라)
⑤ (가)(라)
22. 윗시의 제목은 ?
① 夜坐有感② 秋夜雨中
③ 松下問答④ 金剛山
⑤ 山行
23. 다음 내용에 알맞는 속담은 ?
“향수 가게에 들어갔다 나오면 아무것도 사지 않았더라도, 몸에서 향수 냄새가 난다. 그리고 가죽 가게에 들어갔다 나오면 사지 않았더라도 나쁜 냄새가 몸에 밴다.”
① 難上之木, 勿仰② 夫婦之戰, 以刀割水
③ 近墨者黑, 近朱者赤④ 馬行處, 牛亦去
⑤ 千人所指, 無病而死
24. 다음 설명에 알맞은 명절은 ?
옛날 중국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충신인 개자추(介子推)가 불에 타 죽은 것을
위로하기 위하여 찬 음식을 먹게 된 날로, 찬밥먹기, 성묘 등을한다.
① 元日② 上元
③ 寒食④ 端午
⑤ 秋夕
25. 다음 □안에 알맞은 한자어를 쓰시오.
天時는 不如地利요, 地利는 □□人和니라.
【26~29】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男兒㉠須㉡讀五車書
26. 윗글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
① 多讀 ② 精讀
③ 速讀④ 朗讀
⑤ 目讀
27. 윗글의 문장 구조를 바르게 지적한 것은 ?
① 주술 기본② 주술목 기본
③ 주술보 기본④ 주술목 확장
⑤ 주술보 확장
28. ㉠의 ‘須’의 새김으로 바른 것은 ?
① 결국② 잠깐
③ 천천히④ 한결같이
⑤ 모름지기
29. ㉡ ‘讀’과 독음이 다른 것은 ?
① 讀書② 讀者
③ 愛讀④ 句讀
⑤ 音讀
30. 관련있는 한자 성어로 연결되지 못한 것은 ?
① 이기심-我田引水② 인재등용-身言書判
③ 문방사우-紙筆墨硯④ 위기상황-燈火可親
⑤ 知音-知己之友
31. 다음 시조와 가장 잘 통하는 한자 성어는 ?
짚 방석 내지 마라 낙엽(落葉)엔들 못 앉으랴.
솔불 켜지 마라 어제 진달 돋아온다.
아이야 탁주산채(濁酒山菜)일망정 없다 말고 내어라.
-한호(韓護)
① 居安思危② 苦盡甘來
③ 君子三樂④ 坐井觀天
⑤ 安貧樂道
모의기말고사 ………
1. ⑤
2. ④
3. ②
4. ③
5. ②
6. ①
7. ⑤
8. ③
9. 親
10. ④
11. ④
12. ③
13. 混食
14. ④
15. ③
16. ③
17. ②
18. ③
19. ③
20. ④
21. ④
22. ②
23. ③
24. ③
25. 不如
26. ①
27. ④
28. ⑤
29. ④
30. ④
31. 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