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미술교육에서 시각개발(시지각개발)의 중요성
Ⅱ. 미술교육에서 시각개발(시지각개발)의 이론
Ⅲ. 미술교육에서 시각개발(시지각개발)을 위한 소묘
Ⅳ. 미술교육에서 시각개발(시지각개발)을 위한 데생
1. 상자형 물체 그리기
2. 원기둥형 물체 그리기
3. 인물에서의 명암 표현
4. 학교 교정 묘사하기
5. 인물과 환경간의 겹친 표현
6. 인물 상호간의 겹친 표현
7. 교실에 있는 인물과 물체에서 겹친 모습 그리기
8. 친구의 모습 관찰하여 그리기
9. 자연풍경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그리기
10. 정물 그리기
11. 운동하는 친구 모습 본 후 한순간 그리기
12. VTR, TV 본 후 그리기
13. 여러 방향에서 본 사물의 모습 그리기
참고문헌
Ⅱ. 미술교육에서 시각개발(시지각개발)의 이론
Ⅲ. 미술교육에서 시각개발(시지각개발)을 위한 소묘
Ⅳ. 미술교육에서 시각개발(시지각개발)을 위한 데생
1. 상자형 물체 그리기
2. 원기둥형 물체 그리기
3. 인물에서의 명암 표현
4. 학교 교정 묘사하기
5. 인물과 환경간의 겹친 표현
6. 인물 상호간의 겹친 표현
7. 교실에 있는 인물과 물체에서 겹친 모습 그리기
8. 친구의 모습 관찰하여 그리기
9. 자연풍경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그리기
10. 정물 그리기
11. 운동하는 친구 모습 본 후 한순간 그리기
12. VTR, TV 본 후 그리기
13. 여러 방향에서 본 사물의 모습 그리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리기
* 앞 물체는 선명하고 채도가 높은 색으로 멀리 있는 물체는 흐리고 채도가 약한 색으로 그리기
5. 인물과 환경간의 겹친 표현
* 친구를 앞으로 나와 서게 한 후 인물과 뒷 배경의 중첩된 부분을 찾아 대화한 후 표현하게 한다.
* 전면의 물체가 크게 보이는 까닭 알며 그리기
* 후면의 배경이 실제보다 작아 보이는 까닭 알며 그리기
6. 인물 상호간의 겹친 표현
* 두 친구를 일부분이 서로 겹쳐 서게 하고 겹쳐진 부분을 이야기 한 후 그리게 함.
* 겹친 부분은 그리지 않음
* 앞사람부터 그림
* 예
운동 경기하면서 서로 겹쳐 있는 모습 그리기
청소 시간 중 서로 겹쳐 있는 모습 그리기
여러 가지 활동 중 서롤 겹쳐진 모습 그리기
사물에 의해 인물의 일부가 가려진 모습 그리기
7. 교실에 있는 인물과 물체에서 겹친 모습 그리기
* 의도적으로 상황을 설정하고 서로 겹친 부분을 이야기 한 후 그려보게 함.
* 예
교탁과 교사와 칠판의 겹친 표현
친구와 책상과 컴퓨터의 겹친 표현
8. 친구의 모습 관찰하여 그리기
모델을 선정하여 전체적인 모습을 인지시킨 다음 대화를 통해 세부적인 요소에 관심을 갖게 한다. 먼저 전체를 그린 다음 부분을 그리게 한다. 친구의 그림을 살피면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서 그리도록 한다. 우수 작품을 자주 전시하며 관찰력을 기르도록 한다.
9. 자연풍경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그리기
자연물의 대상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기록하도록 한다. 전체적 윤곽을 그린 다음 세부 묘사를 하도록 지도한다. 각각 물체의 특징이 나타나도록 한다. 나무 형태의 특이성, 건물의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한다.
10. 정물 그리기
항상 무심하게 보아 넘겼던 부분들은 어느 부분인지 새로운 눈으로 보도록 표현해 보도록 유도한다.
11. 운동하는 친구 모습 본 후 한순간 그리기
* 의도적으로 모델을 운동시킨 후 한 순간 포착하여 그리기
* 반복운동으로 어떤 동작을 쉽게 포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관절을 기점으로 하나의 선으로 골격 그리기 연습
12. VTR, TV 본 후 그리기
* 각종 ICT 자료를 활용 움직이는 모습 반복하여 본 후 그리기
* 움직임이 가장 클 때의 모습으로 그려보기
* 관절을 기점으로 하나의 실선으로 뼈대를 그린 후 살 붙이는 방법으로 그려보기
13. 여러 방향에서 본 사물의 모습 그리기
의자를 여러 방향에서 관찰하고 그리게 한다. 어느 부분이 보이고 어느 부분이 보이지 않는가 살펴본 후 그리도록 한다. 어느 쪽에서 보았을 때 그 특징적인 모습이 가장 잘 표현되는지 알아본다.
참고문헌
김미숙(2005), 초등학생의 Visual literacy 향상을 위한 시각적 미디어 활용 프로그램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김재은(1977), 미술과의 수업과 평가, 서울 : 일지사
안그라픽스 찰스 왈쉬레거·신디아 부식·스나이더, 디자인의 개념과 원리
아른하임·김충일(1990), 미술과 시지각, 서울 : 기린원
이규선·전성수·김동영(1994), 미술교육학개론, 서울 : 교육과학사
주리애(2000), 미술치료는 마술치료, 학지사
* 앞 물체는 선명하고 채도가 높은 색으로 멀리 있는 물체는 흐리고 채도가 약한 색으로 그리기
5. 인물과 환경간의 겹친 표현
* 친구를 앞으로 나와 서게 한 후 인물과 뒷 배경의 중첩된 부분을 찾아 대화한 후 표현하게 한다.
* 전면의 물체가 크게 보이는 까닭 알며 그리기
* 후면의 배경이 실제보다 작아 보이는 까닭 알며 그리기
6. 인물 상호간의 겹친 표현
* 두 친구를 일부분이 서로 겹쳐 서게 하고 겹쳐진 부분을 이야기 한 후 그리게 함.
* 겹친 부분은 그리지 않음
* 앞사람부터 그림
* 예
운동 경기하면서 서로 겹쳐 있는 모습 그리기
청소 시간 중 서로 겹쳐 있는 모습 그리기
여러 가지 활동 중 서롤 겹쳐진 모습 그리기
사물에 의해 인물의 일부가 가려진 모습 그리기
7. 교실에 있는 인물과 물체에서 겹친 모습 그리기
* 의도적으로 상황을 설정하고 서로 겹친 부분을 이야기 한 후 그려보게 함.
* 예
교탁과 교사와 칠판의 겹친 표현
친구와 책상과 컴퓨터의 겹친 표현
8. 친구의 모습 관찰하여 그리기
모델을 선정하여 전체적인 모습을 인지시킨 다음 대화를 통해 세부적인 요소에 관심을 갖게 한다. 먼저 전체를 그린 다음 부분을 그리게 한다. 친구의 그림을 살피면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서 그리도록 한다. 우수 작품을 자주 전시하며 관찰력을 기르도록 한다.
9. 자연풍경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그리기
자연물의 대상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기록하도록 한다. 전체적 윤곽을 그린 다음 세부 묘사를 하도록 지도한다. 각각 물체의 특징이 나타나도록 한다. 나무 형태의 특이성, 건물의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한다.
10. 정물 그리기
항상 무심하게 보아 넘겼던 부분들은 어느 부분인지 새로운 눈으로 보도록 표현해 보도록 유도한다.
11. 운동하는 친구 모습 본 후 한순간 그리기
* 의도적으로 모델을 운동시킨 후 한 순간 포착하여 그리기
* 반복운동으로 어떤 동작을 쉽게 포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관절을 기점으로 하나의 선으로 골격 그리기 연습
12. VTR, TV 본 후 그리기
* 각종 ICT 자료를 활용 움직이는 모습 반복하여 본 후 그리기
* 움직임이 가장 클 때의 모습으로 그려보기
* 관절을 기점으로 하나의 실선으로 뼈대를 그린 후 살 붙이는 방법으로 그려보기
13. 여러 방향에서 본 사물의 모습 그리기
의자를 여러 방향에서 관찰하고 그리게 한다. 어느 부분이 보이고 어느 부분이 보이지 않는가 살펴본 후 그리도록 한다. 어느 쪽에서 보았을 때 그 특징적인 모습이 가장 잘 표현되는지 알아본다.
참고문헌
김미숙(2005), 초등학생의 Visual literacy 향상을 위한 시각적 미디어 활용 프로그램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김재은(1977), 미술과의 수업과 평가, 서울 : 일지사
안그라픽스 찰스 왈쉬레거·신디아 부식·스나이더, 디자인의 개념과 원리
아른하임·김충일(1990), 미술과 시지각, 서울 : 기린원
이규선·전성수·김동영(1994), 미술교육학개론, 서울 : 교육과학사
주리애(2000), 미술치료는 마술치료, 학지사
추천자료
[미술교육][미술과교육][조형활동][조형]미술교육(미술과교육)의 성격, 미술교육(미술과교육)...
전통미술감상지도(한국전통미술감상교육) 필요성, 전통미술감상지도(한국전통미술감상교육) ...
미술과(미술교육) 미적체험활동학습, 미술과(미술교육) 감상중심학습, 미술과(미술교육) CAI(...
전통미술지도(한국전통미술교육)의 의의, 전통미술지도(한국전통미술교육)의 전통문양학습, ...
미술과(미술교육)의 교육의의와 교육동향, 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의 내용체계, 초등학교 ...
미술과(미술교육)의 특징과 목표, 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의 기본학습, 초등학교 미술과(...
미술과(미술교육, 미술과수업)의 성격과 목표, 미술과(미술교육, 미술과수업)의 교육 중점과 ...
미술감상학습(미술감상교육)의 개념과 중요성, 미술감상학습(미술감상교육)의 원칙과 단계, ...
[미술교육][통합][장애아동][아동중심][기능중심][창의성중심][열린미술교육][유아]통합미술...
미술감상지도(미술감상교육), 미술발상지도(미술발상교육), 미술판화지도(미술판화교육), 미...
[미술비평감상교육][신문활용교육][NIE]미술비평감상교육의 중요성, 미술비평감상교육의 단계...
[미술관교육]미술관교육의 의미, 미술관교육의 역사, 미술관교육의 중요성, 미술관교육의 감...
[미술관교육][감상교육][미술교육][미술관교육의 사례]미술관교육의 의미, 미술관교육의 유형...
[한국미술교육][학문중심교육][미술교과서]한국미술교육의 목적, 한국미술교육의 배경, 한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