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경매에 있어서 소멸주의. 인수주의
1. 경매종결시의 물적부담
2. 소멸 및 인수되는 권리
3. 용익물권과 담보물권과의 관계
4. 가압류등기와 소멸주의
5. 유치권과 인수주의
6. 저당권과 소멸주의
7. 전세권과 소멸주의
8. 담보가등기와 소멸주의
9. 경매신청등기와 소멸. 인수주의
10. 예고등기와 인수주의
11. 환매등기와 소멸. 인수주의
12. 제3자의 대위변제
▣종합부동산세
▣주거입지와 3요결
1. 배산임(면)수 (背山臨[面]水)
2. 북고 남저(北高 南低)
3. 전저후고(前低後高)
4. 전착후관(前搾後寬)
1. 경매종결시의 물적부담
2. 소멸 및 인수되는 권리
3. 용익물권과 담보물권과의 관계
4. 가압류등기와 소멸주의
5. 유치권과 인수주의
6. 저당권과 소멸주의
7. 전세권과 소멸주의
8. 담보가등기와 소멸주의
9. 경매신청등기와 소멸. 인수주의
10. 예고등기와 인수주의
11. 환매등기와 소멸. 인수주의
12. 제3자의 대위변제
▣종합부동산세
▣주거입지와 3요결
1. 배산임(면)수 (背山臨[面]水)
2. 북고 남저(北高 南低)
3. 전저후고(前低後高)
4. 전착후관(前搾後寬)
본문내용
경우는 별로 없다. 주건물과 정원이 평면이면 배산임수가 되지 않고, 부속건물이 주건물보다 높으 면 주건물을 억누르는 가상(家相)이 되어 보기에도 어색할 것이고 거주하 는 사람도 편안한 마음으로 생활하기 힘들 것이다.
4.전착후관(前搾後寬)
사람이 출입하는데는 좁고 안 으로 들어가면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문에서 마당으로 들어가는 것이나 현관문을 열고 거실로 들어가는 것도 전착에서 후관하는 것으로 즉 앞은 좁고 안은 넓게 되는 것이다. 만약 대문에 비하여 마당이 너무 좁다거나 현관문은 지나치게 큰데 거실이 좁다면 아마도 서구 과학적인 의미에서 의 공기의 흐름이 정상적일 수 없을 것이다. 거실의 공기는 항 상 일정한 정도의 순환은 있으되 공기의 순환 자체는 어느 정도 안정 되어 있어야 하는데 전착후관하지 않고 거꾸로 전관후착하게 되면 공기 의 순환 자체가 일상적으로 너무 급격하여 공기의 흐름 자체가 항상 불안할 것 이다.
5. 기타
배수가 잘 되고 정원수가 잘 자란다면 토질의 성격상 인간이 거주하기 적합한 터가 될 것이다. 이는 인간도 종국 적으로 생명체인데 정원수가 잘자라지 못하는 곳에서 인간이 생활을 영 위하는데는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것이 당연하다. 또한 배수가 잘된다는 것은 쾌적한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배수가 잘되지 않아서는 항상 음습하여 건강상 문제가 생기기 쉽다.
※ 조구봉은 '양택삼요결'에서 "배산임수 (背山臨水)는 건강장수(建康長壽)하고, 전저후고(前低後高)는 출 세영웅(出世英雄)하며, 전착후관(前窄後寬)은 부귀여산(富貴如山)"한 다고 했는데, 배산임수한다면 이는 실제 건강에 극히 좋은 환경조건이 갖추어지 는 것이고 전저후고 한다는 것은 사람이 다소 높은 주건물에서 생활을 하니 (주건물이 높아야 얼마나 높겠는가 그러나 이제는 보기 힘들지만 시골 의 제대로 구색을 갖춘 기와집의 안채와 사랑체를 감안한다면 다소 높 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 보는 형국이 되는 것은 틀림없다.)굳건한 기 상 혹은 미래를 내다보고자 하는 기상이 생기는 환경에 있는 것이니 출세영웅할 지는 모르겠으나 건전한 사고 내지 미래지향적 사고와 자부심 을 갖고 생활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지는 것이고 전착후관한다는 것 은 바로 겸손하고 자신을 내세우지 않고 실속있게 조용히 생활하는 태 도의 표현이니 바로 이런 조건에서 부귀가 올 수 있는 것이라고 본다면 조구봉의 양택삼요결에서의 표현은 상당한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4.전착후관(前搾後寬)
사람이 출입하는데는 좁고 안 으로 들어가면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문에서 마당으로 들어가는 것이나 현관문을 열고 거실로 들어가는 것도 전착에서 후관하는 것으로 즉 앞은 좁고 안은 넓게 되는 것이다. 만약 대문에 비하여 마당이 너무 좁다거나 현관문은 지나치게 큰데 거실이 좁다면 아마도 서구 과학적인 의미에서 의 공기의 흐름이 정상적일 수 없을 것이다. 거실의 공기는 항 상 일정한 정도의 순환은 있으되 공기의 순환 자체는 어느 정도 안정 되어 있어야 하는데 전착후관하지 않고 거꾸로 전관후착하게 되면 공기 의 순환 자체가 일상적으로 너무 급격하여 공기의 흐름 자체가 항상 불안할 것 이다.
5. 기타
배수가 잘 되고 정원수가 잘 자란다면 토질의 성격상 인간이 거주하기 적합한 터가 될 것이다. 이는 인간도 종국 적으로 생명체인데 정원수가 잘자라지 못하는 곳에서 인간이 생활을 영 위하는데는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것이 당연하다. 또한 배수가 잘된다는 것은 쾌적한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배수가 잘되지 않아서는 항상 음습하여 건강상 문제가 생기기 쉽다.
※ 조구봉은 '양택삼요결'에서 "배산임수 (背山臨水)는 건강장수(建康長壽)하고, 전저후고(前低後高)는 출 세영웅(出世英雄)하며, 전착후관(前窄後寬)은 부귀여산(富貴如山)"한 다고 했는데, 배산임수한다면 이는 실제 건강에 극히 좋은 환경조건이 갖추어지 는 것이고 전저후고 한다는 것은 사람이 다소 높은 주건물에서 생활을 하니 (주건물이 높아야 얼마나 높겠는가 그러나 이제는 보기 힘들지만 시골 의 제대로 구색을 갖춘 기와집의 안채와 사랑체를 감안한다면 다소 높 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 보는 형국이 되는 것은 틀림없다.)굳건한 기 상 혹은 미래를 내다보고자 하는 기상이 생기는 환경에 있는 것이니 출세영웅할 지는 모르겠으나 건전한 사고 내지 미래지향적 사고와 자부심 을 갖고 생활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지는 것이고 전착후관한다는 것 은 바로 겸손하고 자신을 내세우지 않고 실속있게 조용히 생활하는 태 도의 표현이니 바로 이런 조건에서 부귀가 올 수 있는 것이라고 본다면 조구봉의 양택삼요결에서의 표현은 상당한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