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의 종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면역의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B 림프구가 항원을 만나면 항체를 분비함으로써 일어나는 면역반응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과 T 림프구가 항원을 인지하여 림포카인(lymphokine)을 분비하거나 직접 감염된 세포를 죽이는 면역반응
세포성 면역(cell-mediated immunity) 으로 나누어짐
2) 면역세포의 다양성과 역할
T 세포, B 세포, 대식세포는 각각 면역반응에 기여
골수에서 유래하여 혈액 속에서 순환
3) 면역반응의 시작
항원제시세포인 대식세포는 엔도시토시스에 의해 세균을 섭식하고, 외부항 원을 자기 단백질인 이식면역에서 가장 강한 이식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세포 표면의 동종 항원군 및 그것을 지배하는 유전자군
MHC에 실어 자신의 표면에 제시함
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주조직적 복합체) : 대식세포 표 면에 있으며 자기가 포획한 물체의 항원을 MHC로 제시함 (세포표 면의 동종 항원군)
대식세포가 표면에 MHC의
도움으로 항원을 제시함
보조 T 세포가 항원을 적으
로 인식하면 면역 반응이
시작됨
보조 T 세포의 신호를 받은
B 세포는 항원에 대한 항체
를 표면에 만들게 됨
B cell 표면의 항체에 병원균
의 항원이 붙으면 B cell은
증식을 시작해서 형질세포와
기억세포를 만들어내고 이에
따라 많은 항체가 만들어 짐
4) 항체
항체의 구조
가장 간단한 항체는 (A) 4개
의 다중펩티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서로 이황화
결합에 의해 연결된다. 각각
의 다중펩티드 고리의 일부
는 일정한 아미노산서열을
가지며 나머지 아미노산서열
은 변이가 다양하다. Y자 모
양의 위쪽 끝 부분은 항원결
합부위를 형성한다(B).
유형
위치
기능
lgA
젖, 타액, 눈물, 호흡소화성 분비물
신체로 유입되는 지점에서 미생물에 대한 방어
lgD
혈액의 B 세포
다른 항체를 만들기 위해 B세포를 자극(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lgE
조직과 혈청의 비만세포
분비성 알레르기 매개자에 대한 비만세포를 자극하는 항원에 대한 수용체를 제공
lgG
혈액과 혈청의 백혈구와 대식세포
세균과 대식세포에 동시에 결합하여 대식세포의 식균작용을 보조, 보체를 활성화, 이차 면역반응에 참여, 임산부로부터 태아로 전달되어 태아가 항체를 형성할 때까지 방어를 담당
lgM
혈액과 혈청의 B 세포
일차 면역반응에서 보체를 활성화
항체의 유형
5가지 유형의 항체 중에서 세 가지는 위
항체의 구조에 있는 그림처럼 단일한 4개
의 다중펩티드(중사슬 2개 + 결사슬 2개)
로만 이루어지지만 왼쪽그림처럼 lgA는
Y자 모양 단위체 두 개가 결합되어 있고
위 그림처럼 lgM은 5개의 Y자 모양 단위
체가 결합해서 존재한다. 이들 Y자 모양
단위체는 J고리가 연결한다.
5) 항체와 항원의 상호작용
항체 한 분자가 여러 항원과 결합 → 항원의 위치가 식세포에 쉽게 노출
보체계(complement system) 자극 → 침입세포에 구멍을 뚫어 삼투압에 의해 세포가 터지게 함
옵소닌 작용(opsonization) : 보체가 침입세포와 결합하여 식세포 작용을 일으키도록 하는 작용
6) B-lymphocyte ( B-임파구 : B-Cell )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백질을 만드는 임파구
말초 임파조직에는 임파절, 피질, 여포, 수색 등에 주로 분포한다.
B-cell의 특지은 세포 표면에 항체를 용출시키고 있다.
면역담당 장기, 즉 골수에서 유래한 임파구
B-cell은 “T-cell과 항원자극”에 의하여 “항체생산세포”로 분화된다.
B-세포가 “항체생산세포”로 되기 위해서는
(a) 활성화(activation)
(b) 증식(multiplication)
(c) 분화(differentiation) 등 3단계를 거쳐야 한다.
7) T-lymphocyte ( T-임파구 : T-cell )
항체생산의 조절과 표적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임파구
골수의 조혈 간세포가 태생기에 흉선을 통과하면서 T-세포로 된다.
T-cell은 그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뉜다.
(a) Helper T-cell(보조 T-cell) : B-cell의 항체생산 촉진
(b) Suppressor T-cell(억제성 T-cell) : B-cell의 항체생산 억제
(c) Killer T-cell(cytotoxic T-cell : 독성 T-cell) : 특이적으로 표 적세포를 공격하는 T-cell. 세포성 면역반응으로 외래의 세포 를 죽이는 T-cell
(d) DTH effector T-cell(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 지연형 allergy와 관계가 있는 T-cell
<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 >
1) 세포성 면역( Cellular immune system )
면역학적 자극에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은 원 칙적으로 임파계의 세포에 있다.
세포의 역할에 의하여 감염에 저항하는 면 역현상 :
ex) 즉시형 알러지 반응 및 지연형 알러지 반응, 바이러스의 파괴, 피부염증과 같 은 지연형 과민 반응, 암세포나 이식조 직에 대한 거부반응 등에 관여하는 면 역현상.
2) 체액성 면역( Humoral immune system )
미생물 항원 또는 생산물에 대하여 체액성 항체를 생성하여 그 항체가 감 염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보통 혈청 및 기타 체액 중의 항체가 면역작용의 주 역할을 하는 경우
체액성 항체는 혈청 중에 함유되어 면역글로불린이라 불린다. 이 물질에 대항하는 순환항체를 생산하여 면역기능을 나타내는 경우
3) 참고
두 가지 면역계는 완전히 독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상호 협력하 여 방어기능을 수행한다.
두 가지 면역계는 면역기억을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어떤 이물질(항원)과 처음 만나 반응(1차 반응)한 뒤에, 다시 동일한 이물 질을 만나는 경우 1차 반응에 비해 신속하고 강력한 반응(2차 반응)을 나 타낸다.
면역학적 기억(immunological memory) : T-lymphocyte는 분열하여 수명 이 긴 항원의 감작성 세포집단으로 되며, 면역학적 기억을 나타내는데 중 요한 역할을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4.19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6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