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석탑의 분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탑의 유래

2. 석탑의 개념

3. 삼국 시대의 탑

4. 통일신라시대의 탑

5. 고려시대의 탑

6. 조선시대의 탑

본문내용

탑 등이 있다.
② 백제 양식을 계승한 탑
*미륵사지 석탑을 계승한 탑
-익산 왕궁리 5층 석탑, 부여의 무량사 5층 석탑, 김제의 금산사 5층 석탑,
계룡산 남매탑(7층탑), 담양 읍내리 5층 석탑, 서울 홍제동 5층 석탑, 마곡사 5층 석탑,
도리사 석탑
*정림사지 5층석탑을 계승한 탑
-서천의 비인 5층 석탑, 계룡산 남매탑(5층탑), 부여 장하리 3층 석탑,
정읍 은선리 3층 석탑
③ 다각 다층 석탑
4각형의 3층 석탑 양식에서 벗어나 다각 다층 석탑이 만들어 졌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월정사 8각 9층 석탑, 금산사 6각 다층 석탑, 경천사 10층 석탑 등이
있다.
6. 조선시대의 탑
조선시대에는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억제하는 국가의 정책과 함께 적은 수의 탑이
만들어 졌다. 양식 또한 일정하지 않고 이전 시대의 탑을 모방하여 만들었다.
그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다음과 같다.
- 원각사지 10층 석탑 : 경천사 10층 석탑을 모방
- 함양의 벽송사 3층 석탑 : 신라 탑의 양식을 계승.
- 양양의 낙산사 7층 석탑, 여주의 신륵사 다층 석탑, 여주의 수종사 8각 5층 석탑
- 목탑으로는 법주사 팔상전과 쌍봉사 대웅전이 남아 있다.

키워드

석탑,   불교,   탑파,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0.04.19
  • 저작시기200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