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론................................................4
제1절 연구의 목적...........................................4
제 2 장 목재의 구조와 특징.................................4
제 1 절 목재의 구조........................................4
제 2 절 목재의 성질........................................6
제 3 절 나무의 종류.......................................7
제 4 절 가공재의 종류......................................8
제 3 장 선조들의 목재 이용.................................12
제 1 절 한지...............................................12
제 4 장 목재의 첨단 이용 기술..............................12
제 1 절 불에 안타는 벽지 개발..............................12
제 2 절 자동차 내장재로 .활용..............................13
제 3 절 에너지로서 목재의 이용.............................14
제 4 절 셀룰로오즈의 첨단 이용............................15
제 5 장 목탄의 첨단 이용기술..............................18
제 1 절 목탄의 특징........................................18
제 2 절 목탄으로 섬유염색.................................19
제 3 절 목탄을 이용한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악취 제거........19
제 4 절 목탄수질 정화 시스템...............................19
제 5 절 기타...............................................20
제 6 장 폐목재의 자원화....................................20
제 1 절 건축용 재료로서의 재이용...........................21
제 2 절 폐목재의 유화......................................21
제 3 절 폐지의 자원화......................................21
제 4 절 폐지펄프의 이용....................................21
제 7 장 신소재.............................................22
제 1절 특성................................................22
제 2절 용도................................................22
제 8 장 결말..............................................22
참고 문헌..................................................24
그 림 목 차
< 그림 1.1 > 목재의 구조....................................4
< 그림 1.2 > 나이테.........................................5
< 그림 1.3 > 목재 단면도....................................5
< 그림 1.4 > 옹이와 갈라짐..................................6
< 그림 1.5 > 목재의 수축....................................6
< 그림 1.6 > 목재의 강도....................................7
< 그림 1.7 > 활엽수.........................................8
< 그림 1.8 > 칩엽수.........................................8
< 그림 1.9 > 합판...........................................9
< 그림 1.10 > 합판의 구조...................................9
< 그림 1.11 > 집성재........................................9
< 그림 1.12 > MDF...........................................10
< 그림 1.13 > 파티클 보드...................................10
< 그림 1.14 > 플로어링......................................11
< 그림 4.1 > 카툰 뉴트럴....................................14
< 그림 4.2 > 셀룰로오스 섬유 400배 확대 모습................16
표 목 차
< 표 4.1 > 유럽의 자동차 용도 섬유의 소재별 동향............13
< 표 4.2 > 국제 유가 추이...................................14
제1절 연구의 목적...........................................4
제 2 장 목재의 구조와 특징.................................4
제 1 절 목재의 구조........................................4
제 2 절 목재의 성질........................................6
제 3 절 나무의 종류.......................................7
제 4 절 가공재의 종류......................................8
제 3 장 선조들의 목재 이용.................................12
제 1 절 한지...............................................12
제 4 장 목재의 첨단 이용 기술..............................12
제 1 절 불에 안타는 벽지 개발..............................12
제 2 절 자동차 내장재로 .활용..............................13
제 3 절 에너지로서 목재의 이용.............................14
제 4 절 셀룰로오즈의 첨단 이용............................15
제 5 장 목탄의 첨단 이용기술..............................18
제 1 절 목탄의 특징........................................18
제 2 절 목탄으로 섬유염색.................................19
제 3 절 목탄을 이용한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악취 제거........19
제 4 절 목탄수질 정화 시스템...............................19
제 5 절 기타...............................................20
제 6 장 폐목재의 자원화....................................20
제 1 절 건축용 재료로서의 재이용...........................21
제 2 절 폐목재의 유화......................................21
제 3 절 폐지의 자원화......................................21
제 4 절 폐지펄프의 이용....................................21
제 7 장 신소재.............................................22
제 1절 특성................................................22
제 2절 용도................................................22
제 8 장 결말..............................................22
참고 문헌..................................................24
그 림 목 차
< 그림 1.1 > 목재의 구조....................................4
< 그림 1.2 > 나이테.........................................5
< 그림 1.3 > 목재 단면도....................................5
< 그림 1.4 > 옹이와 갈라짐..................................6
< 그림 1.5 > 목재의 수축....................................6
< 그림 1.6 > 목재의 강도....................................7
< 그림 1.7 > 활엽수.........................................8
< 그림 1.8 > 칩엽수.........................................8
< 그림 1.9 > 합판...........................................9
< 그림 1.10 > 합판의 구조...................................9
< 그림 1.11 > 집성재........................................9
< 그림 1.12 > MDF...........................................10
< 그림 1.13 > 파티클 보드...................................10
< 그림 1.14 > 플로어링......................................11
< 그림 4.1 > 카툰 뉴트럴....................................14
< 그림 4.2 > 셀룰로오스 섬유 400배 확대 모습................16
표 목 차
< 표 4.1 > 유럽의 자동차 용도 섬유의 소재별 동향............13
< 표 4.2 > 국제 유가 추이...................................14
본문내용
가 가능하지만 석탄액화 때문에 고가이다.
제 3 절 폐지의 자원화
우리나라의 가연쓰레기 중에 종이가 차치하는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중에서 폐지는 40~50%를 차치하고 있다. 종이 1톤은 직경 14cm, 높이 8m의 나무20개에 해당된다고 한다. 폐지 1ton으로 폐지펄프 850kg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때 요구되는 에너지는 목재칩을 제조하는 에너지의 1/3~1/5로 가능하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폐지 이용율이 약 50%정도로, 종이의 절반만이 자원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옛부터 종이원료의 2~3%가 폐지였지만, 1985년도 이후에는 폐지이용율이 감소하였다가 최근에 와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펄프의 원료가 되는 수목은 몇십년에 걸쳐 성장한 것으로 자연보호의 견지에서 종이는 더욱더 자원화율을 높이지 않으면 안된다.
폐지로 제조한 폐지펄프의 이용은 자연보호의 면에서 중요하다. 탈묵펄프(탈잉크 펄프)를 제조하는 데 요구되는 에너지는 목재칩을 제조하는 에너지의 30%로 충분하므로 자원화하기가 더욱 유리하다
제 4 절.폐지펄프의 이용
폐지를 100% 리사이클링시키는 기술이 개발된다면 종이의 생산량보다도 폐지의 발생량이 당연히 적기 때문에 휴지로서 폐기되는 종이는 없어지게 된다. 그러나 리사이클률을 높이면 현재 원료로 사용되는 폐지가 축적하게 되어 폐지를 종이원료 이외의 용도로 할 필요성이 생긴다. 여기에서는 폐지의 종이원료 이외의 용도에 대하여 검토해 본다
제 7 장 신소재
"21세기 꿈의 섬유"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장점을 고루 갖춘 무공해 환경 친화 섬유이며 목재펄프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즈로 만든 리오셀 섬유 실크감촉, 면의흡습성, 폴리에스터의 내구성은 물론 물세탁이 가능한 섬유업계에서 주목받는 차세대 섬유입니다.
제 1절 특성
1. 100% 목재펄프로 만들어진 차세대 혁신 천연섬유.
2. 물리적 추출 방법만으로 만들어진 인체, 환경에 무해한 무공해 섬유 .
3. 부드러운 감촉과 반발탄성이 우수함.
4. 효소 감량 가공에 의한 FADE OUT효과.
제 2절 용도
특히, 섬유자체에서 연출되는 자연스러운 실루엣과 신체곡선을 따라 아름답게 흐르는 텐셀의 우아한 드레이프성은 고귀함 그 자체이다. 표면광택과 부드럽고 따스한 감촉에 깊이 있고 선명한 색상 표현. 니트직물과 우븐직물에서 느껴지는 살아있는 조직감, 직물가공의 용이성과 경제성 등에서 다른 섬유와 비교할 수 없는 우수성을 가지고 있다. 우수한 염착력과 높은 견뢰도와 인열강도, 반복되는 세탁과 착용에도 우수한 형태안정성을 갖추고 있어 미래를 열어가는 한발 더 진보한 섬유이다.
제 8 장 결론
최근 미국에서는 미군의 전투복에 온도를 기억하여 형체를 변화하는 첨단 섬유를 만들려고 노력중이고 향후 몇 년안에 실전에 배치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수중에서 침투하여 지상에 도달하면 온도가 변하여 잠수복은 다시 전투복으로 바뀐다고 한다. 이런 첨단 소재는 대원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향후 자동차에 사용될 내장재들은 목재 재료를 이용하는 환경친화적인 제품들이 조만간 출시 될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쓰는 의자의 경우에도 이음새 부분에는 강도를 높게 주고 앉는 부분에는 탄성을 높게 준 제품이 이미 개발 중이다. 또한 이것과 부분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제품들도 향후에 출시하게 될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목탄의 이용가치는 아직 인간의 과학기술로는 다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목재의 추출물은 우리 인류의 질병의 마지막 해결책이 될 것이다. 그리고 폐목재는 새로운 재생기술로 다시 우리 생활로 돌아올 것이다. 이렇듯 목재의 어느 한 부분도 버릴 수 없을 만큼 그 이용 가치는 무궁무진하다.
그리고 목재를 잘 이용하는 것은 향후 에너지 문제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선진국들은 앞다투어 목재연구에 엄청난 노력과 자금을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 선진국만큼은 목재 연구에 투자할 여력이 부족하고 아직 여론도 형성되지 못했다. 우리나라의 70%는 산지이다. 우리가 만약이 산림 자원들을 잘 이용한다면, 선진국에 못지 않은 여러 산업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목재 이용기술에 있어서 무작정 선진국을 따라 모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우리의 한지를 생각해보자. 우리 한지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가는 중성지이고 여러 많은 이점을 지니고 있다. 우리는 이런 한지의 장점과 첨단 기술을 접합해서 우리만의 독특한 것을 만들어야 겠다.
옛 문헌과 옛 유물의 철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 대량생산을 위한 기술개발에 노력하고 우리 한지의 우수성을 정량화하여 수출전략에 힘씀으로써 우리 선조들의 과학슬기를 세계 만방에 떨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진정한 과학기술의 세계화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최대 蜜源자원인 아까시나무림에 대한 품종개량 및 관리법 개발에 의해 밀원 생산성을 향상시켜 그 이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이며 방목용 가축사료로 개발하므로써 다목적으로 이용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이용가치가 탁월한 목재자원을 소중히 가꾸어 후손들에게 물려 주는 것 또한 이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가 해야 하는 일이다. 우리는 선조들이 우리에게 물려준 이런 자원을 잘 가꾸어 후손들에게 물려 주고, 정부와 국민 그리고 기업 모두가 목재 이용기술개발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15&article_id=0000520778
첨단기술 개발..석학에 듣는다] 금호국제과학상 英 데이비드 발콤 박사
불에 안타는 벽지 개발 성공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25&article_id=0000149064
미생물이 생산하는 셀룰로오즈분해효소 실용화
http://www.kordic.re.kr/%7Etrend/Content236/life06.html
한지의 비밀
http://www.kordic.re.kr/%7Etrend/Content236/life06.html
제 3 절 폐지의 자원화
우리나라의 가연쓰레기 중에 종이가 차치하는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중에서 폐지는 40~50%를 차치하고 있다. 종이 1톤은 직경 14cm, 높이 8m의 나무20개에 해당된다고 한다. 폐지 1ton으로 폐지펄프 850kg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때 요구되는 에너지는 목재칩을 제조하는 에너지의 1/3~1/5로 가능하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폐지 이용율이 약 50%정도로, 종이의 절반만이 자원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옛부터 종이원료의 2~3%가 폐지였지만, 1985년도 이후에는 폐지이용율이 감소하였다가 최근에 와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펄프의 원료가 되는 수목은 몇십년에 걸쳐 성장한 것으로 자연보호의 견지에서 종이는 더욱더 자원화율을 높이지 않으면 안된다.
폐지로 제조한 폐지펄프의 이용은 자연보호의 면에서 중요하다. 탈묵펄프(탈잉크 펄프)를 제조하는 데 요구되는 에너지는 목재칩을 제조하는 에너지의 30%로 충분하므로 자원화하기가 더욱 유리하다
제 4 절.폐지펄프의 이용
폐지를 100% 리사이클링시키는 기술이 개발된다면 종이의 생산량보다도 폐지의 발생량이 당연히 적기 때문에 휴지로서 폐기되는 종이는 없어지게 된다. 그러나 리사이클률을 높이면 현재 원료로 사용되는 폐지가 축적하게 되어 폐지를 종이원료 이외의 용도로 할 필요성이 생긴다. 여기에서는 폐지의 종이원료 이외의 용도에 대하여 검토해 본다
제 7 장 신소재
"21세기 꿈의 섬유"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장점을 고루 갖춘 무공해 환경 친화 섬유이며 목재펄프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즈로 만든 리오셀 섬유 실크감촉, 면의흡습성, 폴리에스터의 내구성은 물론 물세탁이 가능한 섬유업계에서 주목받는 차세대 섬유입니다.
제 1절 특성
1. 100% 목재펄프로 만들어진 차세대 혁신 천연섬유.
2. 물리적 추출 방법만으로 만들어진 인체, 환경에 무해한 무공해 섬유 .
3. 부드러운 감촉과 반발탄성이 우수함.
4. 효소 감량 가공에 의한 FADE OUT효과.
제 2절 용도
특히, 섬유자체에서 연출되는 자연스러운 실루엣과 신체곡선을 따라 아름답게 흐르는 텐셀의 우아한 드레이프성은 고귀함 그 자체이다. 표면광택과 부드럽고 따스한 감촉에 깊이 있고 선명한 색상 표현. 니트직물과 우븐직물에서 느껴지는 살아있는 조직감, 직물가공의 용이성과 경제성 등에서 다른 섬유와 비교할 수 없는 우수성을 가지고 있다. 우수한 염착력과 높은 견뢰도와 인열강도, 반복되는 세탁과 착용에도 우수한 형태안정성을 갖추고 있어 미래를 열어가는 한발 더 진보한 섬유이다.
제 8 장 결론
최근 미국에서는 미군의 전투복에 온도를 기억하여 형체를 변화하는 첨단 섬유를 만들려고 노력중이고 향후 몇 년안에 실전에 배치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수중에서 침투하여 지상에 도달하면 온도가 변하여 잠수복은 다시 전투복으로 바뀐다고 한다. 이런 첨단 소재는 대원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향후 자동차에 사용될 내장재들은 목재 재료를 이용하는 환경친화적인 제품들이 조만간 출시 될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쓰는 의자의 경우에도 이음새 부분에는 강도를 높게 주고 앉는 부분에는 탄성을 높게 준 제품이 이미 개발 중이다. 또한 이것과 부분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제품들도 향후에 출시하게 될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목탄의 이용가치는 아직 인간의 과학기술로는 다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목재의 추출물은 우리 인류의 질병의 마지막 해결책이 될 것이다. 그리고 폐목재는 새로운 재생기술로 다시 우리 생활로 돌아올 것이다. 이렇듯 목재의 어느 한 부분도 버릴 수 없을 만큼 그 이용 가치는 무궁무진하다.
그리고 목재를 잘 이용하는 것은 향후 에너지 문제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선진국들은 앞다투어 목재연구에 엄청난 노력과 자금을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 선진국만큼은 목재 연구에 투자할 여력이 부족하고 아직 여론도 형성되지 못했다. 우리나라의 70%는 산지이다. 우리가 만약이 산림 자원들을 잘 이용한다면, 선진국에 못지 않은 여러 산업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목재 이용기술에 있어서 무작정 선진국을 따라 모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우리의 한지를 생각해보자. 우리 한지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가는 중성지이고 여러 많은 이점을 지니고 있다. 우리는 이런 한지의 장점과 첨단 기술을 접합해서 우리만의 독특한 것을 만들어야 겠다.
옛 문헌과 옛 유물의 철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 대량생산을 위한 기술개발에 노력하고 우리 한지의 우수성을 정량화하여 수출전략에 힘씀으로써 우리 선조들의 과학슬기를 세계 만방에 떨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진정한 과학기술의 세계화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최대 蜜源자원인 아까시나무림에 대한 품종개량 및 관리법 개발에 의해 밀원 생산성을 향상시켜 그 이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이며 방목용 가축사료로 개발하므로써 다목적으로 이용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이용가치가 탁월한 목재자원을 소중히 가꾸어 후손들에게 물려 주는 것 또한 이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가 해야 하는 일이다. 우리는 선조들이 우리에게 물려준 이런 자원을 잘 가꾸어 후손들에게 물려 주고, 정부와 국민 그리고 기업 모두가 목재 이용기술개발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15&article_id=0000520778
첨단기술 개발..석학에 듣는다] 금호국제과학상 英 데이비드 발콤 박사
불에 안타는 벽지 개발 성공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25&article_id=0000149064
미생물이 생산하는 셀룰로오즈분해효소 실용화
http://www.kordic.re.kr/%7Etrend/Content236/life06.html
한지의 비밀
http://www.kordic.re.kr/%7Etrend/Content236/life0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