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day)문화의 장단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데이(day)문화의 장단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데이문화, day문화의 장단점

본문내용

Day문화가 필요하다. 이미 시행되고 있는 1004데이를 예로 들 수 있겠다. 1004(천사)데이는 희망지킴이 천사운동본부(경기 동두천 소재)에서 2003년 10월 4일에 제정한 날로 국적불명의 발렌타인데이, 화이트데이, 빼빼로데이 등 상혼에 물든 Day문화가 아닌 전 국민이 사랑과 희망을 나누는 대한민국 토종 Day문화이다. 이 날은 전 국민이 천사가 되어 가난과 절망 속에 있는 소외되고, 어려운 이웃들에게 나눔과 사랑과 희망을 전하는 날이다. 물론 이러한 Day는 많은 사람들의 이목을 끌지 못할 수도 있고, 상업성도 없기 때문에 기업의 힘으로 유지될 수도 없다. 하지만 시작이 반이라고, 일단은 이렇게 바람직한 Day를 만들고 적극적으로 향유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네 번째로는 국경도 모르고 출처도 모르는 데이 문화를 우리토종문화로 하나하나 바꾸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 과자인 빼빼로 대신 가래떡을 주고 우리 농업을 살리는 의미에서 농업마케팅을 통한 사과 데이를 활성화 시키고 대보름 같은 원래 자리 잡고 있는 우리문화 축제를 더욱 홍보하고 발전시키는 등 무자비하게 늘어난 문화들을 점점 우리문화로 재탄생시킨는 것이다.이렇게 된다면 더 뜻 깊고 우리사회 전체가 동참 할 수 있는 제한되지 않은 우리 모두의 문화가 될 것이다.
다섯 번째로 수용자로 하여금 상품을 긍정적으로 자각하게 만드는 지속적인 기사나 광고 등 교묘히 이용하여 상술적인 이득을 취하는 것을 막기 위해 대중매체는 이런 기념일이 다가오면, 특정 기념일이기 때문에 어떠한 소비가 다량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등의 내용을 기사화 시켜서 소비자로 하여금 부추기는 것을 제한해야 한다. 또한 , 정보 제공이란 명목 아래, 어떠한 비판적인 시각 없이 그러한 현상에 대해서 보도하는 것, 대중매체가 이러한 각종 기념일에 대한 기사를 보내면서, 특정 기업체를 부각시켜 언급함으로써 간접광고의 논란 여지도 두고 있어 공정성의 여부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제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하고 의미 있는 문화를 창출하기 위해 두 주체 즉, 소비자, 기업의 협력이 필요하다.
우선,데이(day)문화의 향유자인 소비자는 앞에서 언급했듯이, 소외받지 않으려고 남의 비합리적이 소비행태를 따라하는 그런 무비판적인 태도를 버리고 데이(day)문화에 참여할 때 분위기에 휩쓸리기보다는 자기 자신의 판단에 의해 창의적이고 합리적인 소비를 해야 할 것이다. 물론 처음에는 어렵겠지만 소비자가 주체적인 소비를 하기 위해 노력하고 대중 스스로 바람직한 문화를 만들어 간다면 더욱 의미 있는 문화로 정립 될 것이다.
그리고 기업은 기업의 마케팅 이익도 중요하지만 기업안의 한 사람 한 사람 모두 소비자임을 자각하고 좀더 창의적이고 가치 있는 데이(day)문화를 만들기 위해 기업이 개입하고 노력해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천사데이’, 앞에서 말한 대보름 사과데이 등 당장에는 경제적인 이익은 보장받을 수 없지만,기업의 장기적 이미지를 개선시켜주는 좋은 문화를 만들고 돕는다면 데이(day)문화가 올바른 방향으로 정착 될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4.21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1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