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음 각 실의 냉동,냉장 부하
2.냉동기 설치계획을 수립하고 용량
1)설치계획
3.증기압축식과 흡수식 냉동기의 장단점을 간단히 비교
4. R-22를 냉매로 하는 왕복동식 냉동기 설계
5. 설치요령 및 유의사항제시
2.냉동기 설치계획을 수립하고 용량
1)설치계획
3.증기압축식과 흡수식 냉동기의 장단점을 간단히 비교
4. R-22를 냉매로 하는 왕복동식 냉동기 설계
5. 설치요령 및 유의사항제시
본문내용
0도이므로 최대0도로 증발온도를 유지해야 하므로 설계시 증발온도를 -5도로한다.
*외기온도가 33도이므로 최소 33도이상의 응축온도와 44도의천장을 고려 50도의 응축온도로 한다
①표준사이클을 기준으로 냉동효과, 냉매순환량, 압축실린더의크기, 압축기 소요동력, 성능계수를 계산.
냉동능력=71KW
냉동효과=h1-h4=140.5kj/kg
냉매순환량=냉동능력/(h2-h1)=71/(403.5-263)=0.505kj/s
압축기의 소요동력=m*(h2-h1)=0.505*(440-403.9)=18.2kw
성능계수COP=(h1-h4)/(h2-h1)=(403.5-263)/(440-403.9)=3.89
압축실린더의 크기=0.505*55.3=27.92L/S=0.02792m^3/s
부피=0.05^2*3.14/4*0.078=0.000153m^3
5. 설치요령 및 유의사항제시
①냉동실 패널의 설치의 조립시 공기누설을 최소화하는 이음매 부분에 실링처리
②필요에 따라 냉동 냉장실의 외부에 응결수 접수구 및 뚜껑을 설치
③사람과 차량의 출입시 빈번하거나 장시간 냉동실문을 개방하는 경우 냉동실 출입구에 수직키트로 냉동효과 감소를 막는다.
④결빙온도 이하의 운전되는 냉동실의 경우 냉동실 입구의 바닥면 설계도에 명시된 온도로 자동유지하는 가열선을 설치한다.
⑤결빙온도 이하의 운전되는 냉동실의 경우 바닥에 동상방지 장치설치.
⑥냉동실에 필요에따라 기압조정기 설치.
⑦냉매배란시 용접부에 누설이 없도록 은납땜 설치.
⑧압축기토출구에 오일유입을 막기위하여 유분리기 설치.
⑨냉매배란시 윤활유, 냉매가스로 인한 화학작용에 약화되지 않는 재질의 시공.
*외기온도가 33도이므로 최소 33도이상의 응축온도와 44도의천장을 고려 50도의 응축온도로 한다
①표준사이클을 기준으로 냉동효과, 냉매순환량, 압축실린더의크기, 압축기 소요동력, 성능계수를 계산.
냉동능력=71KW
냉동효과=h1-h4=140.5kj/kg
냉매순환량=냉동능력/(h2-h1)=71/(403.5-263)=0.505kj/s
압축기의 소요동력=m*(h2-h1)=0.505*(440-403.9)=18.2kw
성능계수COP=(h1-h4)/(h2-h1)=(403.5-263)/(440-403.9)=3.89
압축실린더의 크기=0.505*55.3=27.92L/S=0.02792m^3/s
부피=0.05^2*3.14/4*0.078=0.000153m^3
5. 설치요령 및 유의사항제시
①냉동실 패널의 설치의 조립시 공기누설을 최소화하는 이음매 부분에 실링처리
②필요에 따라 냉동 냉장실의 외부에 응결수 접수구 및 뚜껑을 설치
③사람과 차량의 출입시 빈번하거나 장시간 냉동실문을 개방하는 경우 냉동실 출입구에 수직키트로 냉동효과 감소를 막는다.
④결빙온도 이하의 운전되는 냉동실의 경우 냉동실 입구의 바닥면 설계도에 명시된 온도로 자동유지하는 가열선을 설치한다.
⑤결빙온도 이하의 운전되는 냉동실의 경우 바닥에 동상방지 장치설치.
⑥냉동실에 필요에따라 기압조정기 설치.
⑦냉매배란시 용접부에 누설이 없도록 은납땜 설치.
⑧압축기토출구에 오일유입을 막기위하여 유분리기 설치.
⑨냉매배란시 윤활유, 냉매가스로 인한 화학작용에 약화되지 않는 재질의 시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