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침묵(沈黙)」에서 나타난 작자의 의도 전달 방식에 대한 소고(小考)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님의 침묵(沈黙)」에서 나타난 작자의 의도 전달 방식에 대한 소고(小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2. 여성적성향을 지닌 '나'

3. 냉정하고 무정한 '님'

4. 나를 보는 관중 '독자'

5. 나의 의도와 작자의 의도

6. 결

본문내용

떠난다.
여기서 만약 님이 떠났고 나도 님을 그냥 보내버렸다하면 극이 어떻게 될까? 관중 독자는 「님의 침묵」안에서 어떠한 의미도 가지지 않는다. 관중은 님을 찾아서 " '나'가 당신을 애타게 찾습니다."라고 '나'의 말을 전달해주어야 하고 님을 설득해야 하는데 '나'가 님을 포기했다면 독자의 역할도 없는 것이다. 특히 <사랑의 끝판>에는 님이 '나'를 부르는 장면까지 보여주면서 독자 스스로 님을 설득하는데 실패하지 않을까하는 불안감을 해소하고 자신감마저 불어 넣는다.
그러면 마지막으로 「님의 침묵」저자 한용운 선생이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가이다. 한용운 선생의 시집 「님의 침묵」서두에 말하였듯이 "님만 님이 아니라 기룬(사랑스러운)것은 다 님"이라 하였다. 그이 시에 등장하는 님은 일단 그 표면적인 의미에서는 사랑하는 연인이면서, 그가 한학에 상당한 수준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우주 만물의 근원에 있는 참다운 원리이기도 하고 , 독립운동가로서 볼 때 시대적 현실에 처한 조국이거나 민족일 수도 있다. 또한 그가 불교에 귀의한 점을 고려한다면 종교적 절대자로 해석할 수 있다.
한용운 선생이 궁극적으로 원했던 것은 바로 이점이 아닌가 한다. 즉 독자의 실천, 행동을 원한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나'의 감정을 독자에게 이입시켜 독자로 하여금 '임'을 획득하는 노력을 촉구하는 것이다. 즉 독자는 연인을 사랑하고, 진리를 추구하고, 잃어버린 나라를 찾아야 하고, 종교적 귀의를 원하는 것이다.
그럼 반대로 생각해보자. '나'가 곧 사랑하는 연인이고, 절대진리이며, 조국이며, 민족이며, 종교적 절대자라는 가정이다. 불행히도 이러한 절대적인 가치들이 '임'에게 사랑받지 못하는 현실을 시로서 표현한 것이다.
여기서 '임'을 '다수의 무엇'이라 하자. 그렇다면 독자는 다수의 무엇이 절대적 가치를 추구하도록 설득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어느 쪽으로 해석하든 「님의 침묵」은 독자의 실천을 요구하게 된다.
6. 결(結)
지금까지 「님의 침묵」은 모놀로그를 위한 한편의 대본으로 이해하고 글을 전개하였다. 작자는 피학성을 가진 연기자가 나와 님의 관계에 대해 독백조로 얘기하고 청중들에게 동정을 유발한다. 여기에 숨겨진 작자의 의도는 연극을 보기위해 온 청중들에게 님을 설득하여 나에게 돌아오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만해 한용운 선생는 「님의 침묵」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제기하고자 했던 내용은 다수의 독자들에게 목표달성을 위해 실천할 것을 설득하는 글이라 할 것이다. 끝.
<참고자료>
서준섭 편역, 「한용운 작품선집」, 강원대학교출판부, 2001.7.25
윤용직외 5인, 「대학국어」,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7.1.25 초판 5쇄
국어 비출석수업온라인 강좌 2006년 1학기
고은, 「한용운 평전」, 고려원, 2000.8.10.
최현규, '만해 한용운의 《님의 沈默》연구,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 학위논문, 2004.8
김정태, '님 지향성과 여성 편향성',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4.23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21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